$\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상담프로그램이 가정폭력 피해 여성의 정신건강과 심리·사회적 요인에 미치는 효과분석
The Effects of Consultation Program upon the Mental Health of Female Victims of Domestic Violence and Psychological·Social Factors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6 no.4, 2015년, pp.2511 - 2519  

유해선 (서울벤처대학원대학교 사회복지상담학과) ,  변상해 (서울벤처대학원대학교 사회복지상담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가정폭력 피해여성들을 위한 상담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성을 평가하고자 한다. 연구를 위해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을 각각 30명씩 선정하였고, SPSS 20.0 for Windows를 활용하여 빈도분석, 신뢰도분석, 동질성검사와 독립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상담프로그램이 가정폭력 피해여성들의 자아존중감을 향상시키고, 우울 수준, 불안을 감소시키는데 효과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둘째, 상담프로그램이 가정폭력피해 여성들의 심리사회적 요인을 긍정적으로 향상시켰으며 하위영역인 의사소통 만족도와 갈등대처방식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프로그램이 가정폭력 피해여성들의 대인관계, 의사소통 문제를 해결하려는 태도 등에도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학대 후유증에서 벗어나 심리사회 적응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research was executed to develop a consultation program for female victims of domestic violence in the past and appraise its effectiveness. For the research, we selected 30 persons for an experimental group and a control group respectively, and practiced frequency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가정폭력 피해 여성의 심리·사회적 특성은 가정폭력 피해 여성의 특성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심리사회적요인과 정신건강 등을 중심으로 고찰하고자 한다.
  • 프로그램 참여자들은 과거의 부정적이고 비합리적인 사고의 왜곡된 인지체계를 프로그램 참여 후에는 그들의 변화의 모습을 보이면서 행동실천의 당위성을 표출하게 되었고 실제적인 현실문제의 해결방안에 대해서 강한 욕구를 드러내었다. 따라서 가정폭력 피해여성들이 건강하고 당당한 삶을 다시 살아갈 수 있도록 그들의 안정적인 심리 내ㆍ외적 요인들을 파악하고 지지할 수 있는 정서적 지지 프로그램의 확대를 제안한다.
  • 본 연구는 가정폭력 피해 여성의 정신건강을 측정하고자 자아존중감, 우울, 불안을 중심으로 고찰하고자 한다. 자아존중감 척도는 Rosenberg[18]가 개발하고 전병제[19]가 검증한 척도를 사용하였다.
  • 본 연구는 사회현실을 직시하고 가정폭력 피해여성을 위한 사회복지실천 현장적응을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 본 연구에서 가정폭력 피해 여성의 정신건강과 심리·사회적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선행연구를 토대로 측정도구를 도출하였다.
  • 가정폭력이라는 용어를 사용했을 때 가정에서 일어나는 폭력을 모두 포함하는 의미로서 사용될 수 있으며, 아동학대, 배우자학대, 노인학대 등이 포함된다. 본 연구에서는 아내에 대한 남편의 폭력 즉 아내학대를 중심으로 전개하고자한다. 즉, 본 연구의 대상과 관련된 ‘가정폭력 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에서도 가정폭력을 ‘신체적, 정신적, 또는 재산상의 피해를 수반하는 행위’라고 정의하는 것과 일치하고 있다.
  • 이에 본 연구는 가정폭력 피해 여성들을 위한 상담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성을 검증하고자 아래와 같이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 이에 본연구는 가정폭력으로 인해 황폐화되어 있는 정신건강과 심리 · 사회적 요인을 상담프로그램을 통해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상담 프로그램이 가정폭력 피해여성에게 큰 도움이 됨은 무엇을 통해 뒷받침 되는가? 이러한 결과는 집단 상담프로그램이 가정폭력 피해여성의 자아존중감을 향상시키고, 우울을 감소시킨다는 박애경의 연구와 맥락을 같이 한다[25].이는 참여자 스스로 자신을 가치 있는 사람이라고 생각하게 됨으로써 스스로를 소중히 할 수 있는 바탕을 마련할 수 있는 근거가 되는 결과라고 볼 수 있다.
가정폭력은 왜 그동안 축소되고 은폐되어 왔는가? 가정폭력은 그동안 가정 내부의 문제를 해결하는 수단으로 치부되어 축소 은폐되어 왔다. 가정폭력은 가해자에 의해 한 가정의 질서가 붕괴되고 존중받아야 할 인간의 권리가 무참히 짓밟히며, 피해자에게 신체적, 정신적으로 고통을 안겨주는 폭력행위이다.
가정폭력 피해여성들은 어떠한 후유증으로 고통받는가? 가정폭력은 남성과 여성 모두에게 발생할 수 있지만 통상적으로 남성보다는 여성 피해자가 대부분이다[5]. 가정폭력 피해여성들은 낮은 자아존중감, 알콜, 우울, 자살행동, 사회적응력의 저하 등을 비롯하여 폭력으로 인한 만성적 후유증으로 정신적, 육체적 고통을 받고 있다[6]. 남편의 폭력을 받아온 아내들은 낮은 자아 존중감과 더불어 무기력, 부정적 자아상, 절망상태 등의 정신적․ 심리적 특성을 보이는 것으로 보고 되고 있다[7,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S. H. Byun, "A Study on the Program Satisfaction of Correction Counseling for Korean Family Violence Assailant and Content Analysis", Baekseok University Doctoral Dissertation, 2007. 

  2. M. H. Jeon, "An Exploratory Study on the Characteristic and Type of Domestic Violence of Korean Women in USA: Content Analysis of Damage Case",Clinical Social Business Study, 8(3), pp. 51-75, 2011. 

  3. J. W. Lee, "The Effect of Collective Counseling Program for Self-esteem, Self-efficacy, Agreed Communication of Family Violence Victim Women", Korean Family Society Journal, 48(4), pp. 103-123, 2010. 

  4.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 "Family Violence-related Statistic Data", 2010. 

  5.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 "Family Violence-related Statistic Data", 2013. 

  6. S. Jang, "A Study on the Efficacy of Christian Collective Program for Family Violence Female Victim", Baekseok University Doctoral Dissertation, 2011. 

  7. G. S. Yoo, H. K. Jang, H. J. Jeon, Y. J. Kim, S. H. Min, Family Policy Theory, Seoul Sigma Press, 2009. 

  8. Hiberman, E., "The Wife-beater's wife reconsidered", American Journal of Psychiatry, 137, 1336-1347, 1980. DOI: http://dx.doi.org/10.1176/ajp.137.11.1336 

  9. Infante, D. A., Chandler, T. A., & Rudd, J. E. "Test of an argumentative skill deficiency model of inter spousal violence", Communication Monographs, 86, 163-177, 1989. DOI: http://dx.doi.org/10.1080/03637758909390257 

  10. Satir, V. "Your Many Faces. Millbrae", CA: Celestial Arts, 2000. 

  11. M. S. Hur, "Reconstruction of Family Violence Discourse: Family Violence Victim Discourse and Competency Reinforcement Solid Line", Women's Studies Tracts, 28(1), pp. 121-158, 2011. 

  12. J. H. Kang, "The Evaluation of the Development and Effect of Forgiveness Collective Counseling Program for Family Violence Female Victim", Konkuk University Graduate School Doctoral Dissertation. 2014. 

  13. A. K. Park, "A Study on Recognitive Behavior Model Application as to Self-esteem and Depression of Family Violence Female Victim", Hanyoung Theological University Graduate School Doctoral Dissertation, 2008. 

  14. Martin, D. Battered Wives, Glide Publication, 1976, 83. 

  15. K. I. Kim, Family Violence-its Actual State and Measure. Kim Kwang Il Compilation, Seoul: Tamgu, 1988. 

  16. Warren,J.& Lanning,W.(1992). Sex Role Beliefs, Control and Social Isolation of Battered Women. Journal of Family Violence, 17, 1. pp. 242-247 DOI: http://dx.doi.org/10.1007/BF00978720 

  17. Weitzman, J. & Dreen, K.. "Wife-beating : A View of the Marital Dyad". Journal of contemporary Social Work, 13, pp. 360-366, 1982. 

  18. Rosenberg, M., "Society and adolescent self image". New York,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65. 

  19. B. J. Jeon, "A Study on Self-conception Measurement Feasibility", Yonsiei Collection of Treatises, 11, pp. pp. 107-124, 1974. 

  20. Beck A. T. "Depression: Clinical experimental and theoretical aspects". New York: Harper and Row. 1967. 

  21. Spilberger, C. D. "Manual for the state-trait anxiety inventory", Palo Alto: Calif, 1970. 

  22. D. W. Han, C. H. Lee, J. K. Tak, "Spielberger Status-Standardization of Characteristic Property Anxiety Test", Korea Psychological Society Annual Academic Presentation Contest, 1993, pp. 505-512, 1993. 

  23. W. S. Jeong, Practice Summary of Family Environment Diagnosis Test, Seoul: Korean Testing Center, 1989. 

  24. M. H. Woo, "A Study on Social Adaptation of Single-Parent Family Youth & Child", Seongshin Women's University Graduate School Doctoral Dissertation, 2009. 

  25. A. K. Park, "A Study on Recognitive Behavior Model Application as to Self-esteem and Depression of Family Violence Female Victim", 21st Century Social Welfare Study, 8(1), pp. 31-59, 2011. 

  26. Rhodes, N. R. "Comparison of MMPI Psychopathic Deviate Scores of Battered and Non battered Women", Journal of Family Violence, 7(4), pp. 297-307, 1992. DOI: http://dx.doi.org/10.1007/BF0099462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