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이혼가정 아동의 학교적응: 아동의 개인적 변인과 가족 변인을 중심으로
The Effects of Personal and Family Variables on the School Adjustment of Children in Divorced Families 원문보기

대한가정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v.48 no.5 = no.261, 2010년, pp.119 - 128  

이숙 (전남대학교 생활환경복지학과) ,  지선례 (전남대학교 생활환경복지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personal variables(gender, grade, self-esteem, and depression) and family variables(economical level, marital conflict, and parenting behaviors) on the children's school adjustment(school interest, academic achievement, observance of school regu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개인적 변인(성별, 연령, 자아존중감, 우울), 가족 변인(경제상태, 부모의 양육태도, 부모간 갈등)이 이혼가정 아동의 학교적응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 각 요인에 포함되어 있는 개별 변인들의 영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이혼가정 아동의 학교적응을 도울 수 있는 중재 프로그램을 구성하고 수행하는데 있어서 의미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이혼가정 아동의 개인적 변인(아동의 성별, 학년, 자아존중감, 우울)과 가족 변인(경제상태, 부모간 갈등, 양육부모의 양육태도)이 아동의 학교적응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과 각 변인들의 영향이 어떠한지 분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논의 및 결론을 내리면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이혼가정 아동의 적응에 긍정적인 영향(자아존중감, 양육부모의 양육태도), 부정적인 영향(우울, 부모간 갈등)을 미치는 변인을 함께 선정하여 개인적 요인과 가족 요인이 이혼 가정 아동의 적응에 미치는 영향력과 두 범주에 포함되어 있는 개별 변인(성별, 연령, 자아존중감, 우울, 경제상태, 양육부모의 양육태도, 부모간 갈등)의 영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 이러한 제한점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는 이혼가정 아동의 아동기에 중요한 발달과업인 학교적응에 미치는 개인적 변인, 가족 변인의 상대적 영향력을 밝히고 이혼가정 아동들이 보다 학교적응을 잘 할 수 있도록 도와줄 수 있는 개입을 위한 정보를 제공함에 큰 의의가 있다.
  • 본 연구는 개인적 변인(성별, 연령, 자아존중감, 우울), 가족 변인(경제상태, 부모의 양육태도, 부모간 갈등)이 이혼가정 아동의 학교적응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 각 요인에 포함되어 있는 개별 변인들의 영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이혼가정 아동의 학교적응을 도울 수 있는 중재 프로그램을 구성하고 수행하는데 있어서 의미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부모의 이혼을 경험한 아동은 어떠한 어려움을 겪고 있는가? 이혼은 아동의 심리, 인지, 행동, 학교생활과 친구관계 등 사회성 발달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쳐 우울, 부정적인 자아상, 문제행동, 학업부진, 친구와의 분리 등 많은 적응문제를 일으킨다(주소희, 2004; Amato, 2004; Amato & Keith, 1991). 부모의 이혼을 경험한 아동은 한쪽부모의 상실과 생활의 변화로 스트레스를 받아 자아존중감이 낮아지고 자신을 비난하게 되며 학업집중에 어려움을 느껴 일반 가정의 아동보다 낮은 학업성취도를 보이며 인지능력이 떨어지고 학교 생활적응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권영미, 2000; 김보경, 2001; Amato, 1993; Hetherington & Stanley-Hagan, 1999)고 한다. 학령기 아동은 부모의 이혼 사실을 깨달을 수있는 인지적 성숙은 되어 있는 반면, 대처기술은 가지고 있지 못하기 때문에 부모로부터 거절을 느끼게 되고 이로 인해 학업성적의 하락, 무단결석, 또래애착과 같은 문제를 일으키게 된다(김옥, 2000; 오은순, 1997; Amato, 2004).
이혼은 아동에게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이혼은 아동의 심리, 인지, 행동, 학교생활과 친구관계 등 사회성 발달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쳐 우울, 부정적인 자아상, 문제행동, 학업부진, 친구와의 분리 등 많은 적응문제를 일으킨다(주소희, 2004; Amato, 2004; Amato & Keith, 1991). 부모의 이혼을 경험한 아동은 한쪽부모의 상실과 생활의 변화로 스트레스를 받아 자아존중감이 낮아지고 자신을 비난하게 되며 학업집중에 어려움을 느껴 일반 가정의 아동보다 낮은 학업성취도를 보이며 인지능력이 떨어지고 학교 생활적응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권영미, 2000; 김보경, 2001; Amato, 1993; Hetherington & Stanley-Hagan, 1999)고 한다.
이혼반응이 어린 아동에게 더 큰 영향을 미치는 이유는? 부모의 이혼이모든 발달 수준에서 스트레스를 주는 인생사건이나 더 어린 아동이 이혼에 보다 영향을 받는다고 한다(Hetherington & Stanley-Haqan, 1999; Lengua, Wolchik, & Braver, 1995). 왜냐하면 어린 아동일수록 가족사건들을 이해할 수 있는 능력이 부족하고 비양육부모의 떠남으로 깊은 상실감을 경험하며 가족 밖의 가능한 지원에 접촉이 더 어렵기 때문이다. 그러나 나이 든 아동은 부부갈등기간에 오랫동안 노출되어 있을 가능성 때문에 이혼은 나이 든 아동의 인성발달에 큰 영향을 끼쳐 대인관계 문제, 위축, 학업성취면에서 뚜렷한 저하 등을 나타낸다고 한다(이혜승, 2004; Amato & Keith, 199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4)

  1. 권영미(2000). 부모의 이혼이 자녀의 자아존중감과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 김국화(2006). 이혼가정 아동의 가족관련 요인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대구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 김문섭(2004). 이혼 가정 아동의 특성 및 상담. 대구한의대학교 학생생활연구, 9, 1-14. 

  4. 김민강(2009). 이혼가정 아동의 학교적응유연성과 관련된 보호요인 탐색. 부경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5. 김보경(2001). 이혼가정의 학교-가정 관계, 아동의 성취동기 및 학교생활적응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6. 김옥(2000). 부모의 이혼과 아동의 또래애착. 인하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7. 김은정, 백혜정(2007). 이혼으로 인한 가정상실, 경제소득 및 양육행동의 변화가 자녀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가족과 문화, 19(3), 79-103. 

  8. 동승자(2000). 이혼가혼가정 아동의 통제소재, 스트레스 대처행동과 우울.불안의 관계.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9. 박성연, 이숙(1990). [어머니의 양육행동 척도] 표준화를 위한 예비연구. 대한가정학회지, 28(1), 141-156. 

  10. 박연수(2004). 이혼가정 청소년의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1. 박현선(1998). 빈곤청소년의 학교적응유연성.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12. 오승환(2001). 저소득 결손가족 청소년의 적응결정 요인.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13. 오은순(1997). 이혼가정 아동의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생태학적 변인들의 구조분석.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14. 이삼연(2002). 이혼가정 청소년 자녀의 적응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복지학, 10, 37-65. 

  15. 이순형, 이옥경, 민미희(2006). 아동의 성별, 부모의 이혼 및 아동의 부모양육행동 지각이 아동의 행동문제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4(1), 181-192. 

  16. 이혜승(2004). 부모의 이혼과 양육형태에 따른 초기 청소년의 우울증상과 학교적응. 청소년학연구, 11(1), 421-441. 

  17. 장미애(2004). 이혼가정 아동이 지각한 양육부모의 양육행동과 아동의 학교적응에 관한 연구.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8. 전수정(2003). 양육 및 비양육부모와의 관계와 사회적 지지가 이혼가정 청소년의 심리사회적 적응에 미치는 영향.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9. 조복희(2007). 아동발달. 서울: 교육과학사. 

  20. 주소희(2004). 부모이혼 후 아동의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21. 중앙일보(2009. 10. 19).' 이혼고아' 매년1000여명. 

  22. 지은선(2001). 부모의 이혼이 자녀에게 미치는 영향과 요인.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3. 차유림(2001). 아동 학교적응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4. 통계청(2009). 2008년 이혼통계 결과. 서울: 통계청. 

  25. 한유진(1993). 아동과 청소년의 우울성향 및 귀인양식과 학업성취.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6. Amato, P. D. & Keith, B.(1991). Parental divorce and the well-being of children: A meta-analysis. Psychological Bulletin, 110(1), 26-46. 

  27. Amato, P. R.(1993). Child's adjustment to divorce: Theories. hypotheses, and empirical support.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55, 23-38. 

  28. Amato, P. R.(2004). The consequences of divorce for adults and children. Journal of Marriage and Family, 62(4), 1269-1287. 

  29. Camara, K. A., & Resnick, G.(1988). Interparental conflict and cooperation: factors moderating children's post-divorces adjustment. Psychologe Bulletin, 103, 169-195. 

  30. Emery, R. E.(1982). Interparental conflict and the children of discord and divorce. Psychologe Bulletin, 92, 310-330. 

  31. Gately, D. W., & Schwebel, A. I.(1991). The challenge model of children's adjustment to parental divorce: explaining favorable postdivorce outcomes in children. Journal of Family Psychology, 5(1), 60-81. 

  32. Guidubaldi, J., Perry, J. D., & Nastasi, B. K.(1987). Growing up in a divorced family: intial an long-term perspectives on children's adjustment. Applied Social Psychology Annual, 7, 203-237 

  33. Harter, S.(1982). The perceived competence scale for children. Child Development, 53, 87-97. 

  34. Heterington, E. M.(1993). An overview of the Virginia longitudinal study of divorce and remarriage with a focus on early adolescence. Journal of Family Psychology, 7, 1-18. 

  35. Hetherington, E. M., & Stanley-Hagan, M.(1999). The Adjustment of Children with Divorced Parents: A Risk and Resiliency Perspective. J. Child Psychol. Psychiat, 40(1), 129-140. 

  36. Hetherington, M. E., Cox, M., & Cox, R.(1985). Long-term effects of divorce and remarriage on the adjustment of children. Journal of the American Academy of Child Psychiatry, 24, 518-530. 

  37. Kelly, J. B., & Emery, R. B.(2004). Children's adjustment following divorce: Risk and resilience perspectives. Family Relations, 52(4), 352-362. 

  38. Kurdek, L. A.(1981). An Integrative Perspective on Children's Divorce Adjustment. American Psychologist, 36(8), 856-866. 

  39. Lengua, l. j., Wolchik, S. A., & Braver, S. L.(1995). Understanding Children's Divorce Adjustment from an Ecological Perspective. Journal of Divorce & Remarriage, 22(3/4), 25-54. 

  40. Mahon, N. E., Yarcheski, A., & Yarcheski, T. J.(2003). Anger, Anxiety, and Depression in Early Adolescents From Intact and Divorced families. Journal of Pediatric Nursing, 18(4), 267-273. 

  41. Muransky, J. M., & DeMarie-Dreblow, D.(1995). Differences between high school students from intact and divorced families. Journal of Divorce and Remarriage 23(3/4), 187-196. 

  42. Stolberg, A. l., & Bush, J. P.(1985). A path analysis of factors predicting children's divorce adjustment. Journal of Clinical Child Psychology, 14(1), 49-54. 

  43. Stolberg, A. L., Camplair, C., Currier, K., & Wells, M. J.(1987). Individual, Familial and Environmental Determinants of Children's Post-Divorce Adjustment and Maladjustment. Journal of Divorce, 11(1), 51-70. 

  44. Twaite, J. A., Silitsky, D., & Luchow, A. K.(1998). Children of Divorce: Adjustment, Parental Conflict, Custody, Remarriage, and Recommendations for Clinicians. London: Jason Aronson.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