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회복력 요인 중심의 이혼가정 아동 적응모형
Development of a Structural Equation Model for Children's Adaptation in Divorced Families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 대한간호학회지, v.40 no.1, 2010년, pp.127 - 138  

신성희 (경희대학교 간호과학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designed to develop and test a structural model for children's adaptation in divorced families. The hypothetical model was constructed based on the Family Resilience Model by McCubbin and McCubbin. Methods: Data were collected using self-report questionnaires from 219 childr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는 McCubbin과 McCubbin (1993)의 가족 회복력 모형을 이론적 토대로 이혼가정 아동의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가족회복력과 문헌고찰을 통한 개인회복력과 관련된 변인들의 총체적인 인과구조를 살펴보고 공분산 구조분석을 이용하여 회복력 요인 중심의 이혼가정 아동 적응에 적합한 모형을 구축해보고자 한다. 그럼으로써 지역사회를 기반으로 하는 정신보건사업에서 이혼가정을 포함한 가족전환의 위기를 맞는 가족간호 중재 시 건강한 가족기능을 회복하고 가족구성원의 정신건강을 증진할 수 있는 회복력 중심의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이론적 근거를 마련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아동이 이해하기 쉽게 문항을 수정∙보완하는 도구 검정을 위한 예비조사와 본 조사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 수집 기간은 2006년 1월부터 3월 말까지였으며 서울, 경기, 대구 지역에 소재한 3개 초등학교와 22개 종합사회복지관, 8개 공부방을 편의표집하여 설문지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 본 연구는 이혼가정 아동의 적응을 설명하기 위해 회복력 요인을 중심으로 관련 요인을 규명하고 요인간의 경로와 영향력을 분석하여 인과관계를 파악함으로써 이혼가정 아동의 적응을 간호중재하기 위한 이론적 근거를 마련하고자 시행되었다. 가설적 모형의 적합도 검토 결과 부분적으로 수정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나 4개의 경로를 제거한 후 간명하고 적합도가 적절한 수정모형을 확정하였다.
  • 본 연구는 회복력 요인을 중심으로 이혼가정 아동의 적응을 설명하고 예측하기 위한 모형 개발을 위해 시도되었다. 연구 결과 이혼가정 아동의 개인회복력 요인은 아동의 적응에 직∙간접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고, 가족회복력 요인은 아동의 적응에 간접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회복력요인 중심의 본 모형이 이혼가정 아동의 적응을 설명할 수 있는 간명하고 적절한 모형임이 실증적으로 입증되었다.
  • 본 연구는 횡단적 조사연구로서 이혼가정 아동의 적응에 관한 가설적 모형을 제시하고, 모형의 적합도와 가설을 검정하는 공분산 구조분석 연구이다.
  • 본 연구의 목적은 회복력 요인을 중심으로 이혼가정 아동의 적응모형을 구축하고 모형과 실제 자료 간의 적합도를 검증하기 위함이다.
  • 더욱이 사춘기 이전의 아동기는 가족의 영향력이 큰 시기(Joo, 2004)이므로 이혼가정 아동의 적응을 위해서는 개인회복력뿐 아니라 가족회복력의 포괄적인 이해가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McCubbin과 McCubbin (1993)의 가족 회복력 모형을 이론적 토대로 이혼가정 아동의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가족회복력과 문헌고찰을 통한 개인회복력과 관련된 변인들의 총체적인 인과구조를 살펴보고 공분산 구조분석을 이용하여 회복력 요인 중심의 이혼가정 아동 적응에 적합한 모형을 구축해보고자 한다. 그럼으로써 지역사회를 기반으로 하는 정신보건사업에서 이혼가정을 포함한 가족전환의 위기를 맞는 가족간호 중재 시 건강한 가족기능을 회복하고 가족구성원의 정신건강을 증진할 수 있는 회복력 중심의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이론적 근거를 마련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먼저 수정모형을 가설적 모형과 비교해 보면 McCubbin과 McCubbin (1993)의 가족회복력 모형을 이혼가정 아동의 적응에 적용한 선행연구가 없어 직접적으로 비교하기는 어렵지만 알코올중독자 가정의 자녀적응 등 가족위기와 관련한 가족적응의 선행연구(Lin, 2000; Nam & Kim, 2003; Sim, 2004)에서 가족회복력 요인은 가족적응에 직∙간접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되어 이혼가정 아동의 적응에도 직∙간접 효과를 주는것으로, 개인회복력 요인은 아동의 적응에 직접 효과를 주는 것으로 가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리나라의 이혼건수는 어떻게 변화했는가? 1980년 2만 3천 건이었던 우리나라의 이혼건수는 2003년 16만 7천 건으로 20년 만에 일곱 배가 증가하는 최고치를 보였으나, 이혼숙려제 도입 등으로 2008년 11만 6천 5백 건으로 2007년에 비해 6.1%가 감소하였다(Korea National Statistical Office [KNSO], 2009). 그러나 이혼한 부부 중 54.
Amato는 이혼가정 아동이 어떤 특징을 보인다고 하였는가? 그러나 이러한 관점은 이혼가정 아동에 대한 편견을 조장한다는 지적과 이혼가정 아동의 적응에 관한 종단적인 연구들이 이전과는 다른 결과들을 보고(Hetherington & Stanley-Hogan, 1999)하면서 이혼가정 아동의 회복력에 대해 관심을 갖게 되었다. Amato (1993)에 의하면 이혼가정 아동의 대다수가 평균 범위에 속하는 적응점수를 보였으며, 이들의 적응이나 성취정도를 보면 양부모 가정 아동과 비교할 때 차이가 적다고 하였다. Kelly (2000)도 최근 10년간의 연구들을 살펴본 결과 대부분의 아동에게 이혼의 장기적인 결과가 역기능적이기보다는 회복력을 갖고 있다는 견해를 지지하였다.
joo는 이혼가정 아동이 적응하는데 영향을 미치는 것이 무엇이라고 보고하였는가? 즉 Cho (2004)는 자아존중감이 높은 아동일수록 부모이혼 후 적응을 잘한다고 보고하였고, Kim과 Kang (2005)은 부모이혼 후 부모와의 관계 및 가족의사소통이 아동의 적응에 영향을 미치며 교사, 친구, 부모의 지지가 이혼가정 아동적응에 회복력 요인임을 밝혔다. Joo (2004)는 개인요인으로 부모이혼에 대한 지각과 내적통제신념이, 가족요인으로 가족갈등, 가족관계 및 가족지지가, 가족외적요인으로 환경변화, 친구, 친척, 교사 및 공식적 지지가 부모이혼 후 아동적응에 영향을 미친다고 보고하였다. 알코올중독자 가정 자녀의 적응을 연구한 Nam과 Kim (2003)의 연구에서는 가족이 함께 문제의식을 갖고 협조하여 어려움을 극복하는 협동성 등의 가족강인성이, 뇌성마비아동 가족 대상의 Lin (2000)의 연구에서는 영적지지추구와 적극적인 자원동원 등의 문제해결대응이 가족적응을 활성화시킨다고 보고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Achenbach, T. M. (1991). Manual for the child behavior checklist 4- 18 and 1990 profile. Burlington, VT: University of Vermont, Department of Psychiatry. 

  2. Amato, L., & Keith, B. (1991). Parental divorce and the well-being of children: A meta-analysis. Psychological Bulletin, 110, 26-46. 

  3. Amato, P. R. (1993). Children's adjustment to divorce: Theories, hypotheses and empirical support.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55(Feb), 23-38. 

  4. Bae, B. R. (2005). Lisrel structural equation model: Interative Lisrel (2nd ed.). Seoul: Chunglam Publishing. 

  5. Bae, J. (2008). Causal relationships between school adjustment of middle school students and related variabl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8, 454-464. 

  6. Barens, H., & Olson, D. H. (1982).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family inventories. Minneapolis, MN: University of Minnesota Press. 

  7. Cho, S. A. (2004). Differences in risk factors and protective factors according to the level of psychological maladjustment of children of divorce. Unpublished master's thesis, Keimyung University, Daegu. 

  8. Coopersmith, S. (1975). Coopersmith self-esteem inventory. Palo Alto, CA: Consulting Psychologists Press. 

  9. Dubow, E. F., & Ulman, D. G. (1989). Assessing social support in elementary school children: The survey of children's social support. Journal of Clinical Child Psychology, 1, 52-64. 

  10. Emery, R. (1999). Postdivorce family life for children: Postdivorce family. Thousand Oaks, CA: Sage. 

  11. Han, M. H. (1996). The relation of stress and perceived social support to problem behavior.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12. Han, S. S., & Kim, K. M. (2006). Influencing factors on self-esteem in adolesc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6, 37-44. 

  13. Hetherington, E. M. (1991). The role of individual differences and family relationships in children's coping with divorce and remarriage. In P. A. Cowan, & E. M. Hetherington, (Eds.), Family transitions (pp. 163-192). Hillsdale,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14. Hetherington, M., & Stanley-Hogan, M. (1999). The adjustment of children with divorced parents: A risk and resiliency perspective. Journal of Child Psychology and Psychiatry, 40, 129-140. 

  15. Jeon, B. J. (1974). Self-esteem: A test of its measurability. Yonsei Nonchong, 1, 107-130. 

  16. Joo, S. H. (2004). Study of the factors that influence child's adaptation after divorce in child's point of view.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ungkyunkwan University, Seoul. 

  17. Kelly, J. B. (2000). Children's adjustment in conflicted marriage and divorce: A decade review of research. Journal of the Americ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39, 963-972. 

  18. Kim, S. K., & Kang, M. H. (2005). The path-analysis among riskprotective factors on the resilience of children from divorced family.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26, 261-278 

  19. Korea National Statistical Office. (2009). A report of population and households. Retrieved December 10, 2009, from http://kosis.kr/ metadata/main.jsp?c_id1962004 

  20. Kurdek, L. A., & Berg, B. (1987). Children's beliefs about parental divorce scale: Psychometric characteristics and concurrent validity.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55, 712-718. 

  21. Lee, Y. A. (1995). A study of perceived family adaptation in patient with chronic renal failure.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Yonsei University, Seoul. 

  22. Leske, J. S., & Jiricka, M. K. (1998). Impact of family demands and family strengths and capabilities on family well-being and adaptation after critically injury. American Journal of Critical Care, 7, 383-392. 

  23. Lin, S. I. (2000). Coping and adaptation in family of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Exceptional Children, 66, 201-217. 

  24. McCubbin, M. A., & McCubbin, H. I. (1993). Families coping with illness: The resiliency model of family stress, adjustment and adaptation. In C. B. Danielson, B. H. Bisell, & P. W. Fry (Eds.), Families, health, and illness: Perspectives on coping and intervention (pp. 21-63). St. Louis, MO: Mosby. 

  25. McCubbin, M. A., McCubbin, H. I., & Thompson, A. I. (1986). Family hardiness index (FHI). In H. I. McCubbin, A. I. Thompson, & M. A. MaCubbin (Eds.), Family assessment: Resiliency, coping and adaptation-Inventory for research and practice (pp. 239- 305). Madison, WI: University of Wisconsin. 

  26. McCubbin, H. I., Olson, D., & Larsen, A. (1981). Family crisis oriented personal evaluation scales (F-COPES). In H. I. McCubbin, A. I. Thompson, & M. A. MaCubbin (Eds.), Family assessment: Resiliency, coping and adaptation-Inventory for research and practice (pp. 455-507). Madison, WI: University of Wisconsin. 

  27. Min, H. Y. (1990). Circumplex model and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28. Min, H. Y. (1999). The Influence of the perceived controllability of stress situation and locus of control on children's coping behaviors with hassle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29. Nam, Y. O., & Kim, J. H. (2003). A study on the factors influencing school resilience of adolescents in the alcoholic families.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10, 199-221. 

  30. Oh, K. J., Lee, H. L., Hong, K. Y., & Ha, E. H. (1997). K-CBCL: Korean children behavior check list. Seoul: Chungangjucksung Publication. 

  31. Rosenberg, M. (1965). Society and the adolescent self-image. Princeton, NJ: Princeton University Press. 

  32. Sandler, I., Kim, L., & Tein, J. (1997). Locus of Control as Stress moderator and mediator in child of divorce. Journal of Abnormal Child Psychology, 25, 145-155. 

  33. Sim, M. K. (2004). Testing of resiliency model of families of children with cancer.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Yonsei University, Seoul. 

  34. Stolberg, A. L., & Mahler, J. (1994). Enhancing treating gains in a school-based intervention for children of divorce through skill building, parental involvement and transfer procedures.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62, 147-156. 

  35. Walsh, F. (1998). Strengthening family resilience. New York, NY: Guilford.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