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아동의 스트레스 및 자아존중감과 주관적 안녕감간의 관계
The Relations of Children's Stress, Self-Esteem, and Subjective Well-Being 원문보기

대한가정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v.48 no.10 = no.266, 2010년, pp.65 - 75  

최미경 (덕성여자대학교 아동가족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 between Children's stress, self-esteem, and subjective well-being with a sample of 320 elementary school 5th graders (of which 161 were boys and 159 were girls) living in Seoul. They completed questionnaires on Children's stress, self-este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즉, 아동의 스트레스는 주관적 안녕감에 직접적으로 부정적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이와 동시에 아동의 자아존중감을 낮추고, 아동의 낮은 자아존중감은 궁극적으로 주관적 안녕감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아동의 자아존중감이 아동의 스트레스와 주관적 안녕감간의 관계에서 차지하는 매개적 역할을 탐색해 보고자 한다.
  • 그러나 국내의 경우 아동의 주관적 안녕감에 관한 연구는 소수에 그치고 있으며(도인종, 2006; 이정미, 2006; 최윤정; 2007), 이 연구들도 아동의 주관적 안녕감과 사회적 지지나 부모의 양육 등 환경적 맥락과의 관계를 주로 다루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아동의 내적 행복감, 만족감인 주관적 안녕감과 심리적 변인인 자아 존중감과의 관계를 조사해보고자 한다.
  • 이처럼 세 개의 변인들 간의 유의한 관계는 Baron과 Kenny(1986)가 지적한 어느 한 변인의 매개적 역할을 예측하게 하는 기본 조건을 충족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아동의 스트레스와 주관적 안녕감간의 관계에서 자아 존중감의 매개적 역할을 탐색해 보았다.
  • 한편, 안녕감에 관한 국내 연구들은 주로 노인이나 성인의 안녕감에 관심을 두다가 차츰 청소년기에서 아동기로 까지 그 대상이 확대 되고 있으나, 아동 심리의 긍정적인 면에 초점을 두고 살펴본 연구는 여전히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학령기 아동을 대상으로 아동의 주관적 안녕감에 관해 조사 하고자 한다.
  • 아동의 스트레스와 자아존중감간의 관계를 주제로 한 연구는 국내의 경우 소수가 보고되나 아동의 스트레스 유형을 구분하여 살펴본 연구는 거의 찾아볼 수 없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학업적 요구가 커지기 시작하는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을 대상으로 어머니나 학업관련 스트레스와 자아존중감간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한다.
  • 종합적으로, 본 연구는 학령기 아동의 스트레스 및 자아 존중감이 아동의 주관적 안녕감과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스트레스와 자아존중감이 서로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살펴보고, 더 나아가 아동의 자아존중감이 스트레스와 아동의 주관적 안녕감간의 관계를 매개하는지를 탐색해보고자 한다.
  • 본 연구는 과외활동이나 학업부담감 등으로 인해 스트레스 발생이 증가하는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을 대상으로 아동의 스트레스 및 자아존중감과 주관적 안녕감이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살펴보고, 아동의 스트레스와 주관적 안녕감간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적 역할을 살펴보았다.
  • 국내 연구결과들도 이와 유사한 경향이 있어 높은 스트레스를 경험한 아동들은 우울감을 훨씬 더 높게 지각하고 있었고(김정희, 1987; 신재은, 1998; 이영자, 1995; 임자성; 2002), 스트레스를 많이 경험할수록 행동문제를 더 많이 보였다(한미현, 1996). 이러한 결과들은 아동기의 스트레스가 심리적 안녕감과 밀접히 관련됨을 나타내는 것으로, 아동들을 대상으로 스트레스와 긍정적인 정서인 주관적 안녕감간의 관계를 직접 적으로 살펴본 연구가 드문 상황에서 본 연구는 학업 부담이 증가하기 시작하는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들을 대상으로 아동이 경험하는 스트레스의 유형과 주관적 안녕감간에 어떠한 관계가 나타나는지를 조사하고자 한다.
  • 종합적으로, 본 연구는 학령기 아동의 스트레스 및 자아 존중감이 아동의 주관적 안녕감과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스트레스와 자아존중감이 서로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살펴보고, 더 나아가 아동의 자아존중감이 스트레스와 아동의 주관적 안녕감간의 관계를 매개하는지를 탐색해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아동의 자아존중감과 주관적 안녕감간의 상관관계를 조사한 결과는 어떠한가? 다음으로 아동의 자아존중감과 주관적 안녕감간의 관계를 살펴보기 위해 상관관계를 조사한 결과, 아동의 자아존중 감과 주관적 안녕감간에 유의한 정적관계가 나타났다. 즉, 아동의 자아존중감이 높을수록 아동 자신의 유능성 및 긍정적 정서성에 관한 안녕감과 대인관계에 관한 안녕감이 모두 높았다. 이것은 주관적 안녕감과 불가분의 관계에 놓여 있는 중요한 개인의 특성들 중의 하나가 자아존중감이라는 연구 결과(Lucas, Diener, & Suh, 1996)와 일치한다. 행복에 있어 자아존중감이 중요하고(Cheng & Fumham, 2004), 주관적 안녕감의 수준이 높은 사람들은 자아존중감이 높으며 (Diener et al., 1999; Mayer & Diener, 1995), 자기 자신에 대한 만족감은 주관적 안녕감과 가장 높은 상관을 보인다(Campbell, 1981; Diener, 1984)는 연구결과 및 자아존중감이 주관적 안녕감의 가장 신뢰로운 예언변인들의 하나라는 연구결과들(차경호, 2001; Campbell, 1981; Diener & Diener, 1995)과도 일맥상통한다. 즉, 사고과정, 감정, 욕망, 가치관, 목표 및 행동 등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자아존중감은 인간의 행복과 효과적 기능을 발휘하는데 필수적인 요소로 자아존중감이 높은 사람은 일상생활에서의 문제를 해결 하는데 더 많은 자원을 가지게 되므로 보다 정서적으로 안정되고 많은 행복을 느낄 수 있을 것이다.
주관적 안녕감은 무엇인가? 개인이 일상생활에서 느끼는 안녕감이나 행복감, 만족감으로서 정서적 안정을 나타내는 특성인 주관적 안녕감(subjective well-being)(Szalai, 1980)은 개인이 자신의 삶에 대해 스스로 내리는 평가라고 볼 수 있다. 여러 연구들은 주관적 안녕감은 최소한 두 개의 일반적인 측면, 즉 정서적 안녕감인 긍정적 정서 및 부정적 정서와 인지적 안녕감인 생활 만족으로 이루어져 있음을 밝히고 있다(Campbell, Converse, & Godgers, 1976; Diener, 1984; Myers & Diener, 1995).
주관적 안녕감은 무엇으로 이루어져 있는가? 개인이 일상생활에서 느끼는 안녕감이나 행복감, 만족감으로서 정서적 안정을 나타내는 특성인 주관적 안녕감(subjective well-being)(Szalai, 1980)은 개인이 자신의 삶에 대해 스스로 내리는 평가라고 볼 수 있다. 여러 연구들은 주관적 안녕감은 최소한 두 개의 일반적인 측면, 즉 정서적 안녕감인 긍정적 정서 및 부정적 정서와 인지적 안녕감인 생활 만족으로 이루어져 있음을 밝히고 있다(Campbell, Converse, & Godgers, 1976; Diener, 1984; Myers & Diener, 1995). 다시 말해 주관적 안녕감은 많은 긍정적 정서와 적은 부정적 정서, 그리고 높은 생활 만족도를 느끼는 상태라고 볼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78)

  1. 일강영자, 박성옥, 양명숙(1997). 아동의 스트레스. 경기도: 양서원. 

  2. 강인성(2004). 초등학생의 과외학습 스트레스와 정신건강의 관계.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 공수자, 한규석, 이은희(2004). 한국 노인의 주관적 안녕감 모형 개발.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9(3), 743-770. 

  4. 김경자(1994). 아동의 자기 역량이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5. 김병희(2006). 중학생의 우울과 스트레스 및 자아 존중감.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6. 김수빈(2008). 아동이 지각한 일상적 스트레스 및 사회적 지지와 적응.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7. 김수주(2002). 중.고등학생의 학교스트레스가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완충효과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8. 김정희(1987). 지각된 스트레스, 인지세트 및 대처방식의 우울에 대한 작용: 대학 신입생의 스트레스 경험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9. 도인종(2006). 초등학생의 낙관적 설명양식이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0. 류수영(1994). 국민학교 고학년용 생활 스트레스 척도의 개발을 위한 예비연구.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1. 박병기, 송정화(2007). 주관적 안녕의 $2{\times}3$ 다차원 요인구조. 교육심리연구, 21(3), 591-611. 

  12. 박선영, 도현심(2001). 가족기능 및 자아존중감과 청소년의 외로움간의 관계. 아동학회지, 19(1), 229-241. 

  13. 박소영, 문혁준(2005). 학령기 아동의 스트레스 관련 변인탐색. 대학가정학회지, 43(9), 71-84. 

  14. 박정희(1989). 아동의 우울성향에 따른 지각된 유능감.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5. 설남경(2000). 중학생의 스트레스와 자아개념과의 관계. 동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6. 신기명(1990). 학습 무기력척도 개발. 건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17. 신재은(1998). 청소년의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사회적 요인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8. 안진아(2006). 아동이 지각한 어머니의 기대 및 아동의 스트레스와 자아존중감과의 관계. 한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9. 이명순(1994). 여고생의 스트레스, 자아지각 및 대처방식의 관계에 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0. 이소현(2009). 어머니의 양육신념, 아동의 사교육 경험, 스트레스 및 주관적 안녕감.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1. 이영자(1995). 스트레스, 사회적 지지, 자아존중감과 우울 및 불안과의 관계.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22. 이영환, 한종혜, 박성옥(1998). 아동의 자기-지각과 일상적 스트레스에 관한연구: 한국아동과 미국 아동을 대상으로. 대한가정학회지, 36(12), 73-86. 

  23. 이정미(2006). 아동이 지각한 부모 간의 갈등, 어머니의 양육행동, 사회적 지지 및 안녕감 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24. 이지연(2002). 아동의 스트레스와 자아존중감 및 학교적응의 관계와 학교사회사업 서비스욕구. 동덕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5. 임자성(2002). 초등학생의 과외학습 스트레스와 관련한 심리적 특성 연구.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6. 정성인(1998). 아동의 사회적 지지에 따른 일상적 스트레스 및 적응행동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7. 정춘자(2004). 아동의 정신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대전대학교 경영행정.사회복지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8. 조성연, 신혜영, 최미숙, 최혜영(2008). 한국의 아동은 행복한가 - 전국 초등학교 2, 4, 6학년 아동을 대상으로 - 한국 아동학회 춘계학술대회 자료집, 69-81. 

  29. 차경호(1994). 자아존중감 및 여가활동 참여와 주관적 안녕감과의 관계. 여가학연구, 2(2), 27-38. 

  30. 천민필(1993). 초등학교 아동의 스트레스 요인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1. 최명선, 김광웅(2001). 실직과 비실직가정 아버지의 부적응 행동이 아동의 스트레스 및 행동문제에 미치는 영향. 한국놀이치료학회지, 14(2), 59-68. 

  32. 최미경, 조용래(2005). 생활 스트레스와 지각된 불안 통제감 및 대처양식이 대학생의 불안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4(2), 281-298. 

  33. 최미례, 이인혜(2003). 스트레스와 우울의 관계에 대한 자아 존중감의 중재효과와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2(2), 363-383. 

  34. 최윤정(2007). 변화신념, 압력신념, 학업성취와 주관적 안녕의 관계. 전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5. 통계청(2008). 사교육비조사. 서울: 통계청. 

  36. 통계청(2008). 아동, 청소년 정신건강 현황 조사. 서울: 통계청. 

  37. 한덕웅, 표승연(2002). 정서 경험에 따른 주관안녕, 건강지각 및 신체질병의 예측.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7(3), 403-427. 

  38. 한미현(1996). 아동의 스트레스 및 사회적지지 지각과 행동문제.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39. 한미현, 유안진(1995). 한국아동의 일상적 스트레스 척도의 개발. 대한가정학회지, 33(4), 49-64. 

  40. 한종혜(1994). 아버지와의 사회적 관계망에 따른 아동의 자기역량 지각 및 우울성에 관한연구, 인간발달연구. 1(1), 85-99. 

  41. Baron, R. M., & Kenny, D. A.(1986).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y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cider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1(6), 1173-1182. 

  42. Campbell, A.(1981). The sense of well-being in America: Recent patterns and trends. New york: McGraw Hill. 

  43. Campbell, A., Converse, P. E., & Rodgers, W. L.(1976). The quality of American life. New York: Russell Sage Foundation. 

  44. Campbell, J. D., Chew, B., & Scratchley, L. S.(1991). Cognitive and emotional reactions to daily events: The effects of self-esteem and selfcomplexity. Journal of Personality, 59, 473-505. 

  45. Cheng, H., & Fumham, A.(2004). Personality, selfesteem and demographic predictions of happiness and depression.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34, 921-942. 

  46. Compas, B. E., & Wagner, B. M.(1991). Psychosocial stress during adolescence: Intra personal and interpersonal process. In M. E. Colten and S. Gote (Eds.), Adolescent Stress (pp. 67-85). N. Y. : Aldine. 

  47. Diener, E.(1984). Subjective well-being. Psychological Bulletin, 95, 542-575. 

  48. Diener, E., & Diener, M.(1995). Cross-cultural correlates of life satisfaction and self-esteem.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ail Psychology, 68, 653-663. 

  49. Diener, E., Suh, E. M., Lucas, R. E., & Smith, H. L.(1999). Subjective well-being: Three decades on progress. Psychological Bulletin, 125(2), 276-302. 

  50. Dohrenwend, B. S., & Shrout, P. E.(1985). "Hassles" in the conceptualization and measurement of life stress variables. American Psychologist, 40, 780-785. 

  51. DuBois, D. L., Felner, R. D., Brand, S., Adan, A. M., & Evans, E. G.(1992). A Prospective study of life stress, social support, and adaptation on early adolescence. Child Development, 63, 542-557. 

  52. Dubow, E. F., & Tisak, J.(1989). The relation between stressful life events adjustment in elementary school children: The role of social support and socail problem-solving skills. Child Development, 60, 1412-1423. 

  53. Elkind, D.(2001). 쫓기며 자라는 아이들. 김용미(역). 서울: 학지사. (1981년 원저발간) 

  54. Garmezy, N.(1993). Children in poverty: Resilience despite risk. Psychiatry, 56, 127-136. 

  55. Harter, S.(1990). Ist in the assesment of the self-concept of children and adolescents. In A, la Greca(ed). Through the eyes of a child bistort. Allyn and Bacon. 

  56. Larson, R., & Asmussen, L.(1991). Anger, worry, and hurt in early adolescent: An enlarging world of negative emotion. In M. E. Colten & S. Gote (Eds.), Adolescent stress (pp. 21-42), N. Y. : Aldine. 

  57. Lazarus, R. S., & Folkman, S.(1984). Stress, appraisal and coping. New York: splinger Published Company. 

  58. Lempers, J. D., Clark-lempers, D., & Simons, R. L.(1989). Economic hardship, parenting, and distress in adolescence. Child Development, 60(1), 25-39. 

  59. Logan, G. D.(1989). Perceptions of control, competence, and contingency as influences on the stressbehavior symptom relation in school-age children. Psycscan Developmental psychology, 1(10). 88. 

  60. Lucas, R. E., Diener, E., & Suh, E.(1996). Discriminat validity of well-being measure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71,616-628. 

  61. Masten, A. S., & Coatsworth, J. D.(1998). The development of competence in favorable and unfavorable environment: Lessons from research on successful children. American Psychologist, 53, 205-220. 

  62. Morris, W. N., & Nemcek, D., Jr.(1982). The development of social comparison motivation among preschoolers: Evidence of a stepwise progression. Merrill-Palmer Quarterly of Behavior and Development, 28, 413-425. 

  63. Myers, D. G., & Diener, E.(1995). who is happy? Psychological Science, 6, 10-19. 

  64. Pearlin, L. I., & Schooler, C.(1978). The structure of coping. Journal of Health and Socail Behavior, 19, 2-12. 

  65. Piaget, J.(1932). The Moral judgement of the child. New York: Harcourt Brace Jovanovich. 

  66. Pollard, J. A., Hawkins, J. D., & Arther, M. W.(1999). Risk and protection: Are both necessary to understand diverse behavioral outcomes in adolescence? Social Work Research, 23(3), 145-158. 

  67. Rosenberg, M.(1965). Society and the adolescent self image. NJ: Princeton University Press. 

  68. Rowlison, R. T., & Felner, R. D.(1988). Major life events, hassles, and adaptation in adolescence: confounding in the conceptualization and measurement of life stress and adjustment revisited.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5(3), 432-444. 

  69. Ruble, D. N., Boggiano, A. K., Feldman, N. S., & Loebel, J. H.(1980). Developmental analyses of the role of social comparison in self-evaluation. Developmental Psychology, 16, 105-115. 

  70. Rutter, M.(1987). Psychological resilience and protective mechanism. In J. Rolf, A. Masten, D. Cichetti, K. Nuechterlein, & S. Weintraub (Eds.), Risk and protective factor in the development of psychopathology (pp. 181-214).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71. Schimmack, U., & Diener, E.(2003). Predictive validity of explicit and implicit self-esteem for subjective well-being. Journal of research in personality, 37(2). 

  72. Szalai, A., & Andrews, F. W.(1980). The quality lifecomparative studies. Beverly Hills, California: Sage. 

  73. Taylor, S. E., & Brown, J. D.(1988). Illustion and wellbeing: A social psychological perspective on mental health. Psychological Bulletin, 103, 193-210. 

  74. Watson, D., & Clark, L. A.(1984). Negative affectivity: The disposition to experience aversive emosional states. Psychological Bulletin, 96, 475-490. 

  75. Werner, E. E.(1989). High-risk children in young adulthood: A longitudinal study from birth to 32 years. American Journal of Orthopsychiatry, 59, 72-81. 

  76. Werner, E. E., & Smith, E.(1987). Vulnerable but invincible: A study of resilient children. NY: McGraw-Hill. 

  77. Youngs, B.(1995). 청소년 스트레스 이렇게 해결하라. 이일남(역). 서울: 정성출판사. (1986년 원저발간) 

  78. Zuckerman, D. M.(1989). Stress, self-esteem, and mental health: How does gender make a difference? Sex Roles, 20, 429-444.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