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해만가리비와 먹이생물 Phytoplankton의 지질함량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Oil Contents of Phytoplankton and Bay Scallop, Argopecten irradians 원문보기

한국패류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malacology, v.26 no.3, 2010년, pp.217 - 225  

김숙양 (국립수산과학원 어장환경과) ,  강석중 (경상대학교 양식학과) ,  최병대 (경상대학교 식품과학과) ,  전상호 (강원대학교 환경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성장기 해역별 해만가리비의 총지질 함량은 8월 통영해역에서 가장 높았으나, 9월과 10월에는 감소하였고 11월에는 가장 낮은 수치로 현저히 감소하였다. 해역별 phytoplankton의 총 지질함량은 통영해역에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나 통영해역에서의 가장 성장이 좋은 결과와 잘 일치하여 먹이생물인 phytoplankton의 총지질 함량이 해만가리비의 성장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보인다. 통영해역은 8월에 최고를, 11월에는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성장기에 있어서 해만가리비의 해역별 계절에 따른 지방산 조성중 포화지방산으로서는 16:0, 18:0가 주성분을 이루었고, 불포화지방산인 monoenoic acid는 16:1n-7, 18:1n-7, 20:1n-9, ARA (20:4n-6), EPA (20:5n-3), DHA (22:6n-3) 가 주성분이었다. 해만가리비의 성장기 (8-11월) 에 있어서 해역별 phytoplankton의 지방산 조성은 여름철인 8월에 오메가-3 고도불포화지방산은 성장이 나쁜 남해 해역이 높은데 비하여 통영과 남면해역은 낮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total oil proportion of bay scallop by areas during the growing period was the highest (2.8%) at Tongyong in August, then it decreased to 1.88% in September and 0.62% in October, and it was the lowest (0.22%) in November. The total oil proportion of phytoplankton by areas was the highest at Tong...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이매패류의 지질조성은 외부에서 섭취하는 먹이로부터 얻어지는 지질성분에 기인 (Zhukova, 1986; Zhukova and Svetashev, 1986) 하는 점을 이용하여 해만가리비의 먹이생물인 phytoplankton과 해만가리비 패주 속의 지방산 분석을 통하여 상호관계를 설명할 수 있는 추척자로 활용하고자 (Volkman and Johns, 1997; Sarqent et al., 1997; Veron et al., 1996; Leveille et al., 1997) 먹이생물인 phytoplankton과 해역별로 채취된 해만가리비 패주의 지방산을 분석하고 그 결과를 보고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가리비의 분류학적 위치는? 가리비는 분류학적으로 연체동물문 Mollusca, 부족강 Pelecypoda (이매패강 Bivalvia), 익형목 Pteriomorphia, 가리비과 Pectinidae에 속하며 (Kwon et al., 2001), 전 세계에 300여종 이상이 서식하고 있는데, 대부분 한해성인 종류로서 남, 북위 다같이 34°30′보다 고위도 지방에 분포한다 (Yoo, 1979).
가리비 분포하는 곳은? 가리비는 분류학적으로 연체동물문 Mollusca, 부족강 Pelecypoda (이매패강 Bivalvia), 익형목 Pteriomorphia, 가리비과 Pectinidae에 속하며 (Kwon et al., 2001), 전 세계에 300여종 이상이 서식하고 있는데, 대부분 한해성인 종류로서 남, 북위 다같이 34°30′보다 고위도 지방에 분포한다 (Yoo, 1979). 우리나라에 이식된 해만가리비는 여름철 고수온기에 성장하는 미국 멕시코만이 원산지인 온대성 가리비로 1982년 중국 산동반도 발해만으로 이식된 것을 새로운 양식품종으로 개발할 목적으로 남해수산연구소에서 1996년 9월 남해안으로 이식한 품종이며, 해만가리비 3개 아종 중에서 Argopecten irradians irradians (Waller, 1969) 에 속한다.
통영해역에서 먹이생물인 phytoplankton의 총지질 함량이 증가, 감소하는 시기는? 해역별 phytoplankton의 총 지질함량은 통영해역에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나 통영해역에서의 가장 성장이 좋은 결과와 잘 일치하여 먹이생물인 phytoplankton의 총지질 함량이 해만가리비의 성장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보인다. 통영해역은 8월에 최고를, 11월에는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성장기에 있어서 해만가리비의 해역별 계절에 따른 지방산 조성중 포화지방산으로서는 16:0, 18:0가 주성분을 이루었고, 불포화지방산인 monoenoic acid는 16:1n-7, 18:1n-7, 20:1n-9, ARA (20:4n-6), EPA (20:5n-3), DHA (22:6n-3) 가 주성분이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Ackman, R.G., Hooper, S.N. and Ke, P.T. (1971) The distribution of saturated and isoprenoid fatty acids in the lipids of three species of molluscs, Littorina littorea, Crassostrea virginica and Venus mercenaria. Comparative Biochemistry and Physiology Part B, 39: 579pp. 

  2. Ackman, R.G. (1989). Fatty acids. pp. 103-137. In: Ackman, R.G. ed. Marine Biogenic Lipids, fats, and Oils. Vol. I. CRC Press Inc., Boca Raton, FL. USA. 

  3. Belding, D.L. (1910) A report upon the scallop fishery of Massachusetts. Common wealth of Massachusetts, Boston, 150pp. 

  4. Bligh, E.G. and Dyer, W.j. (1959) A Rapid method of total lipid extraction and purification, Canadian Journal of Biochemistry and Physiology, 37: 911-917. 

  5. Cosper, E.M., Dennison, W.C., Carpenter, E.J., Bricelj, V.M., Mitchell, J.G., Kuenstner, S.H., Colflesh, D. and Dewey, M. (1987) Recurrent and persistent brown tide blooms perturb coastal marine ecosystem. Estuaries, 10(4): 284-290. 

  6. Gibbons, M.C. and Castagna, M. (1984) Serotonin as an inducer of spawning in six bivalve species. Aquaculture, 40(2): 189-191. 

  7. Jeong, B.Y., Choi, B.D., Moon, S.K., Lee, J.S., Jeong W.G. and Kim P.H. (1999) Proximate composition and sterol content of 35 species of marine invertebrates. Journal of Korean Fisheries Society, 32(2): 192-197. 

  8. Kwon, O.K., Min, D.K., Lee, J.R., Lee, J.S., Je, J.G. and Choe, B.L. (2001) Korean mollusks with color illustration. Hanguel Press, Pusan, 332pp. 

  9. Lannan, J.E. (1980) Broodstock management of Crassostrea gigas. II. Broodstock conditioning to maximize larval survival. Aquaculture, 21: 337-345. 

  10. Leveille, J.C., Amblard, C. and Bourdier, G. (1997) Fatty acid as specific algall markers natural lacustrian phytoplankton. Journal of plankton Research, 19(4): 469-490. 

  11. Loosanoff, V.L. and Davis, H.C. (1963) Rearing of bivalve mollusks. Advance in Marine Biology, 1: 1-136. 

  12. Oh, B.S. and Jung, C.K. (1996) Studies on the growth of the bay scallop, Argopecten irradians in winter season in south sea of Korea. The Korean Journal of Malacology, 15(2): 71-79. 

  13. Oh, B.S., Jung, C.G., Yang, M.H. and Kim, S.Y. (2000) Effect of rearing density in culture cage on the growth of the bay scallop, Argopecten irradians. Annual Report of National Fisheries Research and Development Institute, 58: 88-95. 

  14. Oh, B.S., Jung, C.K., Kim, S.Y., Kim, S.Y. and Chung, E.Y. ( $2002^1$ ) Reproductive cycle of the bay scallop, Argopecten irradians transplanted from China. Journal of the Korean Fisheries Society, 35: 201-206. 

  15. Oh, B.S., Yang, M.H., Jung, C.K., Kim, J.I., Kim, Y.S. and Kim, Y.S. ( $2002^2$ ) Effect of selected spat on growth of bay scallop, Argopecten irradians during aquaculture. Journal of Aquaculture, 15: 123-129. 

  16. Oh. B.S., Jung, C.K. and Kim, S.Y. ( $2002^3$ ) Growth of bay scallop, Argopecten irradians at different rearing depths. Journal of Aquaculture, 15: 61-68. 

  17. Oh, B.S., Jung, C.K. and Kim, S.Y. (2003) Artificial spawning, larval and spat developments of the bay scallop, Argopecten irradians. The Korean Jurnal of Malacology, 19: 19-24. 

  18. Peterson, C.H., Summerson, H.C., Fegley, S.R. and Prescott, R.C. (1989) Timing, intensity and sources of autumn mortality of adult bay scallops Argopecten irradians concentricus Say. Journal of Experimental Marine Biology Ecology., 127(2): 121-140. 

  19. Pohle, D.G., Bricelj, V.M. and Garcia-Esquivel, Z. (1991) The eelgrass canopy: an above-bottom refuge from benthic predators for juvenile bat scallops Argopecten irradians. Marine Ecology Progress Series, 74: 47-59. 

  20. Sarqent, J.R., Parkes, R.J., Mueller-Harvey, I. and Henderson, R.J. (1997) Lipid biomarkers in marine ecology. In Sleigh, M. A. (ed) Microbes in the sea. Ellis Horwood, chichester, Nature, 267: 693-694. 

  21. Smith, C.F. and Tettelbach, S.T. (1996) Bay scallop restoration, Western Peconic Bay, Project Report. 44pp. 

  22. Taylor, R.E. and Capuzzo, J.M. (1983) The reproductive cycle of the bay scallop, Argopecten irradians irradians (Lamarck), in a small coastal embayment on Cape Cod, Massachusetts. Estuaries 6(4): 431-435. 

  23. Tettelbach, S.T. (1991) Seasonal changes in a population of northern bay scallops, Argopecten irradians irradians (Lamarck, 1819). pp. 164-175 In: Shumway, S.E. and Sandifer, P.A. eds. An International compendium of scallop biology and culture, World Aquaculture Society, Baton Rouge, LA. 

  24. Veron, B., Dauguer, J.C. and Billard, C. (1996) Sterolic biomarkers in marine phytoplankton. Free and conjugated sterols of Pavlova lutheri (haptophyta). European Journal of phycology, 31: 211-215. 

  25. Volkman, J.K. and Johns, R.B. (1997) The Geochemical significance of positional isomer of unsaturated fatty acids from and intertidal zone sediment, Nature, 267: 693-694. 

  26. Waller, T.R. (1969) The evolution of the Argopecten gibbus stock (Mollusca: Bivalvia) with emphasis on the teritary and quaternary species of eastern North America. The Paleontological Society Memoir 3, 43: 1-125. 

  27. Wilbur, A.E. (1995) Population genetics of the bay scallop, Argopecten irradians. (Lamarck): an analysis of geographic variation and the consequences of self-fertilization. Ph. D. Thesis, Delaware University, 128pp. 

  28. Yoo, S.K. (1979) 淺海養殖. Sero Publishing Company, 639pp. 

  29. YSFRI (Yellow Sea Fisheries Research Institute) (1991) Training Manual on Breeding and Culture of Scallop and Sea Cucumber in China. Regional sea farming Development and Demonstration Project (RAS/90/002), 84pp. 

  30. Zhang, F. (1995) The rise of the bay scallop culture industry in China. Fisheries, biology and aquaculture of pectinids: 8th international pectinid workshop, 17: 131-135. 

  31. Zhukova, N.V. (1986) Biosynthesis of non-methyleneinterrupted dienoic fatty acids from [14C] acetate in molluscs, Biochim Biophys Acta, 878: 131pp. 

  32. Zhukova, N.V. and Svetashev, V.I. (1986) Non-methyleneinterrupted dienoic fatty acids in molluscs from the Sea of Japan, Comparative Biochemistry and Physiology Part B, 83: 643pp.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