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최근 연구에서 폴리페놀을 함유한 천연물은 질병의 위험과 노화의 원인인 ROS와 RNS를 감소시키는 것과 연관이 있다고 밝혔다. 본 연구에서는 섬쑥부쟁이 추출물과 분획물의 산화와 염증에 대한 저해 효과가 있는지에 대한 연구를 조사하였다. 섬쑥부쟁이 70% 메탄올 추출물은 헥산층, 에틸아세테이트층, 부탄올층, 물층을 극성별로 분획하였다. 섬쑥부쟁이로부터 분획한 에틸아세테이트 추출물과 부탄올 추출물의 전자공여능$50\;{\mu}g/mL$에서 각각 58.0%, 46.4%를 나타냈다. 에틸아세테이트 추출물의 superoxide anion radical 소거능은 $50\;{\mu}g/mL$에서 64.65%를 나타냈고, 부탄올 추출물은 $50\;{\mu}g/mL$의 농도에서 35.66%의 저해 효과를 나타내었다. 항염증 효과와 관련된 hyaluronidase와 lipoxygenase의 저해 활성에 대한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의 효과는 $5\;{\mu}g/mL$의 농도에서 각각 24.37%, 29.5%의 저해 효과를 나타냈다. 이러한 에틸아세테이트 추출물의 항염증 효과는 nitric oxide 생성 억제에서도 유의했으며, Raw 264.7 cell 내 LPS에 의해 유도된 iNOS 단백질에서 $50\;{\mu}g/mL$의 EtOAc 추출물을 처리시 81.5%의 발현을 억제하는 효과가 확인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lants and their extracts containing polyphenol have been shown to be associated with decreased the cause of aging and variety of disease such as reaction oxygen species (ROS) and reactive nitrogen species (RNS) in several recent studies. We conducted to investigate whether the extracts and fra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현재까지 섬쑥부쟁이에 관하여 알려진 물질로는 β-amyrin acetate, phytol, alismol, α-tocopheryl, quinone, α-spinasterol, 10-O-methyl-alismoxide, alismoxide, 3-O-[6'-O-palmitoyl-β-D-glucosyl]-spinasta-7, 22-diene[20]와 α-pinene, limonene, δ-elemene, β-pienene, cis-3-hexenol, myrcene 외 25종과 살초활성 물질인 coumarin[14]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섬쑥부쟁이 메탄올 추출물로부터 용매 분획한 섬쑥부쟁이 분획물에 대해 항산화, 항염증에 대한 여러 종류의 in vitro 검색법을 실시하여, 식품과 제약 그리고 화장품 산업에 적용하기 위한 천연소재로서의 가치를 검토하였다.
  • 최근 연구에서 폴리페놀을 함유한 천연물은 질병의 위험과 노화의 원인인 ROS와 RNS를 감소시키는 것과 연관이 있다고 밝혔다. 본 연구에서는 섬쑥부쟁이 추출물과 분획물의 산화와 염증에 대한 저해 효과가 있는지에 대한 연구를 조사하였다. 섬쑥부쟁이 70% 메탄올 추출물은 헥산층, 에틸아세테이트층, 부탄올층, 물층을 극성별로 분획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섬쑥부쟁이에 함유된 물질로 무엇이 있나요? Aster속 식물들은 한방에서 뱀에 물린데 상처를 치료하거나 타박상을 치료하는데 사용되어 왔다[13]. 현재까지 섬쑥부쟁이에 관하여 알려진 물질로는 β-amyrin acetate, phytol, alismol, α-tocopheryl, quinone, α-spinasterol, 10-O-methyl-alismoxide, alismoxide, 3-O-[6'-O-palmitoyl-β-Dglucosyl]-spinasta-7, 22-diene[20]와 α-pinene, limonene, δ-elemene, β-pienene, cis-3-hexenol, myrcene 외 25종과 살초활성 물질인 coumarin[14]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섬쑥부쟁이 메탄올 추출물로부터 용매 분획한 섬쑥부쟁이 분획물에 대해 항산화, 항염증에 대한 여러 종류의 in vitro 검색법을 실시하여, 식품과 제약 그리고 화장품 산업에 적용하기 위한 천연소재로서의 가치를 검토하였다.
섬쑥부쟁이란? 방향성 식용식물자원의 하나인 섬쑥부쟁이는 울릉도 산지에서 자생하는 국화과 개미취 속 다년초로서 모양은 취나물과 비슷하게 생겼고, 울릉도에서는 부지깽이라고 부르는데 이른 봄 새순을 잘라 식용하면 향이 진하다. 높이 1~1.
염증 반응이 지속되어 활성 질소종과 활성 산소종이 과다하게 발생하면, 어떤 문제를 발생시키나요? 염증 반응의 조절은 대단히 복잡한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이는 생체 내 복구체계의 증강 및 손상을 감소시키기 위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반복되는 조직의 손상이나 재생에 의해 염증반응이 지속되면, 염증관련 세포에서 ROS와 RNS가 과다 생성되고 그 결과로 영구적인 유전자의 변형이 야기된다[2]. 이처럼 ROS와 RNS는 생체 내 여러 가지 세포의 작용을 조절하는 염증 반응과 깊이 관련되어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Association of Analytical Chemists. 1980.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of the AOAC. 14th ed. Washington (DC): Association of Analytical Chemists INC. 

  2. Azad, N., Y. Rojanasakul, and V. Vallyathan. 2008. Inflammation and lung cancer: roles of reactive oxygen nitrogen species. J. Toxicol. Environ. Health. Part B: Crit Rev. 11: 5-11. 

  3. Blois, M. S. 1958. Antioxidant determination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26: 1199-1120. 

  4. Brune, B., J. Zhou, and A. Von Knethen. 2003. Nitric oxide, oxidative stress and apoptosis. Kidney Int. Suppl. 84: 4-22. 

  5. Byun, S. H., C. H. Yang, and S. C. Kim. 2005. Inhibitory effect of Scrophulariae Radix extract on $TNF-\alpha$ , $IL-1\beta$ , IL-6 and nitric oxide production in lipopolysaccharide activated Raw 164.7 cells. Kor. J. Herbology. 20: 7-16. 

  6. Carmichael, J., W. G. DeGraff, A. F. Gazdar, J. D. Minna, and J. B. Mitchell. 1987. Evaluation of a tetrazolium based semiautomated colorimetric assay: assessment of chemosensitivity testing. Cancer Res. 47: 936-942. 

  7. Delanty, N. and M. A. Dichter. 1998. Oxidative injury in the nervous system. Acta Neurol. Scand. 98: 53-145. 

  8. Ding, A. H., C. F. Nathan, and D. J. Stuehr. 1988. Release of reactive nitrogen intermediates and reactive oxygen intermediates from mouse peritoneal macrophages. Comparison of activating cytokines and evidence for independent production. J. Immunol. 141: 2407-2412. 

  9. Eskin, N. A., S. Grossman, and A. Pinsky. 1977. Biochemistry of lipoxy- genase in relation to food quality. CRC Crit. Rev. Food Sci. Nutr. 9: 1-4. 

  10. Fridovich, I. 1970. Quantitative aspects of the production of superoxide anion radical by milk xanthine oxidase. J. Biol. Chem. 245: 4053-4057. 

  11. Fridovich, I. 1989. Superoxide dismutase an adaption to paramagnetic gas. J. Biol. Chem. 264: 7761-7762. 

  12. Harman, D. 1982. Free radicals in biology. pp. 255-275. 8 ed. W.A. Pryor. London Academic Press, New York, U.S.A. 

  13. Kim, C. M., M. K. Sin, T. K. An, and K. S. Lee. 1997. Dictionary of Chinese herb. pp. 1431. Jung-Dam Publisher, Seoul, Korea. 

  14. Kim, K. W., J. G. Shin, and D. G. Lee. 2008. Isolation of herbicidal compound from Aster grehni Fr. Schm. Kor. J. Weed Sci. 28: 434-441. 

  15. Kim, S. C., Y. S. Jung, J. R. Lee, Y. W. Kim, B. H. Byun, T. K. Kwon, S. I. Suh, S. H. Byun, and Y. K. Kwon. 2004. Inhibition effect of Phellinus lgniarius water extract on $TNF-\alpha$ , $IL-1\beta$ , IL-6 and nitric oxide production in lipopolysaccharide activated Raw 164.7 cells. Korean J. Oriental Physiology & Pathology. 18: 880-886. 

  16. Kim, Y. S., Y. K. Noh, G. I. Lee, and Y. K. Kim. 1995. Inhibitory effects of herbal medicines on hyaluronidase activity. Kor. J. Pharmacogn. 26: 265-272. 

  17. Lee, C. B. 2006. Coloured flora of Korea. pp. 322. Hyangmoon- sa, Seoul, Korea. 

  18. Lee, E. S., H. K. Ju, T. C. Moon, E. Lee, Y. Jang, S. H. Lee, J. K. Son, S. H. Baek, and H. W. Chang. 2004. Inhibition of nitric oxide and tumor necrosis $factor-\alpha$ ( $TNF-\alpha$ ) production by propenone compound through blockade of nuclear $factor(NF)-\kappa B$ activation in cultured murine macrophage. Biol. Pharm. Bull. 27: 617-620. 

  19. Meyer, K. 1947. The biological significance of hyaluronic acid and hyaluronidase. Physiol. Rev. 27: 335-359. 

  20. Min, Y. D., H. C. Kwon, S. Z. Choi, and K. R. Lee. 2004. Terpenoids from the aerial parts of Aster grehni. Yakhak Hoeji. 48: 65-69. 

  21. Moncada, S., R. M. Palmer, and E. A. Higgs. 1991. Nitric oxide: physiology, pathophy siology and pharmacology. Pharmacol. Rev. 43: 109-142. 

  22. Parker, C. W. 1984. Lipoxygenases and leukotrienes. J. Allergy Clin. Immunol. 74: 343-348. 

  23. Posadas, I., M. C. Terencio, I. Guillen, M. L. Ferrandiz, J. Coloma, M. Paya, and M. J. Alcaraz. 2000. Co-regulation between cyclooxygenase-2 and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expression in the time course of murine inflammation. Naunyn-Schmiedeberg's Arch. Pharmacol. 361: 98-106. 

  24. Samuelsson, B. 1983. Leukotrienes: mediators of immediate hypersensitivity reactions and inflammation. Science. 220: 568-575. 

  25. Tappel, A. L., W. O. Lundberg, and P. D. Boyer. 1953. Effect of temperature and antioxidants upon the lipoxidase-catalyzed oxidation of sodium linoleate. Arch. Biochem. Biophys. 42: 293-304. 

  26. Taylor, G. W. and H. R. Morris. 1983. Lipoxygenase pathways. Br. Med. Bull. 39: 219-222. 

  27. Videla, L. A. and V. Fermandez. 1988. Biochemical aspects of cellular oxidative stress. Archivos de Biologia Y Medicina Experimentales. 21: 85-92. 

  28. Velioglu, Y. S., G. Mazza, L. Gao, and B. D. Oomah. 1998. Antioxidant activity and total phenolics in selected fruits, vegetables, and grain products. J. Agric. Food Chem. 46: 4113-4117. 

  29. Yoshizawa, S., T. Horiuchi, T. Yoshida, and T. Okuda. 1987. Antitumor promoting activity of (-)-epigal1ocatechin gallate, the main constitutent of tannin in green tea. Phytother. Res. 1: 44-47. 

  30. Yun, H. Y., V. L. Dawson, and T. M. Dawson. 1996. Neurobiology of nitric oxide. Crit. Rev. Neurobiol. 10: 291-31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