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천연의 식물과 추출물은 비용의 효율성과 풍부한 자원을 이점으로 식품, 약, 의약 분야와 마찬가지로 화장품 분야에서도 이용될 수 있다. 현재까지 섬쑥부쟁이항산화 활성을 제외하고는 그 효능에 대해 알려진 바가 없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울릉도의 대표적인 특산 식물인 섬쑥부쟁이 추출물을 이용하여 화장품 분야에서의 활용방안에 대한 연구를 조사한바, 효소적 in vitro 검색법을 측정하여 이들 중 가장 우수한 EtOAc 추출물을 대상으로 이러한 저해능이 멜라닌 생성에 관련된 단백질 발현과도 연관성이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B16F10 melanoma cell line 내 단백질 수준을 확인하였다. Tyrosinase, TRP-1의 항체를 이용한 western blot으로 관련 단백질의 발현량을 조사한 결과 섬쑥부쟁이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100 ug/ml을 처리한 군에서는 tyrosinase protein을 30.5%를 억제하였고, TRP-1은 41.5% 억제하였다. 한편, 섬쑥부쟁이 분획물의 생육 저해환 측정에서는 Staphylococcus epidermidis, Propionibacterium acnes, Escherichia coli에 대하여 헥산 분획물 2 mg/disc에서 각각 21.0 mm, 12.0 mm, 14.0 mm의 저해환을 나타내어 섬쑥부쟁이 헥산 분획물만이 유일하게 높은 항균활성을 나타났다. 이들 실험 결과를 미루어보아, 섬쑥부쟁이의 화장품 분야에서의 활용적 가치가 충분하다고 사료되나, 그 활성 성분에 대한 명확한 규명을 위한 추가적인 연구를 제시하는 바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lants and their extracts can be utilized as inexpensive and rich resources of active constituents in the cosmetic field, as well as the food, pharmaceutical and medicinal fields. Until now, Aster glehni Fr. Schm. had no known active effect, except on anti-oxidation, that was found during investiga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현재까지 섬쑥부쟁이에 관하여 알려진 물질로는 βamyrin acetate, phytol, alismol, α-tocopheryl, quinone, αspinasterol, 10-O-methyl-alismoxide, alismoxide, 3-O-[6'-Opalmitoyl-β-D-glucosyl]-spinasta, 7, 22-diene[23]과 α-pinene, limonene, δ-elemene, β-pienene, cis-3-hexenol, myrcene 외 25종[21]과 살초활성 물질인 coumarin[18]이 있으며, 육종[22]및 저장법[14]에 관한 연구와 추출조건[17]및 항산화 활성에 관한 연구[5]만 보고되어 있을 뿐, 효소학적 측면의 in vitro 검색법과 기타 연구에 관해서는 매우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섬쑥부쟁이 분획물의 미백 효능, 주름개선 효능, 항암 효능, 항균활성을 측정하여 약리활성 검증 및 화장품 천연소재로서의 활용 가치를 검토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섬쑥부쟁이 추출물을 용매분획하여 이들의 화장품 소재로서의 가치를 탐색하고자 미백, 주름 개선 및 항균 활성을 조사하였다. 미백과 주름개선에 관련한 효소 실험에서 4가지 분획물(Hexane, EtOAc, n-BuOH, Water)에서 양성 대조군과 비교 시 이들 중 활성이 가장 우수한 섬쑥부쟁이 EtOAc 분획물을 선정하여, 색소 침착과 관련된 대표적인 메카니즘인 tyrosinase protein과 TRP-1 발현을 mouse 유래의 B16F10 melanoma cell line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섬 쑥부쟁이의 유기산에는 어떤 것이 함유되어 있는가? 82%로 국내산 산채류 중 섬쑥부쟁이의 단백질함량이 가장 높은 것으로 보고되었다[24]. 또한 유기산에는 citric acid, fumaric acid, succinic acid, tartanic acid 등이 함유되어있으며, 유리아미노산은 glutamic acid가 가장 많고, 다음으로 phenylalanin, arginine, tyrosine 등이 함유되어 있으며, 비타민 B군인 riboflavin과 thiamin 중 특히 thiamin의 경우 113.17 mg%가 함유되어 있고, 총 지방산 함량은 3,250 mg%로 필수지방산인 linolenic acid와 linoleic acid가 총 지방산의 70% 이상으로 다량 함유되어있다.
섬쑥부쟁이는 울릉도에서 어떻게 부르는가? 울릉지역의 대표적인 산채 특산물인 섬쑥부쟁이는 여러해살이풀로 울릉도 산지에서 자생하는 국화과 개미취속 다년초로서 모양은 취나물과 비슷하게 생겼고, 울릉도에서는 부지깽이라고 부르는데 이른 봄 새순을 잘라 식용하면 향이 진하다[20]. 줄기는 곧추서서 가지를 많이 치고 높이는 1 m 안팎으로 짧은 털이 있어 껄껄하며, 잎은 어긋나게 붙고 잎 꼭지가 있다.
섬쑥부쟁이 잎의 외형적 특징은? 줄기는 곧추서서 가지를 많이 치고 높이는 1 m 안팎으로 짧은 털이 있어 껄껄하며, 잎은 어긋나게 붙고 잎 꼭지가 있다. 잎은 버들잎 모양 또는 넓은 버들잎 모양으로 밑 부분은 좁으며 끝이 날카롭고 변두리에 성긴 톱니가 있으며 잔털이 성기게 있다[12]. 한방에서 Aster속 식물들은 주로 뱀에 물린데 상처를 치료하거나 타박상을 치료하는데 사용되어 왔다[1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An, B. J., C. E. Lee, J. H. Son, J. Y. Lee, G. H. Choi, and T. S. Park. 2005. Antioxidant, anticancer and tyrosinase inhibition activities of extracts from Rhododendron mucronulatum T. J. Korean Soc. Appl. Biol. Chem. 48, 280-284. 

  2. Caccioni, D. R. L., M. Guizzardi, D. M. Biondi, A. Renda, and G. Ruberto. 1998. Relationship between volatile components of citrus fruit essential oils and antimicrobial action on Penicillium digitatum and Penicillium italicym. International J. of Food Microbiol. 43, 73-79. 

  3. Cannell, R. J. P., S. J. Kellan, A. M. Owsianks, and J. M. Walker. 1988. Results of a large scale screen of microalgae for the production of protease inhibitors. Planta Med. 54, 10-14. 

  4. Carmichael, J., W. G. DeGraff, A. F. Gazdar, J. D. Minna, and J. B. Mitchell. 1987. Evaluation of a tetrazolium based semiautomated colorimetric assay: assessment of chemosensitivity testing. Cancer Res. 47, 936-942. 

  5. Cho, M. J. 2001. A study on the antioxidant nutrients analysis and antioxidative activities of A denophora remotif lora and Aster glehni. MS Thesis, Duksung Women's University Seoul, Korea. 

  6. Choi, M. G., H. S. Chung, and K. D. Moon. 2008. Chemical components of Solidago virgaurea spp. gigantea, Aster glehni var. hondoensis and Aruncus dioicus var. kamtschaticus grown on Ulleung Island. Korean J. Food Preserv. 15, 576-581. 

  7. Conner, D. E. and L. R. Beuchat. 1984. Sensitivity of heat-stressed yeasts to essential oils of plants. Appl. Environ. Microbiol. 47, 229-233. 

  8. Demina, N. S. and S. V. Lysenko. 1996. Collagenolytic enzymes synthesized by microorganisms. Mikrobiologiia 65, 293-304. 

  9. Goldberg, I. 1994. Functional Foods. pp. 3-550, Chapman & Hall Press. New York, NY, USA. 

  10. Grant, N. H., and H. E. Alburn. 1959. Studies on the collagenases of Clostridium histolyticum. Arch. Biochem. Biophys. 82, 245-255. 

  11. Han, K. S., S. S. Ham, E. H. Jeong, and H. K. Lee. 1992. Antimutagenic effects of the edible mountain herb juices against Trp-P-1 and 2AF. J. Fd. Hyg. Safty 7, 161-168. 

  12. Im, R. J. and B. S. Do. 1988. Plant Book. pp. 672, Social Science Publishers Seoul. Korea. 

  13. Kaba, T., K. Morita, and T. Inoue. 1978. Antimutagenic action of vegetable factor on the mutagenic principle of tryptophane pyrolysate. Mutation Res. 53, 351-353. 

  14. Kang, K. S. 2007. The evaluation of anti-wrinkle effects in oriental herb extract. J. Life Science. 17, 1147-1151. 

  15. Kang, Y. C., K. K. Choi, K. H. Kim, and H. K. Kim. 2002. Microencapsulation of aster scaber and Aster glehni by spray drying. Korean J. Food Preserv. 9, 212-220. 

  16. Kim, C. M., M. K. Sin, T. K. An, and K. S. Lee. 1997. Dictionary of Chinese Herb, pp. 1431, JucngDam Publisher, Seoul, Korea. 

  17. Kim, H. K., Y. J. Kwon, K. H. Kim, and Y. H. Jeong. 2000. Changes of total polyphenol content and electron donating ability of Aster glehni extracts with different microwave-assisted extraction conditions. Korean J. Food Sci. Technol. 32, 1022-1028. 

  18. Kim, K. W., J. G. Shin, and D. G. Lee. 2008. Isolation of herbicidal compound from Aster glehni Fr. Schm. Kor. Soc. Weed Sci. 28, 434-441. 

  19. Kwon, Y. J., K. H. Kim, and H. K. Kim. 2002. Changes of total polyphenol content and antioxidant activity of Ligularia fisheri extracts with different microwave-assisted extraction conditions. Korean J. Food Preserv. 9, 332-337. 

  20. Lee, C. B. 2006. Coloured flora of Korea. pp. 322, Hyang moon sa, Seoul, Korea. 

  21. Lee, M. S. and M. S. Jung. 1998. Analysis of volatile flavor components of Aster grehni. Korean J. Soc. Food Sci. 14, 547-552. 

  22. Lee, J. S. 2000. Effects of NAA on stem cuttings of varigated Aster glehni, Achillea sibirica and Solidago virga-aurea var. asiatica native to Korea. J. Korean Env Res & Reveg Tech. 3, 8-11. 

  23. Min, Y. D., H. C. Kwon, S. Z. Choi, and K. R. Lee. 2004. Terpenoids from the aerial parts of Aster grehni. Yakhak Hoeji. 48, 65-69. 

  24. Nam, Y. and J. Baik. 2005. Status of research and possibility of development about endemic wild vegetables in Korea. J. Korean Soc. Plants People Environment. 8, 1-10. 

  25. Sadaki, O. 1996. The development of functional foods and materials. Bioindustry 13, 44-50. 

  26. Sim, G. S., J. H. Kim, B. C. Lee, D. H. Lee, G. S. Lee, and H. B. Pyo. 2008. Inhibitory Effects on Melanin Production in B16 Melanoma Cells of Sedum sarmentosum. Yakhak Hoeji. 52, 165-171. 

  27. Voegeli, R. 1996. Elastase and tryptase determination on human skin surface. Cosmetic & Toiletries 111, 51-58. 

  28. Wunsch, E. and H. G. Heindrich. 1963. Zur quantitativen bestimmung der collagenase. Hoppe-Seyler's Physiol. Chem. 333, 149-151. 

  29. Yagi, A., T. Kanbara, and N. Morinobu. 1986. The effect of tyrosinase inhibition for aloe. Planta Medica. 3981, 517-519. 

  30. Yoon, J. K., D. H. Lee, N. M. Kim, and J. S. Lee. 2005. Screening and extraction condition of anti-skin aging elastase inhibitor from medicinal plant. Korean J. Medicinal Crop. Sci. 13, 213-21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