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쑥부쟁이 분획물의 in vitro 암세포증식 억제 및 QR 유도효과
Inhibitory Effects on Cell Survival and Quinone Reductase Induced Activity of Aster yomena Fractions on Human Cancer Cells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34 no.1, 2005년, pp.8 - 12  

정복미 (여수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임상선 (여수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박윤자 (신라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배송자 (신라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약용 및 식용 식물로 사용되고 있는 쑥부쟁이 추출물과 분획물의 암세포 증식 억제 효과와 QR유도 효과를 실험하였다. 쑥부쟁이의 metanol 추출 및 용매 분획물의 암세포 증식억제 효과를 MTT assay로 실험한 결과, 3종의 인체 암세포주, 간암세포주인 HepG2, 자궁경부암 세포주인 HeLa 및 유방암 세포주인 MCF-7에서 모두 쑥부쟁이의 ethyl ether 분획층인 AYMEE층과 ethyl acetate 분획층인 AVMEA층에서 암세포 성장 저지 효과가 제일 컸다. 특히 HepG2 세포주에서 는 AYMEE를 200 $\mu$g/mL 첨가시켰을 때 94.5%의 암세포 증식 억제 효과가 나타났으며, 농도를 증가시킬수록 그 효과가 커져 500 $\mu$g/mL에서는 97.7%의 저지 효과를 보였다. MCF-7 세포주와 HeLa 세포주에서도 이와 비슷한 경향이었다. Butanol층인 AYMB와 메탄올층인 AYM에서는 대체적으로 낮은 농도에서는 효과가 약하였으나 300 $\mu$g/mL 이상에서는 높은 암세포 성장저지 효과를 보였다. HepG2 세포를 이용하여 암예방 지수인 QR 유도 활성을 측정한 결과, 다른 분획층에 비해 비극성 용매층인 hexane 분획층, AYMH에서 QR 유도 활성을 증가시키는 경향이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performed to determine the inhibitory effects on cell survival and Quinone reductase induced activity of Aster yomena (AY) on human cancer cells which, using methanol, was extracted and fractionated into five different solvent types: hexane (AYMH), ethylether (AYMEE), ethylacetate (AY...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동의보감에서는 해 열 제, 이뇨제로 이용하며, 민간요법에서는 기침, 천식 등에 쓰이고 있으며, 잎에서 즙을 내어 벌레 물린 데에도 사용한다. 쑥부쟁이의 생리활성에 대한 연구는 전혀 없으므로, 본 연구는 쑥부쟁이를 사용하여 小 u泊0에서의 암세포 증식 억 제효 과와 암 예방 지 표로 쓰이는 quinone reductase 유도 활성 에 대한 연구를 하여 보고하는 바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Kim TY. 2003. Lifestyle modification for cancer prevention. Korean J Internal Medicine 65: 136-140 

  2. Goodman GY, Yen YP, Cox TC, Crowlny J. 1987. Effect of verapamilon in vitro cytotoxicin and vinblastin in human tumor cell. Cancer Res 47: 2295-2311 

  3. Fish B. 1984. Clinical trials for the evaluation of cancer therapy. Cancer Res 54: 609-615 

  4. Choi SY, Cheigh MJ, Lee JJ, Kim HJ, Hong SS, Chung KS, Lee BK. 1999. Growth suppression effect of traditional fermented soybean paste on the various tumor cells. J Korean Soc Food Sci Nutr 28: 459-463 

  5. Ham SS, Han HS, Choi GP, Oh DH. 1997. Inhibitory effects of synurus deltoids extracts on the mutagenesis induced by various mutagens. J Korean Soc Food Sci Nutr 26: 528-533 

  6. Kim HJ, Han J, Yang EJ, Lee IS. 2000. Chemoprevention effect of Polyzellus mutiplex, a wild and edible mushroom. J Korean Soc Food Sci Nutr 29: 161-167 

  7. Ji JH, Kim MN, Chung CK, Ham SS. 2000. Antigenotoxic effects of Phellinus lintens and Agaricus blazei Murill extrac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29: 513-517 

  8. Cheng GC, Lee JY, Kim DC, Suh SO, Hwang WI. 2000. Inhibitory effect of Salvia miltiorrhiza extract on growth of some cancer cells. J Korean Soc Food Sci Nutr 29: 726-731 

  9. Choi YJ. 1992. Cultivation and use method of wild edible greens. Oh Sung Press, Seoul 

  10. Lee KD, Kim JS, Bae JO, Youn HS. 1992. Antioxidative effectiveness of water extract and ether extract in wormwood (Artemisia montana Pampan). J Korean Soc Food Sci Nutr 21: 17-22 

  11. Wills RBH, Wog AWK, Seriven FM, Greenfield H. 1984. Nutrients composition of chinese vegetables. J Agric Food Chem 32: 413-416 

  12. Gins VK, Kolesnikov PF, Trishin ME, Gins MS. 2000. Oxyanthra quinones and flavonoids from galandchrysanthemum. Prikl Biokhim Mikrobiol 36: 344-353 

  13. Yang SB. 1988. The effect of fertilization level, sowing distance and sowing date on the growth and quality of Chrysanthemum coronarium L. MS thesis. Korea University, Seoul, Korea 

  14. Lim SS, Jung HO, Jung BM. 1997. Effect of Ixeris sonchifolia H. on serum lipid metabolism in hyperlipidemic rats. Korean J Nutr 30: 889-895 

  15. Bae SJ, Kim NH, Koh JB, Roh SB, Jung BM. 1997. Effects of godulbaegi (Ixeris Sonchifolia H.) diets on enzyme activities of CCl4-induced hepatotoxicity in rats. Korean J Nutr 30: 19-25 

  16. Son HS, Jung BM, Cha YS. 2001. Effects of Ixeris sonchifolia H. diet on lipid metabolism and liver function of rats administered with ethanol. Korean J Nutr 34: 493-498 

  17. Kim KH, Jeon HJ, Han YS. 1998. Screening of antimicrobial activity of the dandelion (Taraxacum platycarpum) extract. Korean J Soc Food Cookery Sci 14: 114-118 

  18. Cho SY, Oh YJ, Park JY, Lee MK, Kim MJ. 2003. Effect of dandelion (Taraxacum officinale) leaf extracts on hepatic antioxidative system in rats fed high cholesterol diet. J Korean Soc Food Sci Nutr 32: 458-463 

  19. Prochaska HJ, Santamaria AB. 1988. Direct measurement of NAD(P)H: Quinone reductase from cells cultured in microtiter wells: A screening assay for anticarcinogenic enzyme inducers. Anal Biochem 169: 328-336 

  20. Lee KB, Ha TJ, Lee BW, Lee JR, Lee J, Hwang SW, Cho DY, Nam SH. 2003. Natural products, organic chemistry: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terpenoids from the leaf of Chrysanthemum coronarium L. J Korean Soc Agric Chem Biotechnol 46: 5-5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