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대나무 산림토양으로부터 수집한 Streptomyces 속 방선균의 계통학적 다양성
Biodiversity and Phylogenetic Analysis of Streptomyces Collected from Bamboo Forest Soil 원문보기

Korean journal of microbiology = 미생물학회지, v.46 no.3, 2010년, pp.262 - 269  

이효진 (목원대학교 미생물나노소재학과) ,  황경숙 (목원대학교 미생물나노소재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국내 자생하는 왕대, 분죽, 조릿대, 호마죽과 같은 다양한 대나무 산림토양의 낙엽층, 부식층, 근권토양 내 방선균 밀도 측정 결과, $2.7{\times}10^6-2.7{\times}10^8$ CFU/g로 계수되었으며, 특히 조릿대 낙엽층 내에는 $2.7{\times}10^8$ CFU/g의 매우 높은 밀도로 분포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대나무림 낙엽층으로부터 100균주, 부식층으로부터 70균주 그리고 근권토양으로부터 160균주로 총 330균주의 방선균을 수집하였다. 이들 분리된 균주들의 기균사, 기중균사 및 색소형성 등을 관찰한 결과 36개 방선균 군집으로 분류되었다. 각 그룹으로부터 대표 방선균 50균주를 선발하여 16S rRNA 유전자 염기서열을 해석하고 계통학적 위치를 검토한 결과, 94%가 Streptomyces 속에 속하였으며, cluster I (2균주), II (35균주), III (6균주), 그리고 IV (7균주)에 속하는 특징을 나타내었다. 대나무 산림토양으로부터 수집된 Streptomyces 속 방선균 50균주를 Shannon-Wiener법에 의해 다양성 지수를 산출한 결과, 대나무림 낙엽층으로부터 수집된 방선균의 다양도는 3.33으로 부식층과 근권토양 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근권토양으로부터 수집된 방선균의 88%가 cluster II에 속하는 특징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에서 수집한 방선균을 Botrytis cinerea, Xanthomonas campestris 그리고 Xanthomonas axonopodis pv. vesicatoria에 대해 항균활성능을 검토한 결과, 각 74균주, 16균주, 25균주 그리고 24균주가 항균활성능을 나타내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o investigate a quantitative evaluation of the actinobacteria, we have collected samples from various kinds of bamboo forest soil. Each different layers contained $2.7{\times}10^6-2.7{\times}10^8$ CFU/g of actinobacteria which was the highest in litter layers of Sasa boreali forest soi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 자생하는 왕대, 분죽, 조릿대, 호마죽과 같은 주요 대나무종 산림토양의 낙엽층, 부식층 그리고 근권토양 내 분포하는 방선균 밀도를 조사하고 방선균을 수집하였으며, 각 대나무림 토양으로부터 분리된 대표 방선균의 계통학적 다양성을 조사하여 바이오 소재산업에 활용 가능한 유전자원 다양성 확보를 위한 기반연구를 수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방선균은 어디에 분포하는가? 방선균은 토양, 하천, 바다, 근권, 부엽토, 동물의 내장, 퇴비, 혈관, 대기, 생활하수, 폐수 등 거의 모든 자연환경에 분포하고 있다(26). 이들 다양한 자연환경 시료를 대상으로 방선균 다양성을 조사한 결과, Streptomyces 속이 69.
방선균 중 가장 많이 존재하는 속은 무엇인가? 방선균은 토양, 하천, 바다, 근권, 부엽토, 동물의 내장, 퇴비, 혈관, 대기, 생활하수, 폐수 등 거의 모든 자연환경에 분포하고 있다(26). 이들 다양한 자연환경 시료를 대상으로 방선균 다양성을 조사한 결과, Streptomyces 속이 69.4%로 가장 많이 존재하며, Micromonospora 속 11.
미생물을 이용한 생명소재 산업에서 방선균은 어떤 기대를 받고 있는가? 미생물을 이용한 생명소재 산업은 21세기 바이오산업의 근간이다. 방선균은 유전적 다양성과 함께 기능적 다양성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고부가가치 자연자원으로 경제적 잠재가치를 가진 것으로 인정되고 있다. 방선균은 항생물질을 포함한 생리활성물질을 생산하는 균주로 주목 받아 오면서 지금까지 알려진 약 10,000여 종의 항생물질 중 75% 이상이 방선균에 의해 분리되었으며, 생리활성물질은 약 64%가 방선균류, 곰팡이류 2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Berdy, J. 1974. Recent developments of antibiotic research and classification of antibiotics according to chemical structure. Adv. Appl. Microbiol. 18, 309-406. 

  2. Berdy, J. 1985. Screening, classification and identification of microbial products, pp. 9-31. In M.S. Verral (ed.), Discovery and isolation of microbial products, Society of Chemical Industry, Ellis Horwood Ltd., London, UK. 

  3. Berdy, J. 1989. The discovery of new bioactive microbial metabolites: Screening and identification, pp. 3-27. In M.E. Bushell (ed.), Bioactive metabolites from microorganisms, Elsevier, Amsterdam, Netherlands. 

  4. Chun, J.S., H.D. Youn, Y.I. Yim, H. Lee, M.Y. Kim, Y.C. Hah, and S.O. Kang. 1997. Streptomyces seoulensis sp. nov. Int. J. Syst. Bacteriol. 47, 492-498. 

  5. Dilly, O.J., J. Bloem, A. Vos, and J.C. Munch. 2004. Bacterial diversity in agricultural soils during litter decomposition. Appl. Environ. Microbiol. 70, 468-474. 

  6. Higton, A.A. and A.D. Roberts. 1998. In B.W. Bycroft (ed.), Dictionary of antibiotics and related substances, pp. 10-18. Chapman and Hall, New York, USA. 

  7. Kim, B., A.M. Al-Tal, K.S. Bum, P. Somasundaram, and M. Goodfellow. 2000. Streptomyces thermocoprophilus sp. nov., a cellulase-free endo-xylanase?producing streptomycete. Int. J. Syst. Evol. Microbiol. 50, 505-509. 

  8. Kim, B., N. Sahin, D.E. Minnikin, J. Zakrzewska-Czerwinska, M. Mordarski, and M. Goodfellow. 1999. Classification of thermophilic streptomycetes, including the description of Streptomyces thermoalcalitolerans sp. nov. Int. J. Syst. Bacteriol. 49, 7-17. 

  9. Kim, H.J., S.C. Lee, and B.K. Hwang. 2006. Streptomyces cheonanensis sp. nov., a novel streptomycete with antifungal activity. Int. J. Syst. Evol. Microbiol. 56, 471-475. 

  10. Kim, S.B. and M. Goodfellow. 2002. Streptomyces thermospinisporus sp. nov., a moderately thermophilic carboxydotrophic streptomycete isolated from soil. Int. J. Syst. Evol. Microbiol. 52, 1225-1228. 

  11. Kim, S.B., C. Falconer, E. Williams, and M. Goodfellow. 1998. Streptomyces thermocarboxydovorans sp. nov. and Streptomyces thermocarboxydus sp. nov., two moderately thermophilic carboxydotrophic species from soil. Int. J. Syst. Bacteriol. 48, 59-68. 

  12. Kim, S.B., C.N. Seong, S.J. Jeon, K.S. Bae, and M. Goodfellow. 2004. Taxonomic study of neutrotolerant acidophilic actinomycetes isolated from soil and description of Streptomyces yeochonensis sp. nov. Int. J. Syst. Evol. Microbiol. 54, 211-214. 

  13. Kuster, E. and S.T. Williams. 1964. Selection of media for isolation of Streptomyces. Nature 202, 928-929. 

  14. Lanoot, B., M. Vancanneyt, B. Hoste, K. Vandemeulebroecke, M.C. Cnockaert, P. Dawyndt, Z. Liu, Y. Huang, and J. Swings. 2005. Grouping of streptomycetes using 16S-ITS RFLP fingerprinting. Res. Microbiol. 156, 755-762. 

  15. Leadbetter, E.R. 1974. Bergey's manual of determinative bacteriology, 8th ed., pp. 599-881. In R.E. Buchanan and N.E. Gibbons (eds.). The Williams & Wilkins Co., Baltimore, Maryland, USA. 

  16. Lechevalier, H.A. 1989. A practical guide to generic identification of actinomycetes. In S.T. Williams, M.E. Sharpe, and J.G. Holt (eds.), Bergey's manual of systematic bacteriology, 4th ed. pp. 2344-2347. The Williams & Wilkins Co., Baltimore, Maryland, USA. 

  17. Lee, J.Y., J.Y. Lee, H.W. Jung, and B.K. Hwang. 2005. Streptomyces koyangensis sp. nov., a novel actinomycete that produces 4-phenyl-3-butenoic acid. Int. J. Syst. Evol. Microbiol. 55, 257-262. 

  18. Matsuzawa, Y., O.T. Yoshimoto, H. Naganawa, T. Takeuchi, and H. Umezawa. 1980. Biosynthesis of anthracycline antibiotics by Streptomyces galilaeus. II. structure of new anthracycline antibiotics obtained by microbial glycosidation and biological activity. J. Antibiot. 33, 1341-1347. 

  19. Okazaki, T. 1987. Rare actinomycetes-new breed of actinomycetes. J. Microorganism. 3, 453-461. 

  20. Park, D.H., J.S. Kim, S.W. Kwon, C. Wilson, Y.M. Yu, J.H. Hur, and C.K. Lim. 2003. Streptomyces luridiscabiei sp. nov., Streptomyces puniciscabiei sp. nov. and Streptomyces niveiscabiei sp. nov., which cause potato common scab disease in Korea. Int. J. Syst. Evol. Microbiol. 53, 2049-2054. 

  21. Rudi, K., G.H. Kleiberg, R. Heiberg, and J.T. Rosnes. 2007. Rapid identification and classification of bacteria by 16S rDNA restriction fragment melting curve analyses (RFMCA). Food Microbiol. 24, 474-481. 

  22. Rudi, K., M. Zimonja, and T. N $\ae$ s. 2006. Alignment-independent bilinear multivariate modelling (AIBIMM) for global analyses of 16S rRNA gene phylogeny. Int. J. Syst. Evol. Microbiol. 56, 1565-1575. 

  23. Shimazu, A., C.J. Kim, and I.D. Yoo. 1993. Diversity of Actinomycetes Species, morphology and life cycle. Kor. J. Appl. Microbiol. Biotechnol. 21, 88-94. 

  24. Stackebrandt, E.W., W. Liesack, and B.M. Goebel. 1993. Bacterial diversity in a soil sample from a subtropical Australian environment as determined by 16S rDNA analysis. FASEB J. 7, 232-236. 

  25. Stackebrandt, E.W., W. Liesack, and D. Witt. 1992. Ribosomal RNA and rDNA sequence analyses. Gene 115, 255-260. 

  26. Takashi, S. 1987. Cosmopolitan actinomycetes. J. Microorganism 3, 482-492. 

  27. Tamura, K., J. Dudley, M. Nei, and S. Kumar. 2007. MEGA4: Molecular evolutionary genetics analysis (MEGA) software version 4.0. Mol. Biol. Evol. 24, 1596-1599. 

  28. Tanaka, Y. and S. Omura. 1990. Metabolism and products of actinomycetes an introduction. Actinomycetol. 4, 13-14. 

  29. Thompson, J.D., T.J. Gibson, F. Plewniak, F. Jeanmougin, and D.G. Higgins. 1997. The Clustal_X windows interface: Flexible strategies for multiple sequence alignment aided by quality analysis tools. Nucleic Acids Res. 25, 4876-4882. 

  30. Turnidge, J.D. and J.M. Bell. 2005. Antimicrobial susceptibility on solid media, pp. 8-60. In V. Lorian (ed.), Antibiotics in laboratory medicine. The Williams & Wilkins Co., Baltimore, London, UK. 

  31. Whang, K.S. and S.H. Yu. 1995. Growth patterns of soil bacteria in different organic nutrient concentrations and isolation of facultative and obligate oligotrophic bacteria. Kor. J. Microbiol. 21, 319-324. 

  32. Williams, S.T., M. Goodfellow, G. Alderson, E.M.H. Wellington, P.H.A. Sneath, and M.J. Sackin. 1983. Numerical classification of Streptomyces and related genera. J. Gen. Microbiol. 129, 1743-181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