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해면 Callyspongia elegans에 서식하는 세균군집의 계통학적 다양성
Phylogenetic Diversity of Bacterial Community Inhabited in Callyspongia elegans 원문보기

Korean journal of microbiology = 미생물학회지, v.50 no.2, 2014년, pp.152 - 157  

박소현 (제주대학교 해양의생명과학부) ,  김지영 (제주대학교 기초과학연구소) ,  김영주 (제주대학교 해양과환경연구소) ,  허문수 (제주대학교 해양의생명과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논문은 Callyspongia elegans에서 서식하는 세균군집에 관한 내용이다. 해양세균은 marine agar를 사용하여 해면동물 C. elelgans에서 분리하였다. 그 결과 112균주를 분리하였으며, 본 연구에 사용하였다. 현미경 및 그람 염색을 통해 형태학적 표현형질을 측정하였다. 분리균주의 집락 색소는 노란색, 갈색, 아이보리색, 흰색으로 나타났다. 그람염색 결과 37균주는 그람양성균이였으며, 75균주는 그람 음성균이었다. 균주의 형태는 분리균주 중 79균주는 구균형태로 관찰되었고, 16균주는 간균이었다. 16S rDNA 유전자 염기서열 분석을 통해 분리균주들의 계통학적 특성을 파악하였다. 그 결과, 분리된 112균주는 5개의 주요 계통군이 확인되었으며, Alphaproteobacteria는 39%, Gammaproteobacteria는 22%, Acinobacteria는 14%, Firmicutes는 9%, Bacteroidetes는 6%에 속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16S rDNA 유전자 염기서열을 통해 계통분석 결과 15균주가 새로운 속 또는 종으로 분류될 가능성을 나타났으며, 앞으로 추가적인 실험이 필요한 실정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bacterial community inhabited in Callyspongia elegans. Marine bacteria were isolated from the marine sponge C. elegans using marine agar. The resulting 112 isolated pure cultures were then used for further study. They were characterized by determining mo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Demospongiae 강에 속하는 해면 Callyspongia elegans에서 배양가능한 세균을 분리·배양하여 탐색하고, 16S rDNA를 비교하여 세균의 군집 구조를 분석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계통 분류상, 가장 많은 해면이 속하는 강은 무엇인가? 무척추동물로 오랜 진화적 역사를 갖고 있는 해면은 3개의 주요 강 Calcarea, Demospongiae, Haxactinellida으로 나뉘며, Demospongiae 강에 가장 많은 해면이 속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Hentschel et al., 2006; Thomas et al.
계통 분류상, 해면은 어떤 강으로 나뉘는가? 무척추동물로 오랜 진화적 역사를 갖고 있는 해면은 3개의 주요 강 Calcarea, Demospongiae, Haxactinellida으로 나뉘며, Demospongiae 강에 가장 많은 해면이 속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Hentschel et al., 2006; Thomas et al.
해면에 서식하며, 숙주 해면과의 공생관계를 가지는 세균은 어떤 역할을 하는가? 해면에 서식하는 세균은 여과섭식하는 해면의 먹이원이기도 하지만, 소화과정과 면역반응에 저항하며 공생하면서 면역반응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Thoms et al., 2003; Cho and Park, 200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Alfreider, A., Pernthhaler, J., Amann, R., Sattler, B., Glockner, F.O., Wille, A., and Psenner, R. 1996. Community analysis of the bacterial assemblages in the winter cover and pelagic layers of high mountain lake by in situ hybridization. Appl. Environ. Microbiol. 62, 2138-2144. 

  2. Braekman, J. and Daloze, D. 2004, Chemical and biological aspects of sponge secondary metabolites. Phytochem. Rev. 3, 275-282. 

  3. Cho, H.H. and Park, J.S. 2009. Comparative analysis of the community of culturable bacteria associated with sponges, Spirastrella abata and Spirastrella panis by 16S rDNA-RFLP. Kor. J. Microbiol. 45, 155-162. 

  4. Cho, H.H., Shim, E.J., and Park, J.S. 2010. Phylogenetic diversity of bacteria associated with the marine sponges, Spirastrella abata and Cinachyrella sp. Kor. J. Microbiol. 46, 177-182. 

  5. Eilers, H., Pernthaler, J., Glockner, F.O., and Aman, R. 2000. Culturability and in situ abundance of pelagic bacteria from the North Sea. Appl. Environ. Microbiol. 66, 3044-3051. 

  6. Felsenstein, J. 1981. Evolutionary trees from DNA sequences: a maximum like lihood approach. J. Mol. Evol. 17, 368-376. 

  7. Friedrich, A.B., Hacker, J., Fischer, I., Proksch, P., and Hentschel, U. 2001. Temporal variations of the microbial community associated with the Mediterranean sponge Aplysina aerophoba. FEMS Microbiol. Ecol. 38, 105-113. 

  8. Graeber, I., Kaesler, I., Borchert, M.S., Dieckmann, R., Page, T., Lurz, R., Nielsen, P., Dohren, H.V., Michaelis, W., and Szewzyk, U. 2008. Spongiibacter marinus gen. nov., sp. nov., a Halophilic marine bacterium isolated from the boreal sponge Haliclona sp.1. Int. J. Syst. Evol. Microbiol. 58, 585-590. 

  9. Guangyi, W. 2006. Diversity and biotechnological potential of the sponge-associated microbial consortia. J. Ind. Microbiol. Biotechnol. 33, 545-551. 

  10. Hentschel, U., Usher, K.M., and Taylor, M.W. 2006. Marine sponges as microbial fermenters. FEMS Microbiol. Ecol. 55, 167-177. 

  11. Kennedy, J., Baker, P., Piper, C., Cotter, P.D., Walsh, M., Mooij, M.J., Bourke, M.B., Rea, M.C., O'Connor, P.M., Ross, R.P., and et al. 2009. Isolation and analysis of bacteria with antimicrobial activities from the marine sponge Haliclona simulans collected from Irish Waters. Mar. Biotechnol. 11, 384-396. 

  12. Lafi, F.F., Garson, M.J., and Fuerst, J.A. 2005. Culturable bacterial symbionts isolated from two distinct sponge species (Pseudoceratina clavata and Rhabdastrella globostellata) from the great barrier reef display similar phylogenetic diversity. Microb. Ecol. 50, 213-220. 

  13. Lee, O.O., Wong, Y.H., and Qian, P.Y. 2009. Inter and intraspecific variations of bacterial communities associated with marine sponges from San Juan Island, Washington. Appl. Environ. Microbiol. 75, 3513-3521. 

  14. Levina, E.V., Kalinovsky, A.I., Andriyashenko, P.V., Dmitrenok, P.S., Aminin, D.L., and Stonik, V.A. 2005. Phrygiasterol, a cytotoxic cyclopropane containing polyhydroxysteroid, and related compounds from the pacific starfish Hippasteria phrygiana. J. Nat. Prod. 68, 1541-1544. 

  15. Li, Z.Y., He, L.M., Wu, J., and Jiang, Q. 2006. Bacterial community diversity associated with four marine sponges from the South China Sea based on 16S rDNA-DGGE fingerprinting. J. Exp. Mar. Biol. Ecol. 329, 75-85. 

  16. Mohamed, N.M., Rao, V., Hamann, M.T., Kelly, M., and Hill, R.T. 2008. Monitoring bacterial diversity of the marine sponge Ircinia strobilina upon transfer into aquaculture. Appl. Environ. Microbiol. 74, 4133-4143. 

  17. Muscholl-Silberhorn, A., Thiel, V., and Imhoff, J.F. 2008. Abundance and bioactivity of cultured sponge-associated bacteria from the Mediterranean Sea. Microbiol. Ecol. 55, 94-106. 

  18. Park, J.S. 2010. Bacterial community diversity associated with two marine sponges from the South Pacific Ocean based on 16S rDNA-DGGE analysis. Kor. J. Microbiol. 46, 255-260. 

  19. Park, J.S., Sim, J.J., and An, K.D. 2009. Community structure of bacteria associated with two marine sponges from Juju Island based on 16S rDNA-DGGE profile. Kor. J. Microbiol. 45, 170-176. 

  20. Radwan, M., Hanora, A., Zan, J., Mohamed, N.M., Abo Elmatty, D.M., Abou-El-Ela, S.H., and Hill, R.T. 2010. Bacterial community analyses of two red sea sponges. Mar. Biotechnol. 12, 350-360. 

  21. Saitou, N. and Nei, M. 1987. The neighbor-joining method: a new method for reconstructing phylogenetic trees. Mol. Biol. Evol. 4, 406-425. 

  22. Sung, H.R. and Ghim, S.Y. 2010. Bacterial diversity and distribution of cultivable bacteria isolated from Dokdo Island. Kor. J. Microbiol. Biotechnol. 38, 263-272. 

  23. Tamaki, H., Sekiguchi, Y., Hanada, S., Nakamura, K., Nomura, N., Matsumura, M., and Kamagata, Y. 2005. Comparative analysis of bacterial diversity in freshwater sediment of a shallow eutrophic lake by molecular and improved cultivation-based techniques. Appl. Environ. Microbiol. 71, 2162-2169. 

  24. Tamura, K., Dudley, J., Nei, M., and Kumar, S. 2007. MEGA4: Molecular evolutionary genetics analysis (MEGA) software version 4.0. Mol. Biol. Evol. 24, 1596-1599. 

  25. Taylor, M.W., Schupp, P.J., de Nys, R., Kjelleberg, S., and Steinberg, P.D. 2005. Biogeography of bacteria associated with the marine sponge Cymbastela concentrica. Environ. Microbiol. 7, 419-433. 

  26. Thiel, V., Leininger, S., Schmaljohann, R., Brummer, F., and Imhoff, J.F. 2007. Sponge- specific bacterial associations of the Mediterranean sponge Chondrilla nucula (Demospongiae, Tetractinomorpha). Microb. Ecol. 54, 101-111. 

  27. Thompson, J.D., Higgins, D.G., and Gibson, T.J. 1994. CLUSTAL W: improving the sensitivity of progressive multiple sequence alignment through sequence weighting, position-specific gap penalties and weight matrix choice. Nucleic Acids Res. 22, 4673-4680. 

  28. Thomas, T.R.A., Kavlekar, D.P., and LokaBharathi, P.A. 2010. Marine drugs from sponge-microbe association-a review. Mar. Drugs 8, 1417-1468. 

  29. Thoms, C., Horn, M., Wagner, W., Hentschel, U., and Proksch, P. 2003. Monitoring microbial diversity and natural products profiles of the sponge Aplysina cavernicola following trasplantation. Mar. Biol. 142, 685-69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