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제주지역에서의 호스피스.완화의료기관과 보건소의 재가암 관리 현황
Current Status of Home-Based Cancer Patients Management in Jeju 원문보기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지 = Korean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v.13 no.2, 2010년, pp.76 - 80  

허정식 (제주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비뇨기과학교실) ,  김현주 (제주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가정의학교실)

초록

목적: 본 연구에서는 제주지역내의 보건소, 지역 암센터와 말기암환자 전문의료기관 등에서 실시하고 있는 재가암환자 관리 사업의 객관적 현황을 파악하여 각 기관별의 재가암 관리를 위한 역할을 정립하고자 한다. 방법: 제주지역에서 재가암환자 관리를 실시하고 있는 각 기관을 대상으로 재가암환자 관리 사업의 시작연도와 현재 실시하고 있는 사업과 부족한 부분 등을 알아보고, 각 기관과의 연관사업 등을 파악하였다. 결과: 제주지역내의 재가암환자 관리는 6개의 보건소와 1개의 지역 암센터, 1개의 말기암환자 전문의료기관이 활동 중에 있으며, 제공되는 서비스는 약간의 차이는 있으나, 신체적, 정서적, 영적, 교육 정보적 서비스를 실시하고 있으나 보건소의 경우, 통증완화를 위한 마약성 진통제의 사용이 부족한 실정이었다. 결론: 본 연구는 재가암환자 관리 사업에서 말기암환자 전문의료기관과 보건소에서 급성기의 경우와 재가암환자 관리를 위한 인력의 교육을 위한 교육은 지역 암센터와 연계하여 재가암환자에 대한 체계적인 관리와 역할 분담을 정립시켜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As a part of analysis of home-based cancer patients management of public health centers, regional cancer center, and hospice institution in Jeju,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establish their role. Methods: We investigated current status of hospice palliative care, especially home-based can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목적: 본 연구에서는 제주지역내의 보건소, 지역 암센터와 말기암환자 전문의료기관 등에서 실시하고 있는 재가암환자 관리 사업의 객관적 현황을 파악하여 각 기관별의 재가암 관리를 위한 역할을 정립하고자 한다.
  • 2009년 6월말까지 재가암환자 관리와 관련되어 설립시기, 재가암 관리를 실시한 연도, 2007년부터 2009년 6월말 현재 등록되어 직접 관리하고 있는 환자의 수, 환자관리를 하고 있는 실인원 및 암환자 관리와 관련된 경력, 재가암환자에게 제공되는 돌봄의 종류와 재가암환자의 증상 관리에서 가장 중요한 통증관리와 관련하여 기관의 마약성 진통제를 보관할 수 있는 금고여부와 실제적으로 환자의 통증 완화를 위해서 마약성 진통제의 투여여부를 조사하였고, 2007년부터 2009년 6월말 현재까지 재가암환자의 응급상황 발생이나 재가암 관리가 힘들 경우에 호스피스관련 기관 즉 제주지역 암센터와 말기암환자 지정 관리기관과의 연계 등을 알아보았다. 보건소의 재가암 관리자의 재가암환자 관리의 요구사항 등을 정리하였으며 지역에 알맞은 재가암환자 관리 사업의 역할에 대하여 정리하였다.
  • 지역적으로 섬이라는 지역적인 한계가 오히려 타지역보다는 각 기관간의 연계성을 가지기 쉬울 것으로 생각된다. 이러한 점에서 제주지역내의 재가암 관리 특히 보건소의 재가암 관리 사업의 현실적인 면을 파악하여, 각 기관별로 할 수 있는 역할 분담을 정리함으로써 재가암 관리 사업의 효율적인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암환자가 증가되는 원인은? 의료의 발달로 인해 암의 평균 생존율이 증가되고 있고 예방과 치료에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가고 있으나(1-4), 암환자와 그 가족을 위한 체계적인 의료서비스가 아직 미흡한 실정이다. 암환자가 증가되는 원인으로는 국가적인 차원에서 실시되고 있는 국가 암검진 사업과 일반인의 건강에 대한 관심의 증가가 한 원인일 것이며, 암환자의 증가로 인한 암에 대한 예방과 암환자의 관리도 중요한 사업 중의 하나일 것이다. 암관리 사업은 암환자의 등록과 암환자의 체계적인 관리를 위해서 시행되고 있는 것이며, 이 중 재가암 관리 사업은 각 지역 보건소, 지역 암센터, 말기암환자 지정 관리기관 등이 각각 실시하고 있으나 이러한 재가암 관리 환자의 등록 및 관리에 대하여 각 기관마다 연계성이 부족하여 역할의 중복과 여러 기관의 표준화된 자료가 부족하여 효율적인 자원의 관리가 되어 있지 않은 경우가 많다.
암관리 사업은 어떻게 실시되고 있는가? 암환자가 증가되는 원인으로는 국가적인 차원에서 실시되고 있는 국가 암검진 사업과 일반인의 건강에 대한 관심의 증가가 한 원인일 것이며, 암환자의 증가로 인한 암에 대한 예방과 암환자의 관리도 중요한 사업 중의 하나일 것이다. 암관리 사업은 암환자의 등록과 암환자의 체계적인 관리를 위해서 시행되고 있는 것이며, 이 중 재가암 관리 사업은 각 지역 보건소, 지역 암센터, 말기암환자 지정 관리기관 등이 각각 실시하고 있으나 이러한 재가암 관리 환자의 등록 및 관리에 대하여 각 기관마다 연계성이 부족하여 역할의 중복과 여러 기관의 표준화된 자료가 부족하여 효율적인 자원의 관리가 되어 있지 않은 경우가 많다. 전국을 대상으로 한 보건소의 재가암 관리 사업에 관한 연구에서 암환자의 요구사항과 제공되는 돌봄의 형태의 차이가 많이 나타나고 있다(5).
섬이라는 지역적인 한계가 제주지역의 재가암관리에 어떠한 장점을 생성하는가? 암환자의 대부분이 각 가정에서 돌봄을 받고 있으나 체계적이지 못한 관리가 많으며 다른 지역의 경우 재가암관리를 할 수 있는 지역적인 한계, 즉 기관과 환자의 거주지와의 거리와 모든 지역을 관리하기가 어려운 점이 많을 것이다. 이에 비해 제주지역은 섬이라는 지역의 경계가 뚜렷하고 이동거리가 타 지역에 비하여 짧고 여러 기관들의 협조가 잘 이루어지고 있다는 장점이 있다. 지역적으로 섬이라는 지역적인 한계가 오히려 타지역보다는 각 기관간의 연계성을 가지기 쉬울 것으로 생각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Maeng YH, Kang HW, Huh JS. The expression and clinical significance of the minichromosome maintenance (MCM) 7 proliferation markers in urothelial carcinomas of the bladder. Korean J Urol 2008;49:12-7. 

  2. Jeon SH, Lee SJ, Chang SG, Kim JI, Park YK, Huh JS. The significance of nuclear area in localized renal cell carcinom. Korean J Urol 2000;41:1312-5. 

  3. Lee JW, Cho KS, Han KS, Kim EK, Joung JY, Seo HK, et al. Epidermal growth factor receptor as predicting factor on biochemical recurrence after radical prostatectomy: a prospective study. Korean J Urol 2008;49:974-80. 

  4. Hill-Kayser CE, Vachani C, Hampshire MK, Jacobs LA, Metz JM. An internet tool for creation of cancer survivorship care plans for survivors and health care providers: design, implementation, use and user satisfaction. J Med Internet Res 2009;11(3):e39. 

  5. Cho H, Son JY, Heo JD, Jin EH. Development of an efficient management program for the home-based cancer patient management project of public health centers. Korean J Hosp Palliat Care 2007;10:128-36. 

  6. NHPCO facts and figures: hospice care in America [Internet]. Alexandria, VA: National Hospice and Palliative Care Organization, c2009. Available from: http://www.nhpco.org/research. 

  7. Yun YH, Heo DS. Problems of terminal cancer patient's admission to a university hospital. Korean J Fam Med 1996; 17(5):294-304. 

  8. Heo DS, Yun YH, Jeong JY, Kim HS, Kim SH, Shin SD, et al. Inappropriate care of oncologic emergency in Korea. Korean J Hosp Palliat Care 1998;1(1):14-22. 

  9. Yun YH, Heo DS, Jeon HY, Yoo TW, Kim YY, Huh BY. Behavior patterns of health care utilization interminal cancer patients. Korean J Fam Med 1998;19(6):445-51. 

  10. Park NR, Yun YH, Shin S, Jeong EK. Medical expenses during the last 6 months of life in cancer patients. Korean J Hosp Palliat Care 1999;2(2):109-13. 

  11. Long SH, Gibbs JO, Crozier JP, Cooper DI Jr, Newman JF Jr, Larsen AM. Medical expenditures of terminal cancer patients during the last year of life. Inquiry 1984;21(4):315-27. 

  12. Ventafridda V, De Conno F, Vigano A, Ripamonti C, Gallucci M, Gamba A. Comparison of home and hospital care of advanced cancer patients. Tumori 1989;75(6):619-25. 

  13. Cherny NI, Catane R. Attitudes of medical oncologists toward palliative care for patients with advanced and incurable cancer: report on a survery by the European Society of Medical Oncology Taskforce on Palliative and Supportive Care. Cancer 2003;98: 2502-10. 

  14. Grande GE, Barclay SI, Todd CJ. Difficulty of symptom control and general practitioners' knowledge of patients' symptoms. Palliat Med 1997;11(5):399-406. 

  15. Devulder J, De Laat M, Dumoulin K, Ghys L, Rolly G. Palliative care: knowledge and attitudes of general practitioners the results of a questionnaire after training. Acta Clin Belg 1997;52(4):207-10. 

  16. Kang SH, Lee HY, Kim JS, Lee JK, Jung HK. Home-based hospice-palliative care service administered by university-based family practice. J Korean Acad Fam Med 2006;27:889-94.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