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일개 독립형 호스피스 기관의 가정호스피스 이용자 특성 및 서비스 제공 실태
Home-Based Hospice Care Provided by a Free-Standing Hospice Center: Patients' Characteristics and Service Conditions 원문보기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지 = Korean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v.19 no.2, 2016년, pp.145 - 153  

김형숙 (순천향대학교 간호학과) ,  전경자 (순천향대학교 간호학과) ,  손영순 (모현호스피스센터)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적: 본 연구는 독립형 호스피스기관의 가정호스피스 서비스에 등록한 말기환자의 특성과 가정호스피스 서비스 제공 실태를 파악하여 가정호스피스 서비스 모델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방법: 일개 독립형 호스피스기관의 가정호스피스에 등록하여 방문서비스를 받고, 2014년 1월 1일부터 2014년 12월 31일 사이에 서비스가 종료된 말기환자의 의무기록지 75개를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등록 환자의 54.7%가 자가 의뢰를 통하여 가정 호스피스를 이용하였다. 종료 후 25.3%가 가정에서 임종하였고, 50.7%는 호스피스병동, 22.6%는 대학병원이나 요양병원으로 입원하였다. 등록 당시 97.3%가 암성질환이었으며, 비암성질환으로 가정호스피스를 이용한 경우는 2.7%였다. 등록 환자의 58.7%가 임종기에 있었으며, 34.7%는 거의 완전한 와상 상태에 있어 전반적으로 낮은 활동수준을 보였다. 등록 당시 환자들이 가진 신체 증상은 통증(89.4%), 수면장애(71.2%), 배변문제(47.8%), 배뇨문제(35.8%) 순으로 나타났다. 전체 환자의 77.4%가 1개월 이내에 서비스가 종결되었다. 환자들에 대한 가정방문 횟수는 평균 3.25회로 전체 환자의 82.7%가 5회 미만의 가정방문을 받고 서비스가 종결되었으며, 전화상담 횟수는 평균 3.4회였다. 의사 방문 횟수는 평균 1.21회였으며, 이는 불안정기에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결론: 독립형 호스피스기관을 이용하는 환자의 특성과 서비스 제공 형태를 반영한 가정호스피스 서비스 모델 개발이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patients' characteristics and actual conditions of home-based services offered by a free-standing hospice center. Methods: A retrospective review was performed with the medical records of 75 patients who received home-based hospice care from a free-s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그간 말기환자, 가정호스피스 대상자의 간호요구도를 파악하기 위한 연구(19,20)나 간호중재 표준(21), 임상프로토콜 개발(22) 또한 대학병원에서의 가정호스피스 중재 경험을 기반으로 이루어져 독립형이나 순수가정형 호스피스 경험을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 이에 독립형 호스피스기관의 가정호스피스 대상자 및 서비스 특성에 대한 연구를 통해 독립형 가정호스피스 모형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국내의 가정호스피스기관은 어떠한 종류가 있는가? 현재 국내의 가정호스피스기관은 병동형, 독립형, 분산형, 순수가정형으로 존재하는데, 병원 중심의 병동형 호스피스는 증상이 심한 급성기 환자의 완화의료를 중심으로 서비스를 제공하고 안정기 환자는 독립형이나 순수가정형으로 연계하여 돌봄을 받도록 하는 체계(15)가 바람직하게 여겨진다.
말기환자가 필요로 하는 의료서비스를 가정에서 적절히 이용할 수 있는 체계가 존재할 경우 더 많은 사람들이 재택 임종을 선택할 가능성이 높음을 시사하는 조사 결과는? 국내 연구들에서도 많은 노인들(7), 말기환자들(8)이 가정에서 임종하기를 원하고 있으며, 의료기관이나 다른 장소를 선택하는 경우에도 그 이유가 ‘다른 사람들에게 부담을 줄까 봐’ 혹은 ‘고통에 대한 두려움이나 응급상황에 대처하기 어려울까 봐’ 등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는 말기환자가 필요로 하는 의료서비스를 가정에서 적절히 이용할 수 있는 체계가 존재할 경우 더 많은 사람들이 재택 임종을 선택할 가능성이 높음을 시사한다.
가정호스피스의 장점은? 세계보건기구(10)에 따르면, 효과적인 완화의료 서비스는 모든 수준의 의료체계, 특히 지역과 가정에 기반을 둔 의료와 통합적으로 제공되어야 하며, 이를 통해 상대적으로 간단하고 저렴한 비용으로 80% 이상의 말기암환자가 혜택을 볼 수 있다. 또한 가정호스피스는 생애말기의 증상을 호전시켜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11,12), 환자와 가족의 사별 과정에 영향을 주어 사별 후 남은 가족의 정신건강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11), 응급실 방문이나 연명처치 등 부적절한 의료이용을 줄여 의료비 절감 효과가 높은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13,14). 따라서 원하는 사람은 누구나 삶의 마지막 시기 의료적 돌봄과 임종이 가족들과 함께하는 가정에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지지하는 방향으로 가정호스피스 제도화가 필요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Davies E, Higginson IJ, eds. The solid facts: palliative care [Internet]. Copenhagen: WHO regional office for Europe; 2004 [cited 2015 Jul 21]. Available from: http://www.euro.who.int/__data/assets/pdf_file/0003/98418/E82931.pdf?ua1. 

  2. Hunt M. ‘Scripts' for dying at home-displayed in nurses', patients' and relatives' talk. J Adv Nurs 1992;17:1297-302. 

  3. Ryder-Lewis M. Going home from ICU to die: a celebration of life. Nurs Crit Care 2005;10:116-21. 

  4. Kerr CW, Tangeman JC, Rudra CB, Grant PC, Luczkiewicz DL, Mylotte KM, et al. Clinical impact of a home-based palliative care program: a hospice-private payer partnership. J Pain Symptom Manage 2014;48:883-92. 

  5. Higginson IJ, Sen-Gupta GJ. Place of care in advanced cancer: a qualitative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of patient preferences. J Palliat Med 2000;3:287-300. 

  6. Hunt KJ, Shlomo N, Addington-Hall J. End-of-life care and achieving preferences for place of death in England: results of a population-based survey using the VOICES-SF questionnaire. Palliat Med 2014;28:412-21. 

  7. Choi JH, Byeon JJ, Lee S, Han SH. Preferred place of death elderly women in Seoul. J Korean Acad Fam Med 2001;22: 936-45. 

  8. Park JY. Home health care services for terminally ill patients and dying at home [dissertation]. Seoul: Yonsei Univ.; 2011. Korean. 

  9. Statistics Korea: 2014 Statistics of birth.death [Internet]. Daejeon: Statistics Korea; 2015 [cited 2016 Jan 24]. Available from: http://kostat.go.kr/portal/korea/kor_ko/5/2/index.board?bmoderead&aSeq334108. 

  10. World Health Organization. Cancer control: palliative care. WHO guide for effective programmes Module 5: palliative care [Internet]. Geneva: World Health Organization; 2007 [cited 2015 Jul 21] Available from: http://www.who.int/cancer/publications/cancer_control_palliative/en/. 

  11. Ornstein K, Wajnberg A, Kaye-Kauderer H, Winkel G, DeCherrie L, Zhang M, et al. Reduction in symptoms for homebound patients receiving home-based primary and palliative care. J Palliat Med 2013;16:1048-54. 

  12. Wright AA, Keating NL, Balboni TA, Matulonis UA, Block SD. Prigerson HG. Place of death: correlations with quality of life of patients with cancer and predictors of bereaved caregivers' mental health. J Clin Oncol 2010;28:4457-64. 

  13. Brumley RD, Enguidanos S, Cherin DA. Effectiveness of a home-based palliative care program for end-of-life. J Palliat Med 2003;6:715-24. 

  14. Brumley R, Enguidanos S, Jamison P. Seitz R, Morgenstern N, Saito S, et al. Increased satisfaction with care and lower costs: results of a randomized trial of in-home palliative care. J Am Geriatr Soc 2007;55:993-1000. 

  15. Park CS, Yoon SJ, Jung Y. The status of home-based hospice care in Korea. Korean J Hosp Palliat Care 2013;16:98-107. 

  16. Kang SH, Lee HY, Kim JS, Lee JK, Jung HK. Home-based hospice-palliative care service administered at university-based family practice. J Korean Acad Fam Med 2006;27:889-94. 

  17. Kim BH, Kang HJ. Experience of home-based hospice care of terminal-cancer patients. Korean J Hosp Palliat Care 2014;17: 223-31. 

  18. Koh S, Kim Y, Song MO, Choi Y, Choi SE, Jho HJ, et al. Home hospice palliative care service in Korea: based on focus group interview. J Korean Data & Information Science Society 2014;25:37-52. 

  19. Lee JE, Kim SL. Physical and psychological care need by endof-life stages among non-cancer patient at home: based on the importance and difficulty of care need. J Korean Acad Community Health Nurs 2012;23:127-33. 

  20. Yong JS, Ro YJ, Han SS, Kim MJ. A comparison between home care nursing interventions for hospice and general patients. J Korean Acad Nurs 2001;31:897-911. 

  21. Yong JS, Kim NC, Kang JH. Development of nursing intervention standards for home hospice patients. J Korean Acad Adult Nurs 2006;18:102-14. 

  22. Lee WH, Lee CG. Development of a clinical protocol for home hospice care for Koreans. Yonsei Med J 2005;46:8-20. 

  23. Kim BH, Park H. Comparison in spiritual well-being and quality of life between hospital and home hospice patients. J Korean Acad Community Health Nurs 2013;24:292-301. 

  24. Shin DW, Choi JY, Nam BH, Seo WS, Kim HY, Hwang EJ, et al. The current status of utilization of palliative care units in Korea: 6 month results of 2009 Korean Terminal Cancer Patient Information System. Korean J Hosp Palliat Care 2010; 13:181-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