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암환자의 호스피스 간호 요구와 삶의 질
Needs of Hospice Care and Quality of Life for Cancer Patients 원문보기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지 = Korean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v.13 no.2, 2010년, pp.89 - 97  

서인선 (전북대학교 간호대학) ,  신미화 (전북대학교병원 진료정보실) ,  홍세화 (전북대학교대학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적: 본 연구는 호스피스 간호 요구도와 삶의 질을 파악하여 호스피스 간호 중재 방안을 모색하고자 시도 되었다. 방법: 자료수집기간은 2006년 10월부터 2007년 3월까지이며 전라북도 소재 1개 대학 병원에 입원한 암환자 127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도구는 Kang과 Kim이 개발한 암환자의 호스피스 간호 요구도 측정도구와 Tae 등이 개발한 삶의 질 측정도구를 이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12.0을 이용하였으며, 실수와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대상자의 호스피스 간호 요구도는 4점 만점에 평점 3.11점이었으며 가족지지 영역이 3.15점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다음이 심리적 영역이 3.12점, 신체적 영역이 3.10점, 영적 영역이 3.05점의 순으로 나타났다. 대상자의 삶의 질은 10점 만점에 평점 5.25점이었으며 영적 영역이 5.84점으로 가장 높았고 다음 심리적 영역이 5.18점, 신체적 영역이 5.06점, 사회적 영역이 5.01점의 순이었다. 대상자의 호스피스 간호 요구도와 삶의 질은 호스피스 간호 요구도가 높을수록 삶의 질이 낮게 나타나는 역 상관관계를 보였으며(r=-0.395, P=0.000), 호스피스 간호 요구도 4개 영역 중 신체적 요구가 삶의 질과 가장 강한 역 상관관계를 보였다(r=-0.388, P= 0.000). 대상자의 특성별 호스피스 간호 요구도는 종교(t=6.02, P=0.016), 암 투병기간(F=3.45, P=0.019)에 따라 차이가 있었으며, 삶의 질은 월수입(F=3.38, P=0.021), 암 병기(F=8.10, P=0.000), 항암화학요법(t=6.09, P=0.015)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결론: 결론적으로 암환자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호스피스 간호 요구를 파악하여야 하며, 동시에 종교, 암 투병기간, 월수입, 암 병기 등과 같은 대상자의 특성을 고려하여야 함을 제안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needs for hospice care and quality of life in cancer patients. Methods: Data were collected from 127 cancer patients hospitalized at a university hospital in Chonbuk between October, 2006 to March, 2007. Two instruments were used: cancer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호스피스 간호 요구를 파악하고자 한 연구는 암환자 를 대상으로 호스피스 요구를 파악하고자 한 연구(7)와 호스피스 환자와 가족을 대상으로 그들의 요구를 파악하고자 한 연구(8,9)가 있으며 호스피스 간호와 삶의 질을 파악하고자 한 연구는 호스피스병동 입원 환자의 입원 단계별 삶의 질의 변화를 파악하고자 한 연구(10)와 호스피스 간호가 말기암환자의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연구(11)가 있으나 이들 연구들은 호스피스 간호 서비스를 제공받은 환자의 삶의 질을 파악하고자 하였으나 본 연구에서와 같이 암환자가 요구하는 호스피스 간호 요구에 따른 삶의 질을 파악하고자 한 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암환자의 호스피스 간호 요구와 삶의 질의 관계를 파악하여 질 높은 호스피스 간호를 제공하는데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 본 연구는 전라북도에 소재한 일 대학 병원에서 암으로 진단받고 치료중인 환자 137명을 대상으로 임의 표집 하였으며, 대상자 선정기준은 만 18세 이상 75세 이하인자, 암으로 진단 받고 치료중인 자, 국문 해독이 가능하여 질문지 내용을 이해하고 의사소통이 가능한 자로서 본 연구의 목적을 이해하고 연구에 참여하기를 동의한 자로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전세계적으로 사망 원인 1위는 무엇인가? 오늘날 고도로 발달된 의학 기술로 인해 평균 수명은 연장되었으나 산업화는 각종 유해 환경의 증가를 초래하여 암환자 수는 오히려 급격하게 증가하여 은 전세계적으로 사망 원인 1위를 차지하고 있으며, 2002년 한 해 세계적으로 1,000만 명의 암환자가 발생하여 650만 명이 사망하였고 우리나라에서는 2008년 한 해 동안 24만 명이 암으로 사망하였다(1).
전 세계적으로 암으로 사망한 환자의 수는? 오늘날 고도로 발달된 의학 기술로 인해 평균 수명은 연장되었으나 산업화는 각종 유해 환경의 증가를 초래하여 암환자 수는 오히려 급격하게 증가하여 암은 전세계적으로 사망 원인 1위를 차지하고 있으며, 2002년 한 해 세계적으로 1,000만 명의 암환자가 발생하여 650만 명이 사망하였고 우리나라에서는 2008년 한 해 동안 24만 명이 암으로 사망하였다(1).
호스피스 간호 요구도와 삶의 질을 파악하여 호스피스 간호 중재 방안을 모색한 결론은? 015)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결론: 결론적으로 암환자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호스피스 간호 요구를 파악하여야 하며, 동시에 종교, 암 투병기간, 월수입, 암 병기 등과 같은 대상자의 특성을 고려하여야 함을 제안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Korean statistical yearbook [internet]. Daejeon: Statistics Korea; c2009. Available from: http://www.kosis.kr. 

  2. Mishel MH, Sorenson DS. Uncertainity in gynecological cancer: a test of the mediating functions of mastery and coping. Nurs Res 1991;40:167-71. 

  3. Lee SW, Lee EO, Huh DS, Noh KH, Kim HS, Kim SR, et al. The study on the medical and nursing service needs of the terminal cancer patients and their caregivers. J Korean Acad Nurs 1998;28(4):958-69. 

  4. Lee CO. Quality of life and breast cancer survivors. Psychosocial and treatment issues. Cancer Pract 1997;5(5):309-16. 

  5. Tae YS. The relationship between hope and quality of life of cancer patients. J Korean Acad Adult Nurs 1996;8(1):80-92. 

  6. Ro YJ, Han SS, Ahn SH, Kim CG. Hospice & death. Seoul: Hyunmoon;1997. 

  7. Gates MF, Lackey NR, White MR. Needs of hospice and clinic patients with cancer. Cancer Pract 1995;3(4):226-32. 

  8. Yong JS, Hong HJ. Care needs of hospice patients in comparison with those from the family caregivers' perspective: Q methodology. Korean J Hosp Palliat Care 2004;7(2):153-68. 

  9. Kim HC, Kim ES, Park KH. Needs of patients and their families in hospice care unit. Korean J Hosp Palliat Care 2007;19(3): 137-44. 

  10. Park T, Song HH, Ra JR, Seo IO, Cho YY, Park MH, et al. Quality of life changes in patients admitted to the hospice unit. Korean J Hosp Palliat Care 2000;3(1):18-27. 

  11. So WS, Cho KJ. A study on the effects of hospice care for the quality of life of the terminally-ill patients. J Korean Acad Nurs 1991;21(3):418-35. 

  12. Kang KA, Kim SJ. Development of needs assessment instrument for hospice care in families of the patients with cancer. J Korean Biological Nurs Sci 2005;7(1):57-68. 

  13. Ro YJ, Han SS, Ahn SH, Yong JS. Community Residents' Knowledge, Attitude, and Needs for Hospice Care. Korean J Hosp Palliat Care 1999;2(1):23-35. 

  14. Tae YS, Kang ES, Lee MH, Park GJ. Development of quality of life measurement for cancer patients. J Korean Acad Adult Nurs 2000;12(4):741-57. 

  15. Kim CG. The needs of family members of hospice patients in hospitalization. J Hosp Palliat Care 1998;3:13-24. 

  16. Kim GY, Choi SS, Park SM, Hur HK, Song HY. Development of needs assessment instrument for the patients with cancer. Korean J Hosp Palliat Care 2002;5(2):136-45. 

  17. Yang YH. The Comparison of the perceived needs between patients with cancer, their caregivers, and nurses according to the cancer patient's phases of illness. J Korean Acad Nurs 1997; 27(4):787-95. 

  18. Lee JM, Kim JS. Study on nursing needs for hospice patients and their families. J Korean Acad Fundam Nurs 2000;7(2):287-300. 

  19. Kim KH, Lee HR, Song MO, Chung SH, Chung HJ. Effects of horticultural therapy program on serum cortisol, pain, anxiety and depression of the hospice patients. Korean J Hort Sci Technol 2006; 24(1):95-103. 

  20. Moon JY. Music therapy in hospice care. Korean J Hosp Palliat Care 2007;10(2):67-73. 

  21. Sohn KJ, Choi YS, Kim MJ, Lee JY, Lee JB, Kim SH, et al. The effects of aroma self massage in hands on pain, depressive mood and anxiety in breast cancer patients. Korean J Hosp Palliat Care 2005;8(1):18-29. 

  22. Yoon MO, Park JS. The effects of spiritual nursing intervention on anxiety and depression of the hospice patients. J Korean Acad Adult Nurs 2004;14(3):337-47. 

  23. Lee HS, Doh BN. Comparison of spiritual well-being and quality of life between hospice patients and nonhospice Patients. J Korean Acad Adult Nurs 2003;15(3):364-72. 

  24. Park TA, La JR, Seo IY, Jho YL, Park MH, Heo JH, et al. Quality of life changes of terminal cancer patients served in hospice care service: perceived by the patient and the primary caregiver. J Korean Clin Nurs Res 2000;7(1):247-65. 

  25. Kim CG. A comparison of quality of life between the families of cancer patients and those of hospice patients. J Korean Acad Adult Nurs 1997;9(3):545-57. 

  26. Suh Yo. Predictors of quality of life in women with breast cancer. J Korean Acad Nurs 2007;37(4):459-66. 

  27. Jo KH, Kim MJ. A study on the quality of life, family support and hope of hospitalized and home care cancer patients. J Korean Acad Nurs 1997;27(2):335-63. 

  28. Choi JY, So HS, Cho IS. Nausea/vomiting and anxiety of hospitalized cancer patients. J Korean Acad Adult Nurs 2004;16(2): 211-21. 

  29. Shim JH, Park KS. A study on quality of life of those who have breast cancer patients taking chemotherapy. J Korean Acad Adult Nurs 2004;16(1):49-59. 

  30. Choo YH, Kim KH. A study on effect of individual education about chemical therapy for preventing cancer on quality of life of patient who suffers from cancer. J Korean Oncology Nurs 2004; 4(2):103-0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