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통합적 완화 돌봄 중재가 말기암환자의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 메타분석
Effects of Integrated Palliative Care Intervention on Quality of Life in Terminal Cancer Patients: A Meta-analysis 원문보기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지 = Korean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v.18 no.2, 2015년, pp.136 - 147  

조계화 (대구가톨릭대학교 간호대학) ,  박애란 (대구가톨릭대학교 간호대학원) ,  이진주 (대구가톨릭대학교 간호대학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적: 본 연구는 통합적 완화 돌봄 중재연구가 말기 암환자의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 크기를 분석하기 위한 메타분석 연구이다. 방법: 말기 환자와 통합적 완화 돌봄 중재 및 연구 설계를 나타내는 용어들을 병합하여 PubMed, Cochrane Library CENTRAL, LWW (Ovid), CINAHL 및 국내 데이터 베이스에서 검색하였다. 논문의 질평가는 RCT 연구인 경우 RoB 도구를 사용하였으며, Non-RCT 연구인 경우는 RoBANS를 사용하였다. 중재의 효과크기는 Stata 10 프로그램으로 메타분석 하였다. 결과: 8편의 연구가 최종선정 되었으며, 총 대상자의 수는 356명이었다. 통합적 완화 돌봄 중재는 평균 6.5주, 5.6 세션으로 이루어졌으며, 한 세션당 평균 47.8분이 소요되었다. 효과는 동질성 및 하위그룹 분석을 실시하였다. 통합적 완화 돌봄 중재의 효과는 삶의 질(ES=1.83, P=0.018, $l^2=92%$), 영적 안녕(ES=0.78, P=0.040, $l^2=0$), 우울(ES=0.86, P<0.001, $l^2=32$) 및 불안(ES=0.69, P=0.041, $l^2=71.1$)에서 효과가 있었다. 그러나 말기암환자의 통증(ES=0.365, P=0.230, $l^2=69.8$)에는 효과가 없었다. 결론: 이상의 결과로 통합적 완화 돌봄 중재는 비록 통증은 완화시키지는 못했으나 우울과 불안을 감소시키고 영적 안녕과 삶의 질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나, 통합적 완화 돌봄 중재는 말기암환자의 사회심리영적 차원의 삶의 질을 증진시킬 수 있다고 본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ects of integrated palliative care intervention on quality of life in terminally ill patients. Methods: A comprehensive literature search was performed via PubMed, Cochrane Library CENTRAL, LWW (Ovid), CINAHL and several Korean databases. The mai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 동안 인지행동요법 등 흔히 활용되는 심리사회적 중재는 암환자 대상으로 5년 혹은 10년 단위로 체계적 고찰 및 메타분석 연구를 통해 중재의 유용성과 근거를 제시하여 왔으나, 말기암환자 대상의 완화 돌봄 중재를 메타분석 한 연구는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현재까지 말기암환자를 대상으로 완화 돌봄 중재를 시도한 연구들을 체계적인 방법으로 개관하는 메타분석을 수행하여 말기암환자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중재 방법으로 제시하고자 한다.
  • 목적: 본 연구는 통합적 완화 돌봄 중재연구가 말기암환자의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 크기를 분석하기 위한 메타분석 연구이다.
  • 셋째, 통합적 완화 돌봄 중재가 삶의 질에 미친 효과크기를 분석한다. 본 연구는 말기암환자의 삶의 질에 미친 통합적 완화 돌봄 중재의 효과 크기를 분석하는 메타분석 연구이다.
  • 본 연구는 통합적 완화 돌봄 중재연구가 말기암환자의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 크기를 메타분석 하는 것으로, 첫째, 통합적 완화 돌봄 중재연구의 일반적 특성을 파악한다. 둘째, 통합적 완화 돌봄 중재의 중재 적용방법을 파악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말기 환자들은 어떤 증상으로 고통을 호소하는가? 암환자 간호는 고통의 관점에서 이해와 연민으로 접근될 때 가능하다. 죽음을 눈앞에 둔 말기 환자들은 극심한 신체적 통증, 신체 조절 능력의 상실, 사회적인 관계와의 고립으로부터 오는 소외감과 두려움 등으로 고통 당하게 된다. 통합적 완화 돌봄은 최첨단 의학기술과 장비, 생의학적 접근을 통한 질병 치료보다는 신체적 영역과 심리적, 정신적, 그리고 감성적 영역이 모두 서로 균형을 이루도록 돕는데 초점을 둔다.
통합적 완화 돌봄은 무엇을 중요시하는 건강관리 접근법인가? 통합적 완화 돌봄은 최첨단 의학기술과 장비, 생의학적 접근을 통한 질병 치료보다는 신체적 영역과 심리적, 정신적, 그리고 감성적 영역이 모두 서로 균형을 이루도록 돕는데 초점을 둔다. 대상자를 몸-마음-영성을 지닌 통합적인 전인격체로 인식하고, 섬세한 접촉과 감성을 사용하여 환자 중심적 접근을 중요시하는 새로운 지역사회 기반 건강관리 접근법이다. 한국에서도 전인적 건강을 환자의 몸, 마음, 영성의 전체적인 시각을 가지고 기존의 의학적 접근과 함께 다룬다는 의미로 설명한다.
통합적 완화 돌봄은 어떤 치료에 초점을 두는가? 죽음을 눈앞에 둔 말기 환자들은 극심한 신체적 통증, 신체 조절 능력의 상실, 사회적인 관계와의 고립으로부터 오는 소외감과 두려움 등으로 고통 당하게 된다. 통합적 완화 돌봄은 최첨단 의학기술과 장비, 생의학적 접근을 통한 질병 치료보다는 신체적 영역과 심리적, 정신적, 그리고 감성적 영역이 모두 서로 균형을 이루도록 돕는데 초점을 둔다. 대상자를 몸-마음-영성을 지닌 통합적인 전인격체로 인식하고, 섬세한 접촉과 감성을 사용하여 환자 중심적 접근을 중요시하는 새로운 지역사회 기반 건강관리 접근법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Lee TW, Lee MH, Kim MS. Comparison of the costs of care and nursing services for terminally ill patients receiving home hospice care in comparison to institutional care. J Korean Acad Nurs 2000;30:1045-54. 

  2. Tae YS. The relationship between hope and quality of life of cancer patients. J Korean Acad Adult Nurs 1996;8:80-92. 

  3. Penson J. A hope is not a promise: fostering hope within palliative care. Int J Palliat Nurs 2000;6:94-8. 

  4. Park MY. The perceived causal structure model on women's anger with breast cancer [dissertation]. Daejon: Chung Nam Univ.; 2003. Korean. 

  5. Jo KH, Han HJ. Nurses' painful experiences through terminal patient. J Korean Acad Nurs 2001;31:1055-66. 

  6. Carlson LE. Bultz BD. Mind-body interventions in oncology. Curr Treat Options Oncol 2008;9:127-34. 

  7. Wilkinson SM, Love SB, Westcombe AM, Gambles MA, Burgess CC, Cargill A, et al. Effectiveness of aromatherapy massage in the management of anxiety and depression in patients with cancer: a multicenter randomized controlled trial. J Clin Oncol 2007;25:532-9. 

  8. Dunwoody L, Smyth A, Davidson R. Cancer patients' experiences and evaluations of aromatherapy massage in palliative care. Int J Palliat Nurs 2002;8:497-504. 

  9. Gray RA. The use of massage therapy in palliative care. Complement Ther Nurs Midwifery 2000;6:77-82. 

  10. Byun YJ, Eun CS. Psychological stress in chronic intestinal diseases. Hanyang Med Rev 2014;34:66-71. 

  11. Myklebust M, Pradhan EK, Goreflo D. An integrative medicine patient care model and evaluation of its outcomes: the University of Michigan experience. J Altern Complement Med 2008;14:821-6. 

  12. Padilla GV, Ferrell B, Grant MM, Rhiner M. Defining the content domain of quality of life for cancer patients with pain. Cancer Nurs 1990;13:108-15. 

  13. Higgins JP, Thompson SG, Deeks JJ, Altman DG. Measuring inconsistency in meta-analyses. BMJ 2003;327:557-60. 

  14. Egger M, Davey Smith G, Schneider M, Minder C. Bias in meta-analysis detected by simple, graphical test. BMJ 1997;315: 629-34. 

  15. Ferrell BR, Coyle N. Textbook of palliative nursing. 2nd ed. Oxford:Oxford University Press:2006. 

  16. Hwang MS, Ryu HS. Effects of a palliative care program based on home care nursing. J Korean Acad Nurs 2008;39:528-38. 

  17. Oh PJ, Lee EA.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for psychological distress, self care and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cancer; a meta-analysis. Korean J Adult Nurs 2013;25:377-88. 

  18. Goedendrop MM, Gielissen MF, Verhagen CA, Bleijenberg G. Psychosocial intervention for reducing fatigue during cancer treatment in adults. Cochrane Database Syst Rev 2009;(1): CD006953. 

  19. Wein S, Sulkes A, Strmmer S. The oncologist’s role in managing depression, anxiety, and demoralization with advanced cancer. Cancer J 2010;16:493-9. 

  20. Kolva E, Rosenfeld B, Pessin H, Breitbart W, Brescia R. Anxiety in terminally ill cancer patients. J Pain Symptom Manage 2011;42:691-701. 

  21. Ando M, Morita T, Akechi T, Okamoto T; Japanese Task Force for Spiritual Care. Efficacy of short-term life-review interviews on the spiritual well-being of terminally ill cancer patients. J Pain Symptom Manage 2010;39:993-1002. 

  22. Chung JS. Effects of spiritual nursing care on spiritual wellbeing, depression, anxiety and pain in terminal patients with cancer [dissertation]. Gwangju: Chonnam National Univ.; 2005. Korean. 

  23. Min YC, Oh PJ. A meta-analysis of intervention studies on cancer pain. J Korean Oncol Nurs 2011;11:83-92.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