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만성 당뇨발에서 표재조직 및 심부조직 세균배양검사의 비교
Difference of Microbiology according to Tissue Sampling in Diabetic Ulcers 원문보기

大韓成形外科學會誌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ons, v.37 no.1=no.170, 2010년, pp.1 - 6  

이성미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성형외과학교실) ,  한승규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성형외과학교실) ,  김우경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성형외과학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Diabetic foot infection is one of the most common and severe complications of diabetes mellitus that delays healing of the wound. Deep tissue biopsy is considered to be the gold standard method for antibiotic selection in treating infected chronic diabetic ulcers. However, swab culture or 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bone probing test를 실시하여 골조직 감염이 동반되지 않은 우리나라 당뇨발 감염에서 각각 도말균 검사 및 표재조직 세균배양검사와 심부조직 세균배양검사의 결과를 비교해 보고 그 연관성을 전향적으로 알아보고자 했다. Bone probing test는 Grayson 등8의 논문에 따르면 85%의 민감도를 보여 골수염 여부를 진단하는 데 있어 X-rays나 Bone scan보다 우수한 것으로 보고되는 검사로, 본 연구에서 골조직 병변이 있는 경우를 제외한 이유는 항생제 선택, 항생제 유지기간, 수술적 접근 등 치료방향이 골조직 병변이 없는 경우와 크게 차이가 나기 때문이다.
  • 저자들은 우리나라 만성 당뇨발 감염에서 도말균 검사나 표재조직의 세균배양검사 결과와 심부조직의 세균배양검사 결과의 연관성을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일반적으로 창상에서 배양조직을 획득하는 검사방법에는 무엇이 있나? 2 따라서 세균배양검사의 방법이 실제 병원균을 규명하는데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창상에서 배양조직을 획득하는 검사방법은 도말균 검사, 표재조직검사, 심부조직검사가 있다. 만성 창상에서는 표재조직과 심부조직에 형성된 세균의 집락균이 동일하지 않은 경우가 많은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임상적으로 치료 항생제를 선택할 때는 변연 절제술이나 국소소독제에 의해 비교적 쉽게 살균이 가능한 표재조직균보다는 심부조직균에 초점을 맞춰야 한다.
도말균 검사 검체는 무엇에게 접종하였는가? 도말균 검사 검체는 modified Stuart’s medium 멸균 튜브, 표재조직과 심부조직 검체는 빈 멸균 튜브에 담겨 즉시 미생물 배양실로 보내졌다. 검체는 호기성균을 배양을 위한 Sheep blood agar plate, MacConkey II agar plate 및 혐기성균배양을 위한 Chocolate agar plate에 접종하여 35℃에서 24 - 48시간 배양하였으며, 분리된 균의 동정은 수기 검사 및 Vitek II (BioMerieux, Durham, NC, USA) 시스템을 이용하였다. 감수성 검사는 CLSI (Clinical and Laboratory Standards Institute) 가이드라인에 따른 디스크 확산법을 사용하여 균종에 따라 선별된 항생제에 대해 감수성, 중간감수성, 비감수성(내성)으로 평가하였다.
창상을 치료하는 의료진들이 간단한 도말균 검사나 창상의 표재조직에서 채취한 조직으로 시행한 세균배양검사 결과를 토대로 항생제를 선택하여 치료하는 경우가 적지 않은 이유는 무엇인가? 그러나 창상을 치료하는 의료진들이 심부조직 세균배양검사 시의 불편함, 침습성, 수술 기술적 문제, 비용 등 여러 이유로 간단한 도말균 검사나 창상의 표재조직에서 채취한 조직으로 시행한 세균배양검사 결과를 토대로 항생제를 선택하여 치료하는 경우가 적지 않다. 외국의 경우 표재조직과 심부조직의 세균배양검사 결과가 일치하지 않으므로 심부조직 세균배양검사가 당뇨발 감염의 병원균 규명을 위한 가장 적합한 방법이라는 논문이 다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3)

  1. Rosenblum BI, Pomposelli FB Jr, Giurini JM, Gibbons GW, Freeman DV, Chrzan JS, Campbell DR, Habershaw GM, LoGerfo FW: Maximizing foot salvage by a combined approach to foot ischemia and neuropathic ulceration in patients with diabetes. A 5-year experience. Diabetes Care 17: 983, 1994 

  2. Caputo GM, Cavanagh PR, Ulbrecht JS, Gibbons GW, Karchmer AW: Assessment and management of foot disease in patients with diabetes. N Engl J Med 331: 854, 1994 

  3. Mackowiak PA, Jones SR, Smith JW: Diagnostic value of sinus-tract cultures in chronic osteomyelitis. JAMA 239: 2772, 1978 

  4. Sapico FL, Canawati HN, Witte JL, Montgomerie JZ, Wagner FW Jr, Bessman AN: Quantitative aerobic and anaerobic bacteriology of infected diabetic feet. J Clin Microbiol 12: 413, 1980 

  5. Sapico FL, Witte JL, Canawati HN, Montgomerie JZ, Bessman AN: The infected foot of the diabetic patient: quantitative microbiology and analysis of clinical features. Rev Infect Dis 1: S171, 1984 

  6. Gardner S, Frantz R, Saltzman C, Hillis SL, Park H, Scherubel M: Diagnostic validity of three swab techniques for identifying chronic wound infection. Wound Repair Regen 14:548, 2006 

  7. Gerding DN: Foot infections in diabetic patients: The role of anaerobes. Clin Infect Dis 2: S283, 1995 

  8. Grayson ML, Gibbons GW, Balogh K, Levin E, Karchmer AW: Probing to bone in infected pedal ulcers. A clinical sign of underlying osteomyelitis in diabetic patients. JAMA 273: 721, 1995 

  9. Brem H, Sheehan P, Rosenberg HJ, Schneider JS, Boulton AJ: Evidence-based protocol for diabetic foot ulcers. Plastic Reconstr Surg 117: 193S, 2006 

  10. Tentolouris N, Jude EB, Smirnof I, Knowles EA, Boulton AJ: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An increasing problem in a diabetic foot clinic. Diabet Med 16: 767, 1999 

  11. Dang CN, Prasad YD, Boulton AJ, Jude EB: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in the diabetic foot clinic: A worsening problem. Diabet Med 20: 159, 2003 

  12. Valencia IC, Kirsner RS, Kerdel FA: Microbiologic evaluation of skin wounds: Alarming trend toward antibiotic resistance in an inpatient dermatology service during a 10-year period. J Am Acad Dermatol 50: 845, 2004 

  13. Abdulrazak A, Bitar ZI, Al-Shamali AA, Mobasher LA: Bacteriological study of diabetic foot infections. J Diabetes Complications 19: 138, 200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