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전신마취 하 비골골절 수술 환자에서 음악요법이 환자의 불안 및 활력징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Music Therapy on Anxiety and Vital Sign of Nasal Closed Reduction Under General Anesthesia 원문보기

大韓成形外科學會誌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ons, v.37 no.4=no.173, 2010년, pp.369 - 374  

서범신 (원광대학교 의과대학 성형외과학교실) ,  나영천 (원광대학교 의과대학 성형외과학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Most of the patients who underwent surgery feels variable kinds of fear or anxiety; an uncomfortable mood state that happens without specific object affects patient's satisfaction before and after the surgery. As music therapy is rather noninvasive method generally used in reducing patien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은 수술의 종류에 따라 불안 정도의 차이가 존재한다고 하였다. 따라서 저자는 수술의 종류의 따른 불안의 정도 차이를 극복하기 위하여 전신마취 하 비관혈적 비골정복술을 시행받은 환자로 환자 군을 국한하여 연구의 신뢰성을 높이고자 하였다.
  • 비골골절 환자들 중 2007년 4월부터 2008년 4월까지 전신마취 하 비관혈적 비골골절 정복술을 받은 환자 40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당뇨나 고혈압, 정신질환 등의 기저질환이 없는 환자, 음악요법 시행에 지장이 없도록 청각 장애가 없는 환자, 설문지를 이해할 능력이 있으며 실험에 협조하는 환자들을 선택하고, 환자에게 연구의 목적을 설명하고 동의를 얻었다. 대상 환자의 연령은 10대 후반에서 60대 후반이였으며 평균연령은 34세였고 성별에 따른 환자 수는 남자 27명, 여자 13명이었다.
  • 또한, Stevens 등15은 음악요법의 효과 중 가장 중요한 것은 음악에 대한 친밀도와 기호라 하였다. 이번연구에서도 대상군의 환자에게 선호하는 음악을 선택할 수 있는 기회를 주어 음악요법의 불안감소 효과를 극대화 하고자 하였다.
  • 이러한 장점으로 미루어 보아 음악요법과 최면진정제를 동시에 사용하면 더욱 효과적으로 불안을 관리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며, 또한 최면진정제의 필요량을 줄일 수 있어 최면진정제의 부작용을 감소시킬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이에 저자들은 이번 연구를 바탕으로 수술불안의 감소를 통한 성공적인 수술결과와 높은 술후 만족도를 얻기 위해서 술전 최면진정제의 사용과 동시에 수술 전‧후의 음악요법의 사용을 추천하는 바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수술 환자의 불안은 무엇에 의해 유발되는가? 대부분의 수술 전 환자에서 다양한 정도의 두려움과 불안을 느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 수술 환자의 불안은 수술자체와 함께 낯선 환경, 친숙하지 않는 소리, 죽음에 대한 두려움, 밝은 조명과 전문용어에 의해 유발되어 심리적, 생리적 변화를 초래한다.2 특히 성형외과적 수술은 위와 같은 요소에 더불어 외모의 변화에 대한 두려움 또한 불안의 요소로 작용한다.
대부분의 수술 전 환자는 어떤 감정을 느끼는가? 대부분의 수술 전 환자에서 다양한 정도의 두려움과 불안을 느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 수술 환자의 불안은 수술자체와 함께 낯선 환경, 친숙하지 않는 소리, 죽음에 대한 두려움, 밝은 조명과 전문용어에 의해 유발되어 심리적, 생리적 변화를 초래한다.
수술 전, 후 환자의 만족도에도 지대한 영향을 끼치는 불안을 감소시키려는 목적으로 예로부터 어떤 연구가 시행되었는가? 이와 같은 불안은 수술 전, 후 환자의 만족도에도 지대한 영향을 끼친다. 따라서 예로부터 이러한 불안을 감소시키려는 목적으로 음악요법, 근 이완치료, 유머치료, 마사지치료, 최면술, 침술, 정보제공, 수술 전 전처치약의 사용 등 여러 가지 연구가 시행되고 있는데, 이 중 음악요법은 치료목적을 달성하고 정신적, 신체적 건강을 회복, 유지 및 증진하기 위해 음악을 이용하는 것으로 최근 비 침습적인 방법으로 수술환자의 불안감소, 이완효과, 통증감소의 중재법으로 널리 사용되어지며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1,3,4 이에 저자들은 수술 불안을 음악요법을 통하여 해소해 보고자 전신마취 하 비관혈적 비골골절 정복술을 시행받은 환자 군을 대상으로 수술 전, 수술 후 음악요법을 시행하여, 수술 전, 후에 환자가 느끼는 불안의 정도 차이 및 수술 전, 후의 활력징후의 변화에 대하여 최면진정제와 비교하여 연구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Badner NH, Nielson WR, Munk S, Kwiatkowska C, Gelb AW: Preoperative anxiety: detection and contributing factors. Can J Anesth 37: 444, 1990 

  2. Spintge R: Some neuroendocrinological effects of so called anxiolytic music. Int J Neurol 19: 186, 1985 

  3. Wang SM, Kulkarni L, Dolev J, Kain ZN: Music and preoperative anxiety: a randomized, controlled study. Anesth Analg 94: 1489, 2002 

  4. Kain ZN, Caldwell-Andrews AA, Krivutza DM, Weinberg ME, Gaal D, Wang SM, Mayes LC: Interactive music therapy as a treatment for preoprative anxiety in childrean: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Anesth Analg 98: 1260, 2004 

  5. Han DW, Lee CH, Tark JK: Standardization of Spielberger's STAI. Sungkyunkwan Univ. Study of Student Guidance 10: 214, 1993 

  6. Han DW, Lee CH, Tark JK: Establish of Spielberger's STAI-Y type. Journal of the Korean Psychology, Health 1: 1, 1997 

  7. Egbert LD, Battit GE, Welch CE, Bartlett MK: Reduction of postoperative pain by encourgement and instruction of patient. a study of doctor-patient rapport. N Eagl J Med 270: 825, 1964 

  8. Norris W, Baird WLM: Pre-operative anxiety: a study of the incidence and etiology. Br J Anesth 39: 503, 1967 

  9. Yung PM, Chui-Kam S, French P, Chan TM: A controlled trial of music and pre-operative anxiety in Chines men undergoing transurethral resection of the prostate. J Adv Nurs 39: 352, 2002 

  10. Hamel WJ: The effects of music intervention on anxiety in the patient waiting for cardiac catheterization. Intensive Crit Care Nurs 17: 279, 2001 

  11. Cooke M, Chaboyer W, Schluter P, Hiratos M: The effect of music on preoperative anxiety in day surgery. J Adv Nurs 52: 47, 2005 

  12. Bringman H, Giesecke K, Thorne A, Bringman S: Relaxing music as pre-medication before surgery: a randomised controlled trial. Acta Anaesthesiol Scand 53: 759, 2009 

  13. Nilsson U, Rawal N, Unosson M: A comparison of intraoperative or postoperative exposure to music-a controlled trial of the effect on postoperative pain. Anaesthesia 58: 699, 2003 

  14. Leardi S, Pietroletti R, Angeloni G, Necozione S, Ranalletta G, Del Gusto B: Randomized clinical trial examining the effect of music therapy in stress response to day surgery. Br J Surg 94: 943, 2007 

  15. Stevens K: Patient's Perception of music during surgery. J Adv Nurs 15: 1045, 199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