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이용자 중심의 자전거도로 서비스수준 모형 개발
Development of the Bicycle Level of Service Model from the User's Perspective 원문보기

大韓交通學會誌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v.28 no.3, 2010년, pp.75 - 84  

강경우 (한양대학교 교통시스템공학과) ,  이겨라 (한양대학교 교통시스템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심각한 교통 혼잡문제와 도시 환경문제를 해결하고자 자전거 이용 활성화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그러나 정부의 이러한 정책에도 불구하고, 자전거 이용자들은 여전히 자전거를 이용하는데 불편을 느끼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용자 중심의 자전거도로 서비스수준 모형을 개발하여 기존의 가전거도로 및 시설을 이용자 입장에서 평가하고 개선하는데 활용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실제 자전거 이용자들이 자전거도로를 이용하면서 느끼는 만족도로 자전거도로의 서비스수준을 정의하였다. 분석모형은 순차적 의미를 주는 선택, 선호와 관련된 분석에 적합한 순서형 프로빗 모형을 이용하였다. 또한, 자전거도로의 서비스수준은 실제 이용자들이 구별할 수 있는 수준인 3개(A~C) 범위로 정의하였다. 분석 결과, 이용자 중심의 자전거도로 서비스수준은 자전거도로 폭, 자전거도로축의 진 출입로 수, 자전거도로 유형, 보행자교통량, 대면횟수 순으로 정의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outh Korea is seeking for a solution to the problems of traffic congestion and environment: the increase of bicycle use. However many people feel that using a bicycle is inconvenient. Therefore, we developed bicycle level of service model from the user's perspective so that the existing bicycle ro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각 설명변수에 대하여 편미분을 적용함으로써 설명변수가 자전거 이용자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내는 한계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 정부에서는 자전거 이용 활성화 정책을 추진함으로써 자동차에 의한 대기오염, 소음 등의 환경오염 문제와 교통사고 및 혼잡 문제를 감소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또한, 자전거 인프라 시설을 구축하고 자전거 이용자가 만족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기존의 자동차 위주의 도로를 자전거 중심의 교통체계로 전환하고자 하고 있다.
  • 자전거 이용자의 만족도를 고려한 이용자 중심의 자전거 서비스수준을 정의하는 것을 목표로 하며, 자전거도로의 시설 특성 및 운영 특성 등의 다양한 영향요소를 복합적으로 고려하고자 하였다. 또한, 자전거도로축을 대상으로 진출입로의 수를 고려함으로써 실제 자전거 이용자의 경로 상에서 이용자가 느끼는 영향 요소를 반영한 모형을 개발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자전거 이용자 만족도 점수를 효과척도로 정의함으로써 이용자의 입장을 반영한 서비스수준 모형을 개발하였다. 이용자 만족도는 실제 조사 대상지에서 이용자들에게 설문을 통해 얻을 수 있었으며, 이러한 조사 방법은 각 조사대장지의 이용자들에 따른 편차를 가져올 수 있다.
  • 본 연구에서는 국내 도시부의 간선자전거도로를 대상으로 이용자 중심의 자전거도로 서비스수준 모형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국내 자전거 도로의 특성을 고려하여 이용자 중심의 자전거도로 서비스수준 모형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도시부의 간선자전거도로 축을 대상으로 이용자 중심의 서비스수준 모형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자전거도로 축은 1km 구간을 대상으로 하며, 조사대상지는 야탑역과 수원역, 분당 탄천, 안산 중앙역의 4개 지점으로 하였다.
  • 즉, 자료의 부족으로 인한 모형의 한계성을 갖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자전거도로의 서비스수준 모형을 개발하기 위한 방법론을 정립하였다는 점에 의의를 두고자 하였다. 또한, 자료의 부족으로 자전거도로 유형별 모형을 구분하여 제시하지 못한 한계점이 있으므로, 향후 연구에서는 추가적인 조사를 통해 자전거도로 유형별 특성을 반영한 모형을 제시할 필요가 있겠다.
  • 본 연구에서는 정부의 저탄소 녹색성장(Low Carbon, Green Growth) 실현을 위한 자전거 이용 활성화 정책과 더불어 이용자 중심의 자전거 서비스수준 모형을 개발함으로써 자전거 도로 계획 및 평가에 활용하고자 한다.
  • 26점으로 서비스수준 “B”에 해당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를 기준으로 특정 영향요소의 변화가 자전거 이용자의 서비스수준에 어느 정도의 영향을 주는지를 파악할 수 있었다. 자전거도로 서비스수준에 높은 영향력을 주는 것으로 분석된 자전거 도로 폭, 자전거도로축의 진출입로 수를 대상으로 민감도 분석을 수행한 결과는 <표 7>과 같다.
  • 자전거 이용자의 만족도를 고려한 이용자 중심의 자전거 서비스수준을 정의하는 것을 목표로 하며, 자전거도로의 시설 특성 및 운영 특성 등의 다양한 영향요소를 복합적으로 고려하고자 하였다. 또한, 자전거도로축을 대상으로 진출입로의 수를 고려함으로써 실제 자전거 이용자의 경로 상에서 이용자가 느끼는 영향 요소를 반영한 모형을 개발하고자 한다.
  • 자전거 이용자의 만족도를 바탕으로 서비스수준 모형을 개발하고자, 실제 이용자를 대상으로 설문을 수행하였다. 대상 도로를 평소에도 이용하는 이용자가 설문 당시의 상황을 나타내는 자전거도로 운영특성, 시설특성 등에 따라 각 개인의 만족도를 매우 만족(1)∼매우 불만족(6)의 범위 내에서 선택하도록 하였다.
  • 이용자 중심의 자전거도로 서비스수준 모형 개발을 위한 조사내용은 <표 2>와 같다. 자전거도로의 운영특성, 시설특성, 교차로특성과 안전성을 복합적으로 고려하여 이용자 중심의 자전거도로 서비스수준 모형을 개발하고자 한다. 자전거도로축을 대상으로 진출입로의 수와 교차로 횡단거리 등을 고려함으로써 실제 자전거 이용자의 경로 상에서의 서비스수준 영향요소를 모형에 반영하고자 하였다.
  • 자전거도로축의 진⋅출입로 수는 1km 구간 내의 진⋅출입지점의 개수를 의미하는 것이다. 자전거도로축을 대상으로 진 출입로의 수를 고려함으로써 실제 자전거 이용자의 경로 상에서 이용자가 느끼는 영향 요소를 반영하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자전거도로축의 진⋅출입로 수가 증가할수록 자전거 이용자의 만족도는 감소하여 서비스수준 “C”에 근접하게 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자전거도로의 운영특성, 시설특성, 교차로특성과 안전성을 복합적으로 고려하여 이용자 중심의 자전거도로 서비스수준 모형을 개발하고자 한다. 자전거도로축을 대상으로 진출입로의 수와 교차로 횡단거리 등을 고려함으로써 실제 자전거 이용자의 경로 상에서의 서비스수준 영향요소를 모형에 반영하고자 하였다.

가설 설정

  • 로짓 모형에서는 오차항의 확률적 분포가 분산이 동일하고 독립적(IID: Identically and Independently Distribution)인 Gumble 분포를 따른다고 가정하고, 프로빗 모형에서는 오차항의 확률분포가 분산이 동일하지 않고 공분산이 0이 아닌 경우를 포함하는 정규분포를 따른다고 가정한다(주미영, 2000)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정부에서 자전거 이용 활성화 정책을 추진하며 기대한 것은? 또한, 교통량 증가와 더불어 이산화탄소 배출량이 증가함에 따라서 도시 환경문제도 심각한 실정이다. 정부에서는 자전거 이용 활성화 정책을 추진함으로써 자동차에 의한 대기오염, 소음 등의 환경오염 문제와 교통사고 및 혼잡 문제를 감소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또한, 자전거 인프라 시설을 구축하고 자전거 이용자가 만족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기존의 자동차 위주의 도로를 자전거 중심의 교통체계로 전환하고자 하고 있다.
한국도로용량편람에서 제시하는 자전거도로의 효과척도는? 본 연구에서는 자전거도로 서비스수준의 효과척도 (MOE: Measure of Effectiveness)로 자전거 이용자의 만족도를 고려하였다. 한국도로용량편람에서 제시하는 간선도로 서비스 수준의 효과척도는 속도와 지체이며, 자전거도로의 효과척도는 속도, 지체, 상충횟수이다. 차량을 이용하여 간선도로를 통행할 때는 빠른 이동성을 보장해야 하므로, 속도와 지체를 효과척도로 간선도로의 서비스수준을 정의하는 것이 타당할 것이다.
레저형 자전거도로일 때 자전거 이용자들의 만족도가 높은 이유는? 자전거도로 유형은 레저형과 비레저형으로 구분하였으며, 레저형 자전거도로일 때 자전거 이용자들의 만족도가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이유는 레저형 자전거도로가 시설적인 측면에서 상대적으로 우수하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통근 통학 생활형 자전거도로를 의미하는 비레저형 자전거도로는 대부분 보행자도로의 일부분을 이용하게 되어 있어서 자전거도로 폭원도 협소할 뿐만 아니라, 보행자와의 상충 가능성이 높으며 분리시설 또한 존재하지 않는 경우가 대부분이므로 이용자들이 불만족스러워 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0)

  1. 주미영(2000), "프로빗과 순차적 프로빗 분석에 대한 이해와 적용", 정부학연구, 제6권, 제1호, 고려대학교 정부학연구소, pp.24∼48. 

  2. 이겨라?노종기?강경우(2009), "순서형 프로빗 모형을 이용한 이용자 중심의 자전거 서비스 수준 모형 개발", 한국ITS학회 논문지, 제8권 제22호, 한국ITS학회, pp.108∼117. 

  3. 강경우?백병성(1998), "순서형 프로빗모형을 이용한 속도선택행태에 관한 연구", 대한교통학회지, 제 16권 제3호, 대한교통학회, pp.93∼100. 

  4. 원제무?성낙문?오주택?하오근(1998), "순서형 프로빗 모형을 이용한 사고심각도 분석", 대한교통학회지, 제23권 제24호, 대한교통학회, pp.47∼55. 

  5. Harkey, David L.(1998), Donald W. Reinfurt and Matthew Knuiman, "Development Of The Bicycle Compatibility Index", Transportation Research Record No. 1636, TRB, National Research Council, Washington, D.C., pp.13∼20. 

  6. Bruce W. Landis, Venkat R. Vattikuti, Russell M. Ottemberg(2003), "Intersection level of service for the bicycle through movement", Transportation Research Record No. 1828, TRB, National Research Council, Washington, D.C., pp.101∼106. 

  7. Theodore A. Petritsch, Bruce W. Landis, Herman F. Huang, Peyton S. McLeod (2007), "Bicycle Level of Service for Arterials", Transportation Research Record No. 2031, TRB, National Research Council, Washington, D.C., pp.34∼32. 

  8. Soren Underlien Jensen(2007), "Pedestrian and Bicycle Level of Service on Roadway Segments", Transportation Research Record No. 2031, TRB, National Research Council, Washington, D.C., pp.43-51, pp.34∼42. 

  9. 2002 Quality/Level of Service Handbook (2002), Florida Department of Transportation, Office of the State Transportation Planner, pp.17∼19. 

  10. Landis, B.W., Vattikuti, V., and Brannick, M.(1997), Real-Time Human Perceptions: Toward a Bicyclist Level of Service. Transportation Research Record, No. 1578, TRB, National Research Council, Washington, D.C., pp.119∼126.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