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방치료와 Rogers의 인간중심적 상담요법으로 호전된 뇌졸중 후 우울증 치험 2례
A Clinical Report of Two Patients with Poststroke Depression by Korean Traditional Treatment and Roger's Person-centered Counseling 원문보기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 Journal of oriental neuropsychiatry, v.21 no.4, 2010년, pp.187 - 206  

김진이 (국립중앙의료원 한방신경정신과) ,  이진환 (국립중앙의료원 한방신경정신과) ,  김수정 (국립중앙의료원 한방신경정신과) ,  서주희 (국립중앙의료원 한방신경정신과) ,  윤인애 (국립중앙의료원 침구과) ,  박은영 (국립중앙의료원 한방내과) ,  성우용 (부산대학교 한의학전문대학원 한방신경정신과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 This study was designed to report the effect of korean traditional treatment and person-centered counseling for poststroke depression Methods : We treated two patients who scored 37 point and 32 point at Beck's depression inventory each, and 23 point and 22 point at Hamilton rating scal...

주제어

참고문헌 (30)

  1. 박동희, 연병실, 석재호. 뇌졸중 우울증에서 병변 부위에 따른 우울증의 정도와 Dexa-methsone 억제의 차이. 신경정신의학. 1995;34:134-45. 

  2. 위송희. 뇌졸중 노인의 우울, 수면의 질과 수면 만족도의 관계. 간호과학회지. 2008;20(2):26-30. 

  3. 오홍근. 약먹기 싫은 당신을 위한 아로마 건강법, 서울: 도솔. 1997:122-44. 

  4. 이화진, 이명선. 뇌졸중 후 편마비를 가진 중년기 환자의 적응 과정. 대한간호학회지. 2006;36(5):792-802. 

  5. 김현철, 김세주, 최낙경, 김영신, 이병철, 이만흥. 뇌졸중 후 삶의 질에 관한 추적연구. 신경정신의학. 2002;41(4):681-91. 

  6. 전국한의과대학 신경정신과 교과서 편찬위원회. 한방신경정신의학. 경기도: 집문당. 2005:254-57, 345-57, 744-92. 

  7. 주은선, 이혜경, 주은지. 한국적 인본주의 상담 모형 모색-인본주의 상담자들의 자기 보고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2007;19(3):569-86. 

  8. 이영희. 칼 로저스의 인간중심 상담이론의 철학적 함의. 한국심리학회지. 1994;6(1):1-20. 

  9. 이영호, 송종용. BDI,SDS,MMPI-D 척도의 신뢰도 및 타당도에 대한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1991;15(1):98-113. 

  10. Williams JB. A structured interview guide for the Hamilton Depression Rating Scale. Arch Gen Psychiatry. 1989;46(5):481-2. 

  11. Parikh RM, Robinson RG, Lipsey JR. Starkstein SE, Fedoroff JP. The impact of poststroke depression on recovery in activities of daily living over a 2 year of follow up. Arch Neurol. 1990;47(7):785-9. 

  12. Kauhanen M, Korpelainen JT, Hiltunen P, Brusin E, Mononen H, Maatta R, Nieminen P, Sotaniemi K.A. Poststroke depression correlates with cognitive impairment and neurological deficits. Stroke. 1999;80(9):1875-80. 

  13. Francisco GS. An overview of poststroke depression. N J Med. 1993;90(9):686-9. 

  14. Ghose, S. S., Williams, L. S. Depression and other mental health diagnosis after stroke increase inpatient and outpatient medical utilization three years poststroke. Medical Care. 2005;43(12):1259-64. 

  15. Hackett, M. L., Yapa, C, Parag, V. Frequency of depression after stroke: A systemic review of observational studies. Stroke. 2005;36(6):1330-40. 

  16. Berg, A., Palomaki, H., Lehtihalmes, M., Lonnqvist J. Poststroke depression. An 18-month follow-up. Stroke. 2003;34(1):138-43. 

  17. 김인자, 서문자, 김금순, 조남옥, 최희정. 뇌졸중 후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성인간호학회지. 2000;12(1):147-62. 

  18. Morris, P. L. P., & Robinson, R. G. Prevalence and course of depressive disorders in hospitalized stroke patients. International Journel of Psychiatry in Medicine. 1990;20:349-64. 

  19. House, A., Dennis, M., Mogridge, L., Warlow, C., Hawton, K., & Jones, L. Mood disorders in the year after first stroke. British Journel of Psychiatry. 1991;158:83-92. 

  20. Astrom, M., Adolfsson, R., & Asplund, K. Major Depression in stroke patients: A 3-Year Longitudinal study. Stroke. 1993;24:976-82. 

  21. Whyte Em, Mulsant BH. Post stroke depression: epidemiology, pathophysiology and biological treatment. Biol Psychiatry. 2005;52:253-64. 

  22. 강경숙. 중풍환자의 삶의 질 변화와 관련 인자에 관한 연구. 경희대 석사 학위 논문. 2001. 

  23. 나병조, 정재한, 최창민, 홍진우, 김태훈, 이준우, 이차로, 반건호, 정우상, 문상관, 배형섭. 중풍 후우울증에 대한 반하후박탕의 유효성 및 적응증 평가. 대한한방내과학회지. 2005;26(3):563-74. 

  24. 선종주, 정세연, 황재웅, 김석민, 정재한, 최창민, 정우상, 문상관, 조기호, 김영석. 중풍 후우울증 환자에 대한 향기침요법의 임상적 연구. 대한한방내과학회지. 2006;27(2):480-7. 

  25. 김청자, 정진선. 상담의 이론과 실제. 서울: 동문사. 2009:48-64. 

  26. Rogers, Carl R. The necessary and sufficient conditions of theapeutic personality change. Journal of Consulting Psychology. 1957;21:95-103. 

  27. 이장호. 상담심리학 제 4판. 서울: 박영사. 2005:64-71. 

  28. 김미희. 뇌졸중 후 편마비 노인의 우울 영향 요인. Journal of Korean Gerotological Society. 2006;26(4):911-27. 

  29. Castillo, C, S., Starkstein, S, E., Fedoroff, J, P., Price, T, R., & Robinson, R, G. Generalized Anxiety Disorders after Stroke. Journel of Nervous and Mental Disease. 1993;81:100-6. 

  30. 오영희. 용서를 통한 한의 치유- 심리학적 접근. 한국심리학회지. 1995;7(1):70-94.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