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괴화산(槐花散)이 Dextran Sulfate Sodium으로 유도된 생쥐의 궤양성 대장염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Goihwa-san on Ulcerative Colitis Induced by Dextran Sulfate Sodium in Mice 원문보기

대한한방내과학회지 = The journal of internal Korean medicine, v.31 no.3, 2010년, pp.513 - 525  

배광호 (세명대학교 한의과대학 부속 충주한방병원 내과학교실) ,  공경환 (세명대학교 한의과대학 부속 충주한방병원 내과학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Goihwa-san(GHS) against ulcerative colitis induced by DSS (dextran sulfate sodium). Method : The sample group was divided into three. The control group consisted of mice that were not inflammation-induced. The pathological group w...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저자는 槐花散이 혈성 설사를 주증상으로 하는 궤양성 대장염에 치료효과를 보일 것으로 생각되어 DSS(Dextran sulfate sodium)로 유발된 대장점막 손상에 대해 槐花散의 효과를 규명하기 위하여, 생쥐 대장점막의 염증효소 억제효과, 점막방어 체계의 회복과 육안적 소견, 조직 손상 완화 등의 변화를 관찰하여 유의한 결과를 얻어 이에 보고하는 바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궤양성 대장염이란? 궤양성 대장염은 비특이성 염증성 장질환의 하나로서 주된 증상은 혈성 설사, 복통이며 심한 경우에는 대개 발열과 체중감소를 동반한다. 그 원인과 병태생리가 정확히 밝혀져 있지 않아 근원적인 약물요법은 없으며 증상의 완화 및 관해가 치료의 요점이 되는 질환이다1.
궤양성 대장염의 주된 증상은? 궤양성 대장염은 비특이성 염증성 장질환의 하나로서 주된 증상은 혈성 설사, 복통이며 심한 경우에는 대개 발열과 체중감소를 동반한다. 그 원인과 병태생리가 정확히 밝혀져 있지 않아 근원적인 약물요법은 없으며 증상의 완화 및 관해가 치료의 요점이 되는 질환이다1.
槐花散이 Dextran sulfate sodium으로 유도된 생쥐의 궤양성 대장염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 하기 위해 행해진 본 연구는 槐花散의 항산화효과, NF-κB 활성 관련 염증효소 유전자 발현 억제, DSS 처리를 통해 인위적으로 궤양성 대장염이 유발된 생쥐의 주름창자의 길이, 창자점막 손상 그리고 NF-κB 활성과 관련된 면역조직학적 변화를 관찰하여 얻은 결론은? 1. 항산화효능을 가지고 있는 槐花散은 in vitro실험에서 LPS로 NF-κB 활성이 유도된 RAW 264. 7 macrophages에서 IKK, iNOS, COX-2 mNRA 발현을 용량-의존적으로 감소시켰다. 2. 槐花散이 투여된 생쥐의 창자 길이는 DIC군에 비하여 감소의 완화를 보였다. 3. 槐花散이 투여된 생쥐의 창자 점막은 DIC군에 비하여 출혈성 침식의 완화와 염증관여세포의 침식감소를 보였다. 4. 槐花散이 투여된 군에서는 DIC군에 비하여 ZO-1증가, HSP70 감소, 술잔세포 증가, COX-1 증가를 통하여 창자 점막손상이 완화되었음을 알 수있었다. 5. 槐花散이 투여된 군의 창자 점막에서 NF-κB 활성 억제를 통한 항염증작용 (NF-κB p65 감소, iNOS 감소, COX-2 감소)이 일어났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6)

  1. 김정룡. 소화기계 질환. 서울: 일조각; 2005, p. 277-315. 

  2. 해리슨내과학편찬위원회. 해리슨내과학. 서울:도서출판MIP; 2006, p. 1937-50. 

  3. 최은영. Indomethacan으로 유발된 생쥐의 대장점막 손상에 대한 赤小豆當歸散의 치료효과. 대한한방내과학회지. 2005;26(2):341-52. 

  4. 최준혁, 임성우. 沙蔘麥門冬湯이 궤양성 대장염 유발흰쥐에 미치는 영향. 대한한의학회지. 2002; 23(4):169-85. 

  5. 이주아, 공경환. DSS로 유발된 생쥐의 대장점막 손상에 대한 導滯湯의 효과. 대한한방내과학회지. 2008;29(3):752-64. 

  6. 이성환, 최흥민, 임성우. DSS으로 유발된 생쥐의 대장염에 미치는 地楡湯의 효과. 대한한의학회지. 2007;28(1):187-97. 

  7. 김승욱, 임성우. 導赤地楡湯이 궤양성 대장염 유발 흰쥐에 미치는 영향. 대한 한의학회지. 2002;23(3):200-10. 

  8. Yu J, Venkata S, Lei Y, Anne BH, Xiangli C, Patricia A et al. American ginseng suppresses inflammation and DNA damage associated with mouse colitis. Carcinogenesis. 2008;29(12):2351-59. 

  9. Chung HL, Yue GL, To KF, Su YL, Huang Y, Ko WH. Effect of Scutellariae Radix extract on experimental dextran-sulfate sodium-induced colitis in rats. World Gastroenterol. 2007;13(42):5605-11. 

  10. 전국한의과대학 비계내과학교실. 脾系內科學. 서울: 군자출판사; 2008, p. 36-75. 

  11. 朱震亨原著, 方廣編註. 丹溪心法附餘上卷. 서울: 대성문화사; 1993, p. 406. 

  12. 許浚. 東醫寶鑑. 서울: 동의보감출판사; 2005, p. 138-40. 

  13. 송인성. 한국인의 염증성 장질환. 대한내과학회지. 1999;57(4):661-74. 

  14. Itzkowitz SH, Yio X. Inflammation and cancer IV. Colorectal cancer in Inflammatory bowel disease: the role of inflammation. Am J Physiol Gastrointest Liver Physiol. 2004;287(1):7-17. 

  15. Surh YJ, Chun KS, Cha HH, Han SS, Keum YS, Park KK, Lee SS. Molecular mechanisms underlying chemopreventive activities of anti-inflammatory phytochemicals: down-regulation of COX-2 and iNOS through suppression of NF-kappa B activation. Mutat Res. 2001;1:480-1. 

  16. Fazio V. Current status of surgery for inflammatory bowel disease. Digestion. 1998;59(5):470-80. 

  17. 陳師文. 太平惠民和劑局方. 中國:施風出版社;中華民國64年, 券3, 第四葉. 

  18. 강순수. 바른방제학. 서울: 대성문화사; 1996, p. 102-3. 

  19. 康秉秀, 高雲彩, 金圭烈, 金先熙, 金仁洛, 金頀哲 등. 本草學. 서울: 영림사; 2000, p. 394, 615, 579. 

  20. Baeuerle PA. $I{\kappa}b-NF-{\kappa}B$ structure: at the interface of inflammation control. Cell. 1998;95:729-31. 

  21. Anggard E. Nitric oxide: mediator, murderer, and medicine. Lancet. 1994;9:1199-206. 

  22. Radi R, Beckman JS, Bush KM, Freeman BA. Peroxynitrite-induced membrane lipid peroxidation: the cytotoxic potential of superoxide and nitric oxide. Arch Biochem Biophys. 1991;288(2):481-7. 

  23. Villa LM, Salas E, Darley-Usmar VM, Radomski MW, Moncada S. Peroxynitrite induces both vasodilatation and impaired vascular relaxation in the isolated perfused rat heart. Proc Natl Acad Sci USA. 1994;91(26):12383-7. 

  24. Barnes PJ, Karin M. Nuclear factor-kappaB: a pivotal transcription factor in chronic inflammatory diseases. Engl J Med. 1997;336(15):1066-71. 

  25. Baeuerle PA, Baltimore D. $NF-{\kappa}B$ - Ten years after. Cell. 1996;87(1):13-20. 

  26. Groszmann RJ. Hyperdynamic state in chronic liver diseases. J Hepatol. 1993;17(2):38-40. 

  27. RothkOtter HJ, Pabst P, Bailey M. Lymphocyte migration in the intestinal mucosa : entry, transit and emigration of lymphoid cells and the influence of antigen. Vetrinary Immuno immunopath. 1999; 72:157-65. 

  28. Tsujii M, Kawano S, Tsuji S, Sawaoka H, Hori M, DuBois RN, Cyclooxygenase regulates angiogenesis induced by colon cancer cells. Cell 1998;93(5):705-16. 

  29. Kim HS, Berstad A. Experimental colitis in animal models. Scand J Gastroenterol. 1992;27(7):529-37. 

  30. Bjorck S, Jennische E, Dahlstrom A. Influence of topical rectal application of drugs on dextran sulfate-induced colitis in rats. Ahlman Dig Dis Sci. 1997;42(4):824-32. 

  31. Gassler N, Rohr C, Schneider A, Kartenbeck J, Bach A, Obermuller N, Otto HF, Autschbach. Inflammatory bowel disease is associated with changes of enterocytic junctions. Am J Physiol Gastrointest Liver Physiol. 2001;281(1):216-28. 

  32. Kucharzik T, Walsh SV, Chen J, Parkos CA, Nusrat A. Neutrophil transmigration in inflammatory bowel disease is associated with differential expression of epithelial intercellular junction proteins. Am J Pathol. 2001;159(6):2001-9. 

  33. Gonzalez MF, Shiraishi K, Hisanaga K, Sagar SM, Mandabach M, Sharp FR. Heat shock proteins as markers of neuronal injury. Brain Res Mol Brain Res. 1989;6(1):93-100. 

  34. Vass K., Beger ML., Nowak TS Jr, Welch WJ, Lassmann H. Induction of stress protein HSP70 in nerve cell after status epilepticus in the rat. Neurosci Lett. 1989;100(1-3):259-64. 

  35. Bergstedt K, Hu BR., Weiloch T. Initiation of protein synthesis and heat shock protein-72 expression in the rat brain following sereve insulin induced hypoglycemia. Acta Neuropathol. 1993;86(2):145-53. 

  36. Choitsu S. Roles of COX-1 and COX-2 in gastrointestinal patho-physiology. J Gastroenterol. 1998;33:618-2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