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사군자탕(四君子湯)이 TNBS로 유발(誘發)된 생쥐의 염증성(炎症性) 장질환(腸疾患)에 미치는 영향(影響)
The effect of Sagunja-tang on TNBS-induced Inflammatory Bowel Disease in Mouse 원문보기

대한한방내과학회지 = The journal of internal Korean medicine, v.31 no.4, 2010년, pp.731 - 751  

홍상선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비계내과학교실) ,  류봉하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비계내과학교실) ,  윤성우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비계내과학교실) ,  김진성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비계내과학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 The present study aimed to find out the effect of Sagunja-tang on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inflammatory bowel disease using mice with TNBS-induced inflammatory bowel disease. Methods : Mice with TNBS-induced inflammatory bowel disease were medicated with Sagunja-tang, and the wei...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궤양성 대장염의 특징은? 염증성 장질환(inflammatory bowel disease, IBD)이란 장에 만성적인 원인불명의 염증을 일으키는 질환으로 궤양성 대장염과 크론병을 지칭한다1. 이 가운데 궤양성 대장염은 대장 점막 표면을 침범하는 특발성 염증성 병변으로 미란과 출혈을 야기하는 염증 또는 궤양이 직장에서 시작하여 연속적으로 근위부로 진행하여 잦은 점액혈성 설사, 복통, 발열, 빈혈 등을 주증상으로 나타낸다2. 지금까지 궤양성 대장염은 육식을 주로 하는 서구에서 많이 발생하는 질환으로 알려져 왔는데, 최근에 우리나라에서도 생활양식이 서구화되기 시작하면서 발생 빈도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3.
염증성 장질환이란? 염증성 장질환(inflammatory bowel disease, IBD)이란 장에 만성적인 원인불명의 염증을 일으키는 질환으로 궤양성 대장염과 크론병을 지칭한다1. 이 가운데 궤양성 대장염은 대장 점막 표면을 침범하는 특발성 염증성 병변으로 미란과 출혈을 야기하는 염증 또는 궤양이 직장에서 시작하여 연속적으로 근위부로 진행하여 잦은 점액혈성 설사, 복통, 발열, 빈혈 등을 주증상으로 나타낸다2.
궤양성 대장염에 대한 四君子湯의 효능을 연구하기 위하여 생쥐에 2.5% TNBS 함유 50% 에탄올 용액을 관장하여 대장염을 유발시키고 검액을 투여한 후 생쥐의 체중변화, 대장길이, 대장점막의 육안형태변화, 조직학적 염색소견, 장점막 효소활성, immunoblot을 이용한 생화학적 지표, ELISA를 이용한 생화학적 지표 및 분변 中 세균성 효소활성 및 GAG 분해활성에 대한 효과를 관찰하여 얻은 결과는? 1. 대장염을 유발한 後에 모든 四君子湯 투여군의 체중은 증가하였다. 다만 정상군과 SGJ20×3群, SGJ50×3群은 체중증가정도가 대장염 유도전후에 비슷하였으나 나머지 다른 群에서는 증가정도가 감소하였다. 2. 대장의 길이는 SGJ20×3群을 제외한 모든 四君子湯 투여군에서 대조군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성있게 단축이 억제되었다. 3. 대장의 육안적 형태손상 지수는 SGJ20×3群과 SGJ20×5群을 제외한 모든 四君子湯 투여군에서 대조군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성있게 감소했다. 4. 조직학적 관찰 결과, SGJ50×5群과 SGJ50×3群들에서 대조군에 비해 명확하게 상피세포의 재생, 腺窩의 재생이 일어나고 염증세포의 침착 및 부종이 억제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5. 대장점막에서 MPO 활성정도를 측정한 결과, 모든 四君子湯 투여군에서 대조군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그리고 SGJ50×3群은 양약 대조군보다 MPO 활성을 통계적으로 유의성있게 더욱 억제하였다. 6. Immunoblot으로 pp65, COX-2의 단백질 발현을 비교한 결과, pp65에서는 모든 실험군에서 대조군에 비해 단백질 발현이 억제되어 효과적이었고, COX-2에서는 SGJ20×5群을 제외한 모든 실험군에서 대조군에 비해 단백질 발현이 억제되어 효과적이었다. 7. ELISA로 IL-1β의 발현량을 정량측정한 결과, 모든 四君子湯 투여군에서 대조군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되었다. 8. 대장점막에서 MDA, glutathione 수치를 측정한 결과, 지질대사산물인 MDA는 SGJ50×5群을 제외한 모든 四君子湯 투여군에서 대조군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억제되었다. 9. 항산화물질인 glutathione 수치는 모든 四君子湯 투여군에서 대조군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성있게 회복되었다. 10. 분변 中 장내세균 유해효소 中 β-glucuronidase는 모든 四君子湯 투여군에서 대조군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활성이 억제되었다. 11. 분변 中의 대표적인 GAG인 hyaluronic acid 분해활성은 SGJ50×3群을 제외한 모든 四君子湯 투여군에서 대조군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아졌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8)

  1. 김정룡. 소화기계질환. 서울: 일조각; 2000, p. 258-76. 

  2. 대한소화기학회. 염증성장질환. 서울: 군자출판사; 1999, p. 1, 26-7, 49-61, 141-4, 261. 

  3. 양석균. 한국인의 염증성 장질환의 현황과 임상적 특징. 대한소화기학회지. 2002;40:1-14. 

  4. 대한장연구학회. 潰瘍性大腸炎. 서울: 군자출판사; 2003, p. 8. 

  5. 김동현. 발효식품이 만드는 유산균이 내 몸을 살린다. 서울: 헌언; 2007, p. 95-8. 

  6. 서철훈, 이형호, 최기숙, 임동석, 유형천, 이영수, 최창원, 김희철. 濕熱痢로 변증한 潰瘍性 大腸炎 환자의 芍藥湯加味方 치험 2례. 대한한방내과학회지. 2006;27(4):984-90. 

  7. 차준환. 潰瘍性大腸炎과 托裏消毒飮의 協能. 대한한의학회지. 1972;12:148-57. 

  8. 윤상협. 補腸健脾湯加減方으로 교원성 대장염의 15년 설사를 호전시켰던 치험 1례. 대한성인병학회지. 2001;7(1):78-81. 

  9. 안중환, 최은영, 이성환, 박인식, 임성우. 黃連解毒湯이 DSS로 유발된 흰쥐의 潰瘍性 大腸炎에 미치는 영향. 대한한의학회지. 2006;27(2):182-95. 

  10. 김승욱, 임성우. 導赤地楡湯이 潰瘍性 大腸炎 유발 흰쥐에 미치는 영향. 대한한의학회지. 2002;23(3):200-10. 

  11. 황태현. 茵蔯五?散이 DSS로 유발된 흰쥐의 潰瘍性 大腸炎에 미치는 영향. 東國大學校 大學院博士學位論文. 2006. 

  12. 최은영. Indomethacin으로 유발된 생쥐의 大腸粘膜 손상에 대한 赤小豆當歸散의 치료효과. 東國大學校 大學院 碩士學位論文. 2004. 

  13. Yoo BH, Lee BH, Kim JS, Kim NJ, Kim SH, Ryu KW. Effects of Shikunshito-Kamiho on Fecal Enzymes and Formation of Aberrant Crypt Foci Induced by 1,2-Dimethylhydrazine. Biol Pharm Bull. 2001;24(6):638-42. 

  14. 陳師文. 太平惠民和劑局方. 서울: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1974, p. 115, 242. 

  15. Hollenbach E, Vieth M, Rosessner A, Neumann M, Malfertheiner P, Naumann M. Inhibition of RICK/Nuclear factor-kB and p38 signalling attenuates the inflammatory response in a murine model of Crohn Disease. J Biol Chem. 2005;280:14981-8. 

  16. Mullane KM, Kraemer R, Smith B. Myeloperoxidase activity as a quantitative assessment of neutrophil infiltration into ischemic myocardium. J Pharmacol Methods. 1985;14(3):157-67. 

  17. Bradford MM. A rapid and sensitive method for the quantitation of microgram quantities of protein utilizing the principle of protein-dye binding. Anal Biochem. 1976;72:248-54. 

  18. Ohkawa H, Ohishi N, Yagi K. Assay of lipid peroxides in animal tissues by thiobarbituric acid reaction. Anal Biol Chem. 1978;95(2):351-8. 

  19. Paglia DE, Valentine WN. Studies on the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characterization of erythrocyte glutathione peroxidases. J Lab Clin Med. 1967;70(1):158-69. 

  20. Ito M, Ohishi K, Yoshida Y, Yokoi W, Sawada H. Antioxidative effects of lactic acid bacteria on the colonic mucosa of iron-overload mice. J Agric Food Chem. 2003;51(15):4456-60. 

  21. Kruis W. Antibiotics and probiotics in inflammatory bowel disease. Aliment Pharmacol Ther. 2004;20(suppl.4):75-8. 

  22. Murai KJ, Hismitsu KI, Imamura L and Kobachi K. Effect of oral administration to rats of various undigestable saccharides on fecal pH, water content and enzyme activity. Bifidobacteria Microflora. 1994;13:91-8. 

  23. 김태일, 정혜원, 박영수, 김원호, 최창환, 이재훈, 이현웅, 박정엽. 潰瘍性 大腸炎의 임상 경과. 대한소화기학회지. 2001;38(3):169-76. 

  24. G. N. Stemmermann. Pattern of disease among Japanese living in Hawaii. Arch. Environ. Health. 1970;20:266-73. 

  25. Yoshiyuki Morishita, Taro Tsukada. Changes in the intestinal microflora in association with colon tumorgenesis in rats treated with 1,2-dimethylhy-drazines hydrochloride. Microbiol. Immunol. 1983;27(6):485-93. 

  26. 황은희. 食餌 纖維素 攝取常態와 便 膽汁酸 造成과의 관계. 韓國營養學會誌. 1996;29(1):41-9. 

  27. 전정열, 이철호, 이광열, 유정준, 박세영, 임석원, 김현식, 이종균, 이중달. 염증성 장질환에서 cyclosporine의 치료효과. 대한외과학회지. 1997;53(1):62-78. 

  28. Hanauer SB. Medical therapy of ulcerative colitis. Lancet. 1993;342(8868):412-7. 

  29. Hanauer SB. Inflammatory bowel disease. N EngJ Med. 1996;334(13):841-8. 

  30. Sartor RB. Microbial influences in inflammatory bowel disease role in pathogenesis and clinical implications. In: Sartor RB, Sandborn WJ, ed. Kirsner's Inflammatory Bowel Disease, 6th ed. New York: Saunders; 2004, p. 138-62. 

  31. Swidsinski A, Ladhoff A, Pernthaler A, Swidsinski S, Loening-Baucke V, Ortner M et al. Mucosal flora in inflammatory bowel disease. Gastroenterology. 2002;122:44-54. 

  32. Startor RB. Therapeutic manipulation of the enteric microflora in inflammatory bowel disease: antibiotics, probiotics, and prebiotics. Gastroenterology. 2004;126:1620-33. 

  33. 강어진, 이상선, 양차범, 신현경. 主要食餌纖維質原이 添加된 食餌가 노화 흰쥐의 腸內酵素 및 有害産物에 미치는 影響. 韓國營養學會誌. 1998;11(5):488-92. 

  34. 이종훈. 病原微生物學. 서울: 壽文社; 1973, p. 133-83. 

  35. 김소연, 류봉하, 박재우. 궤양성 대장염 동물모델에서 사미연견탕의 항염증 및 장내세균 효소활성 억제효과. 대한한의학회지. 2008;29(3):50-62. 

  36. 김나영, 김재준, 송인성, 김정룡, 김우호. 흰쥐에서 TNBS로 유발된 염증성 대장염의 병태생리에 관한 연구. 대한내과학회지. 1994;47(1):20-35. 

  37. Park IS. Histological study of experimental colitis induced by dextran sulfate sodium. The Korean J Anat. 2006;39(1):27-33. 

  38. Verspaget HW, Mulder TPJ and Lamers CBHW. Reactive oxygen metabolites and colitis; a disturbed balance bet ween damage and protection. A selective review. Scand J Gastroenterol. 1991;26(suppl.188):44-51. 

  39. Sartor RB. Cytokine in intestinal inflammation: Pathophysiological and clinical considerations. Gastroenterology. 1994:106;533-9. 

  40. Plevy SE, Landers CJ, Prehn J, Carramanzana NM, Deem RL, Shealy D and Targan SR. A role for TNF-alpha and mucosal T helper-1 cytokines in the pathogenesis of Crohn`s disease. J Immunol. 1997;159(12):6276-6282. 

  41. 서영준. 선택적 COX-2 저해약물의 화학 암 예방 효과 및 작용기전 연구. 신약개발지원사업 최종보고서. 02-PJ2-PG3-20802-0003. 2003, p. 1. 

  42. Surh YJ, Chun KS, Cha HH, Han SS, Keum YS, Park KK, Lee SS. Molecular mechanisms underlying chemopreventive activities of antiinflammatory phytochemicals: down-regulation of COX-2 and iNOS through suppression of NF- $\kappa$ B activation. Mutation Research. 2001;Sep 1:480-1, 243-68. 

  43. Kim SJ, Choi DH, Chung YT. Gliotoxin protects against TNBS-induced colitis via down-regulation of NF- $\kappa$ B activation. The Korean J Anat. 2004;37(3):309-15. 

  44. Urso ML, Clarkson PM. Oxidative stress, exercise and antioxidant supplementation. Toxicol. 2003;189(1-2):41-54. 

  45. Kurutas EB, Cetimkaya A, Bulbuloglu E, Kantarceken B. Effects of antioxidant therapy on leukocyte myeloperoxidase and Cu/Zn-superoxide dismutase and plasma malondialdehyde levels in experimental colitis. Mediators inflamm. 2005;2005(6):390-4. 

  46. N. Nalini, K. Sabitha, P. Viswanathan, V.P. Menon. Influence of spices on the bacterial enzyme activity in experimental colon cancer. J. of Ethnopharmacology. 1998;62(1):15-24. 

  47. B. Goldin, S.L. Gorbach. Alteration in fecal microflora enzymes related to diet, age, Lactobacillus supplements, and DMH. Cancer. 1977;40:2421-6. 

  48. Lee HS, Han SY, Ryu KY and Kim DH. The degradation of glycosaminoglycans by intestinal microflora deteriorates colitis in mice. Inflammation. 2009;32(1):27-3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