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방병원 응급실에 내원한 소아 환자에 관한 임상적 고찰
Clinical Study of the Pediatric Patients Who Had Visited Emergency Room(ER) at Oriental Medical Hospital 원문보기

大韓韓方小兒科學會誌 = The journal of pediatrics of Korean medicine, v.24 no.3, 2010년, pp.1 - 15  

이유진 (대구한의대학교 한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백정한 (대구한의대학교 한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By analyzing data of pediatric patients who had visited the emergency room of an oriental medical hospital, we can understand their characteristics and diseas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troduce the excellence of Oriental medicine, to develop various treatments and to revitaliz...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한방병원 응급실에 내원한 소아 환자의 통계적 연구를 통해 응급실에서 시행되는 한방치료의 질적 향상, 다양한 치료방법 확립, 소아 환자 진료 활성화에 도움이 될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 이유는? 이처럼 신속한 치료가 필요한 소아의 특징에도 불구하고, 오늘날 소아의 한방 응급 진료에 대한 연구는 미미하고, 한방병원 응급실에 내원하는 소아 환자의 수도 양방병원 응급실에 비해 미미한 실정이다. 따라서 한방병원 응급실에 내원한 소아 환자의 통계적 연구를 통해 응급실에서 시행되는 한방치료의 질적 향상, 다양한 치료방법 확립, 소아 환자 진료 활성화에 도움이 될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고대의 응급처치법은? 고대의 응급처치법을 살펴보면 鍼․灸․藥 외에도 管을 이용한 口對口․口對鼻 呼吸法 등 최초의 인공 호흡법과 “一人以手按据胸上 數動之”라고 하여 현대의 심장 마사지와 유사한 방법, 尿閉에 蔥葉을 尿道에 揷入한 導尿法, 大便不通에 蜜導煎法, 經鼻投藥法의 일종으로 鼻飼法 등이 있었다27).
소아의 특징은? 소아는《醫學三字經》에서 “稚陽體, 邪易于”라고 하여 질병에 대한 저항력이 낮아 감염되기 쉽고, 《溫病條辨․解兒難》에서는 “臟腑薄, 藩籬疏, 易于傳變, 肌膚嫩, 神氣怯, 易于感觸”이라고 하여 臟腑機能과 衛外機能의 취약한 생리적 특징으로 인해 질병의 이환과 전변이 쉽다. 그리고 나이가 어릴수록 實證에서 虛證으로, 輕證에서 重證으로 급속히 轉變하므로 適時에 적당한 치료를 받지 못하면 重病으로 발전되어 위험한 상황에 이르게 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7)

  1. 전혜진. 일 대학병원 응급의료센터의 소아환자 실태분석. 연세대 간호대학원. 2007:1-43. 

  2. 김경환, 김홍용. 응급실 환자에 대한 분석. 대한응급의학회지. 1995;6(2):381-7. 

  3. 김영식, 임경수, 황성호, 윤양구. 응급실 내원 환자에 대한 병원전 응급체계와 후송에 대한 조사. 대한응급의학회지. 1992;3(2):46-55. 

  4. 백광제, 박승희, 선경, 장연회, 엄병선, 홍윤식. 응급의학과 전공의 교육을 위한 제언. 대한응급의학회지. 1993;4(2):138-47. 

  5. 김옥준, 최옥경, 구홍두, 김승환, 김승호. 응급의료센터로의 외상환자 전원에 대한 고찰. 대한응급의학회지. 1993;4(1):112-21. 

  6. 윤상섭, 최승혜, 박일영, 이성, 박승만, 임근우. 2차 의료기관 응급실 내원환자에 대한 임상적 분석. 대한응급의학회지. 1997;8(2):155-65. 

  7. 이기호, 이문희, 최학봉. 응급실 내원환자의 분석. 가정의학과학회지. 1990;11(11):28-34. 

  8. 유인술, 박재황. 응급의료체계를 통하여 내원한 응급실 환자에 대한 분석. 대한응급의학회지. 1992;3(2):56-66. 

  9. 김덕곤, 김윤희, 김장현, 박은정, 백정한, 이승연, 이진용, 장규태. 동의소아과학. 서울:정담. 2002:20, 27-30, 679. 

  10. 차한, 윤덕로. 소아 응급실 이용양상. 소아과. 1989;32(7):897-913. 

  11. 안돈희. 소아환자의 응급실 현황. 대한의학협회지. 1994;413:690-719. 

  12. 문경덕. 응급실 환아의 통계적 관찰. 소아과. 1993; 36(12):1732-9. 

  13. 김원섭. 응급실 환아에 대한 임상적 관찰. 소아과. 1991;34(1):7-15. 

  14. 이규형. 응급실 환아에 대한 임상적 고찰. 소아과. 1984;27(2):1-17. 

  15. 김진희, 배진호, 전진호, 문정웅. 2차병원에서의 소아과 환자의 응급실 및 외래 이용에 관한 연구. 인제의학. 2006;27:87-95. 

  16. 박성철. 한방병원 응급실 내원 환자 1278명의 통계적 고찰. 원광대 대학원. 2002;12(1):173-86. 

  17. 안정란, 차상철, 김철규, 이인선. 한방병원 응급실 내원 환자 2485명의 통계적 고찰. 한방재활의학과학회지. 2002;12(4):1-10. 

  18. 김보중. 한방병원 응급실 환자에 대한 실태연구. 대전대학교 석사 논문. 2004:8-34. 

  19. 소형진, 류재환, 김영철, 이범준. 한의과대학 부속 한방병원 한방응급실 내원환자에 대한 임상적 분석. 대한한의학회지. 2007;28(3):197-206. 

  20. 강미선, 장규태, 김장현. 한방의료기관내 응급실에 내원한 소아환자에 관한 임상적 고찰. 대한한방소아과학회지. 2003;17(1):117-29. 

  21. 윤혜진, 서정민, 백정한. 모 한방병원 응급실에 내원한 소아 환자에 대한 임상적 연구. 대한한방소아과학회지. 2007;21(2):35-50. 

  22. Robert MK, Hal BJ, Richard EB, Bonita FS. Nelson textbook of pediatrics. 18th ed. Philadelphia:Saunders Elsevier. 2007:1. 

  23. 박찬국. 黃帝內經素問. 파주:집문당. 2005:567-79. 

  24. 이경우. 編注譯解 黃帝內經靈樞. 서울:여강출판사. 2000:109-38. 

  25. 김정범. 金櫃要略辨釋. 서울:한의문화사. 2003:607. 

  26. 葛洪. ?後備急方. 北京:人民衛生出版社. 1956:1-43. 

  27. 黃致元. 한방응급의학. 대전:대전대학교 한의과대학 순환기내과학교실. 1997:9-11. 

  28. 전세일. 동서의학의 협진방안. 제2회 한방병원학술대회 논문집. 1998;2(1):12-8. 

  29. 지제근. 동서의학 연구의 접점. 대한의사협회지. 1998;40(3):288-90. 

  30. 김신정, 문선영. 응급실 방문 환아에 대한 임상적 고찰. 아동간호학회지. 1999;5(1):97-106. 

  31. 최은영, 장규태, 김장현. 모 한방병원 소아과 외래 환자의 주소증에 대한 연구. 대한한방소아과학회지. 2005;19(2):197-213. 

  32. 박재황, 위대한. 응급센터에 내원한 소아환자에 관한 임상적 고찰. 대한응급의학회지. 1996;7(3):354-62. 

  33. 이정한. 소아 응급진료실 분리운영 후 적절성의 평가. 대한응급의학회지. 2003;14(4):366-70. 

  34. 김신정, 문선영, 박은옥. 응급실 방문 환아의 중증도. 아동간호학회지. 2001;7(2):191-202. 

  35. 송인선, 신지나, 신원규. 소아과 외래 환자의 주소증에 관한 고찰. 대한한방소아과학회지. 2002;16(2):69-81. 

  36. 손명숙, 김춘옥, 이지은, 유계선, 변선희, 정두채, 고영관. 응급실 내원 환자 진료시간 조사 연구. 대한응급의학회 학술발표대회자료집. 1995:50. 

  37. 원도희, 조정희, 정기숙, 이송득, 노희원. 생약 및 생약제제의 규격에 관한 연구III. 국립보건원보. 1985;22:383-98.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