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CM(ConstructionManagement)에의 효율적 BIM활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good use of Construction Management Model based on BIM 원문보기

한국 디지털 건축·인테리어학회 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n Digital Architecture · Interior Association, v.10 no.3 = no.20, 2010년, pp.87 - 95  

민영기 (두원공과대학 디지털건축인테리어과) ,  김경준 (두원공과대학 디지털건축인테리어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CM(Construction Manager) of D-university has been seeking the advice of my BIM-team to adopt CM(Construction Management) and BIM best practices to improve project delivery results, and has authored best practice reports for spatial validation, BIM, 3D, 4D and 5D performance. Building Informatio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4D(Cost)설계관리 시스템 구축을 통한 예산절감’을 목표로 TotalService대상 총공사비 500억원 이상 건축공사를 대상으로 하며, BIM발주 사업을 전문적으로 관리할 전담팀 구성하여 3D모델 데이터를 활용한 사업관리시스템 구축하여 TotalService원가관리 및 일정관리를 향상시키며 시공단계의 설계변경을 최소화하여 예산낭비 요인을 제거하고자 한다.
  • 3D BIM 데이터에서 자동으로 추출되는 개별적인 부위 또는 부품별 수량(길이, 면적, 체적 등)을 목적하는 바에 따라 추출 및 생성과 이에 따른 요구되는 수량을 산출하였다.
  • 구조부 적용과정에서 CAD 2D도면을 기준으로 작업하며, DWG도면의 오류를 모두 점검하고자 하였다. 이에 따라 4주차는 2D평면도 및 주심도 등의 도면오류 검토, 5주차는 2D단면도 등의 도면오류 검토 등으로서 2D도면오류를 검토함으로서 도면의 정확성 향상시킬 수 있었으며, 6주차까지의 BIM모델화 작업기간 중에 CAD도면과 일치하지 않는 부위와 2D도면의 오류로 판단되는 부위는 별도로 색인작업을 통해 문서로 작성한 후 현장회의를 통해 전달하였다.
  • 국내의 경우는 건축설계 및 친환경분석, 건축시공 및 건설사업관리(CM), 엔지니어링 분야 등에서 각기 다른 목적으로 BIM이 활용되고 있으며, 이에 본 논문에서 다루고자하는 주안점은, BIM 프로젝트에서 설계과정의 획일적인 순서에 따라 BIM 업무를 정리할 수 없는 한계성을 전제로 하고, 건설프로젝트의 설계 및 시공분야에 국한되어 진행되어 오던 건설산업에서의 BIM의 활용에 관한 사례를 분석하는 것이고, 이에 따라 건축 설계단계에서 발생하는 발주자와 여러 사업 참여자들의 의사결정과 설계업무를 지원하기 위한 BIM프로세스 정립과 그 활용안 모색하고 BIM 프로젝트 참여자가 수행해야할 업무를 제안하는데 목적이 있다.
  • 둘째는 궁극적으로, 건설사업관리 분야에서 BIM의 효율적 적용 가능성을 검토하며, 향후 발전시켜야 할 사항 도출하고자 함을 목표로 하였으며, 이러한 목표는 착공전 설계도서가 완비된 시점에서 CM 책임자의 의지에 따라 착공후 CM에 적용하기 위한 효율적인 BIM모델의 수행 방향 예측과 가까운 장래에 BIM이 CM에 적용될 상황을 고려하여 현장에서의 CM실무자를 대상으로 기본적인 BIM의 이해와 BIM의 절차, CM의 범위에서 적용할 수 있는 BIM의 수준 등을 분석 고찰하는 방향으로 그 목적이 정해졌다.
  • 본 논문은 BIM 대상건축물을 선정하고 BIM을 수행하면서 건설사업관리자 측면에서 요구되는 수행 프로세스와 수행범위 및 수준을 정함으로써 향후 건설현장에서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방향을 연구하고자 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론을 요약하였다.
  • BIM을 적용한 공정시뮬레이션과 현장 공정 비교하였다. 본 프로젝트에서 3D BIM모델 부위중 골조를 대상으로 3D 공정시뮤레이션을 구동해 보았으며, 이를 통해 전체 공사에 대한 흐름을 파악할 수 있었다. 다만, 전체 공사에 대해 3D 모델을 생성하고 세부적인 공정을 대입하는 것은 본 프로젝트의 목적상 제외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본 연구에서 BIM을 도입함으로 인한 기대효과는 무엇인가? 'BIM적용 확대를 통한 설계품질 향상'을 목표로 Total Service4)대상 건축공사 중 총공사비 500억원 이상의 턴키 또는 설계공모로 발주하는 공사를 대상으로 BIM을 도입을 추진하고 있다. 이를 위한 방법으로 '적극적 마케팅을 통해 BIM발주를 촉진', '연차별로 BIM 발주지침을 개발', 'BIM 적용시 인센티브 제공'을 제시하고 있으며, 3D설계를 적용하여 수요기관 만족도 향상과 민간 부문의 BIM 인프라 조성을 촉진, 설계단계에서의 다양한 검토로 설계품질 향상을 기대효과로 보고 있다.
BIM이라는 용어가 생겨난 계기는? BIM은 1970년대 후반 GeogiaInstituteofTechnology의 Charles M. Eastman교수가 BuildingProductModel이란 용어를 사용하기 시작한 것이 용어탄생의 계기가 되었고, 이후 JerryLaiserin에 의해 건물의 각종 정보를 디지털 포멧으로 교환하는 디지털 표현기법의 일반적인 명칭으로 널리 알려지게 되었으며, 1987년 Graphisoft사의 ArchiCAD가 최초로 VirtualBuilding의 개념을 제시하면서 그 용어가 사용되기 시작하였다.
미국 조달청 GSA이 BIM을 어떻게 이해하고 있나? 미국 조달청 GSA3)에서는 건축물의 디자인을 문서화하고 새로운 자본 시설의 건설과 운영을 시연할 목적으로 다양한 컴퓨터 소프트웨어 데이터 모델의 사용과 개발이라고 정의하였다. 즉, BIM이 단순한 하나의 정보모델이 아닌 건축물의 전 생애 주기 동안 생성되는 정보를 교환하고 재사용 하는 일련의 전 과정을 통합하는 시스템으로 보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1)

  1. 심진규 외2, 건설사업관리의 BIM 적용 가능성에 관한 연구, 한국디지털건축?인테리어학회 논문집, 제10권2호, 통권19호, 2010 

  2. 전영웅 외1, BIM기반 건설현장 관리모델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디지털건축?인테리어학회 논문집, 제9권3호, 통권17호, 2009 

  3. 강현철, BIM사례분석에 의한 건설 업무 통합모델 개발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대한건축학회, 제27권 1호, 2007 

  4. 김선규, 국내 CM시장의 지속적 발전을 위한 CM업체간 전략적 협력체계 구축 모델,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제22권 12호, 2006 

  5. 조달청, 보도자료, 2010.4.15 

  6. AGC, AGC Contractors'' Guide to BIM - Edition One, 2006.10 

  7. GSA, GSA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Guide Series, 01-GSA BIM Guide Overview, 2006.11 

  8. John Wiley & Sons International Rights, Inc, BIM Handbook, 2008 

  9. NIBS, National BIM Standard Version 1.0 - Part 1 : Principles, and Methodology by NIBS 

  10. http://aecbytes.com/buildingthefuture/2007/BIM_Awards_Part1.html 

  11. http://www.agc.or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