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건설사업관리자의 BIM 수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Factors Affecting the BIM Acceptance of Construction Managers 원문보기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v.16 no.3, 2015년, pp.11 - 23  

정용채 (성균관대학교 미래도시융합공학과) ,  진상윤

초록

CM과 BIM은 건축물 전 생애주기 동안 발생되는 정보를 통해 각 분아별 협업체계 구축 및 업체 간의 원활한 의사소통을 해주는 유사점이 있으며 BIM은 CM의 업무수행과 서비스의 가치 향상을 위한 효과적인 정보관리도구로 활용될 수 있다. 그러나 CM에서 BIM 도입과 활용은 아직도 매우 제한적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BIM 도입에 대한 CMr의 의도를 분석하고 CMr관점에서 효과적인 BIM 사용을 위한 전략을 수립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TAM방법을 사용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1) CMr는 현재 BIM을 통해 자신의 인지도 향상, 경쟁력 및 역량 강화와 같은 이미지 향상 보다는 현재 자신의 업무에서 BIM이 적용되는 것이 사회적으로 요구되고 있는지를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다. 2) BIM을 연계할 수 있는 업무를 도출하여 BIM을 활용할수 있는 업무프로세스를 구축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하고 있다. 3) CMr가 BIM의 수용과 인식에 대해서는 궁극적으로는 받아들이지만 실제적인 업무에서 BIM 사용과 시도는 주저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CM관점에서 BIM 활용 전략 수립 방향을 제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Construction Management(CM) and Building Information Management(BIM) have a lot in common that they need to establish a cooperation system among different disciplines and promote smooth communication among project stakeholders throughout the project life-cycle. BIM can be an effective information m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CMr의 BIM 활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사회적 영향과 업무적 영향, 개인적 영향을 통해 현재 BIM 수용에 대한 정량적인 분석을 하고 효과적인 BIM 활용 전략을 구축함으로써 CM 서비스의 가치를 높이는데 있다.
  • 본 연구에서 도출한 전략은 CMr의 BIM에 대한 인식을 바탕으로 효과적인 BIM 도입을 위한 기본 방침 또는 전략을 제시한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 더 나아가 향후 연구로서 이상에서 도출된 전략을 중심으로 BIM 활용분야와 다양한 CM업무를 바탕으로 연계가능성 정도를 분석하고 이를 기반으로 연계성이 좋은 BIM기반 CM업무 프로세스와 조직구성안를 개발하고 이를 검증하는 연구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가설 설정

  • H1-1: 주관적 규범은 이미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
  • H1-2: 주관적 규범은 인지된 유용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
  • H10: 인지된 용이성은 사용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
  • H2: 이미지는 인지된 유용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
  • H3: 업무연관성은 인지된 유용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
  • H4: 결과물품질은 인지된 유용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
  • H5: 결과입증성은 인지된 유용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
  • H6: 자기효능감은 인지된 용이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
  • H7: 개인혁신성은 인지된 용이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
  • H8: 인지된 용이성은 인지된 유용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
  • H9: 인지된 유용성은 사용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
  • 4.2 연구가설 설정

    설계된 연구모형을 바탕으로 변수간의 인과관계를 통계적으로 검증하기 위해 연구가설을 설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입찰안내서나 과업내용서에는 CM의 BIM업무 및 범위가 구체적으로 명시되어 있지 않는 이유는? 이는 BIM 활용에 대한 CM의 역할이 다른 건설참여자(설계사/시공사)와 다르기 때문이다(Kang et al. 2010). 현재 설계사와 시공사는 단계별 역할에 따라 BIM가이드 및 지침서에 따라 직접 BIM 데이터를 구축하고 활용하는(Kang et al. 2010, Cho et al. 2013) 반면, CM은 BIM을 직접적으로 구축하지는 않지만 구축된 BIM 데이터를 활용하여 각 단계별 정보에 맞는 관리를 한다(Ko et al. 2013). 따라서, CM에서의 BIM 활용은 설계사와 시공사와는 다른 시각으로 접근해야 한다. 또한 발주자의 대리인으로서 CM의 입장은 BIM활용에 대한 인식이 설계자와 시공자간에 다를 수 있기 때문이다.
건설사업관리의 역할은? 건설사업관리(Construction Management, 이하 CM)는 발주자의 대리인으로서 수행하는 프로젝트의 의사결정에 많은 영향을 끼치며(Kim et al. 2012), 발주자의 요구사항을 명확하게 수용하는 역할을 가진다(Song et al. 2011).
CM의 업무수행과 서비스의 가치 향상을 위한 효과적인 정보관리 도구가 될 수 있는 것은? BIM은 단순히 모델링이 아니라 건물의 전 생애주기 동안 발생하는 정보를 공유하여 각 분야별 협업체계를 구축하고, 참여자들의 원활한 의사소통을 해주는 기술이다(Shim 2012, Lee and Yu 2014). 이에 BIM은 CM의 업무수행과 서비스의 가치 향상을 위한 효과적인 정보관리 도구가 될 수 있다(Kang et al. 2010, Yu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1)

  1. Agarwal, R., and Prasad, J. A. (1998). "A conceptual and operational definition of person innovativeness in the domail of information technology." Information Systems Research, 9(2), pp. 204-215. 

  2. Agarwal, R., Sambamurthy, V., and Stair, R. M. (2000). "The evolving relationship between general and specific computer self-efficacy-an empirical assessment." Information Systems Research, 11(4), pp. 418-430. 

  3. Bae, D. H. (2013). "User Acceptance of Smart Phone." The e-Business Studies, 14(2), pp. 47-68. 

  4. Chin, W. (1998). "Issues and opinion on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MIS Quarterly, 22(1), pp.7-16. 

  5. Cho, H. j., Kim, Y. S., and Ma, Y. K. (2013). "A Study of LOD for BIM Model applied the Design Process" Journal of KIBIM, 3(1), pp. 1-10. 

  6. Cohen, J. (1988). "Statistical power analysis for the behavioral sciences." 2nd ed., Hillsdale,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7. Compeau, D., and Higgins, C. (1995). "Computer Selfefficacy : Development of a Measure and Initial Test." MIS Quarterly, 19(2), pp. 189-211. 

  8. Davis, F. D. (1989). "Perceived usefulness, perceived ease of use, and user acceptance of information technology." MIS Quarterly, 13(3), pp. 319-340. 

  9. Fornell, C., and Larcker, D. (1981). "Evaluating Structural Equation Models with Unobservable Variables and Measurement Error."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18(1), pp. 39-50. 

  10. Gefen, D., and Straub, D. W. (2005). "A Practical Guide to Factorial Validity Using PLS-Graph : Tutorial and Annotated Example." Communications of the AIS, 16(5), pp. 380-427. 

  11. Hasan, B. (2006). "Delineating the effects of general and system-specific computer self-efficacy beliefs on IS acceptance." Information and Management, 43(5), pp. 565-571. 

  12. Joo, J. H., and Kim, H. I. (2013). "Exploration of relationship among Korean adolescents' sexual orientations, exposure to internet pornography and sexual behaviors after exposure: focused on PLS path modeling analysis." The Journal of digital policy & management, 11(6), pp. 11-21. 

  13. Kang, H. K., Lee, J. Y., Kim, H. W., Kwan, O. S., and Park, S. J. (2010). "A Study of the BIM Application for Construction Management." Proceedings of KICEM Annual Conference, pp. 39-41. 

  14. Kim E. Y., Lee, J. H., and Seo, D. U. (2013). "A Study on the Effect of Organization's Environment on Acceptance Intention for Big Data System."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Applications & Management, 20(4), pp. 1-18. 

  15. Kim, E. M., and Kwon, S. H. (2010). "Choice and Influential Factors for Multimedia UCC: Technology Acceptance Model(TAM, TAM2)." Journal of Cybercommunication Academic Society, 27(2), pp. 5-43. 

  16. Kim, K. K., Ryoo S., Kim, M., and Kim, H. (2009). "Determinants of User Intentions to Use Mobile Web Browsing Service : Self Efficacy and Social Influences."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Applications & Management, 16(1), pp. 149-168. 

  17. Kim, M. H. (2012). "BIM Activation Scheme through Importance Analysis to Hindrance Factors of BIM by the Construction Parties." Chungang University. 

  18. Kim, M. J., Lee, K. H., and Son C. B. (2014). "An Status Analysis on the BIM Utilization and Its Improvement Measures in Domestic Architects."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Structure & Construction, 30(8), pp. 79-87. 

  19. Kim, S. J., Kwun, J. B., Lee, J. W., and Kim, H. S. (2012). "A Study of Construction Management Professionals' Vocational Ethics."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KICEM, 13(3), pp. 89-98. 

  20. Kim, T. H., and Cho, T. S. (2011). "Analysis of PLS Route Model as Against Physical Environment, Customer Satisfaction and Business Performance." the Korea Journal of Sports Science, 20(3), pp. 741-754. 

  21. Kim, W. T., and Chang, C. K. (2013). "Satisfaction Level and Performance Evaluation for CM Service in Korea."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KICEM, 14(4), pp. 108-117. 

  22. Kim, W. Y. (2012). "BIM Utilization and implications of the construction company."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13(6), pp. 29-32. 

  23. Ko, Y. H., Kim, H. S., Kim, K. I., and Baek, K. H. (2013). "The Problems and Improvements of the BIM Implementation in the CMr's Perspective." Proceedings of KIBIM Annual Conference, pp. 11-13. 

  24. Lee, C. J., Lee, G., Won, J. S., and Yun, S. C. (2011). "Derivation of High-Priority Items for BIM Adoption in CM Service - CM Service for High Rise Building."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Structure & Construction, 27(6), pp. 115-123. 

  25. Lee, H. L., and Yu, J. H. (2011). "Personal Competency Analysis of Construction Managers by Position."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Structure & Construction, 27(11), pp. 151-159. 

  26. Lee, J. S., and Lee, M. Y. (2006). "Examining Factors Affecting the Adoption of Terrestrial DMB Phones Using Modified Technology Acceptance Model2(TAM2)." Studies of Broadcasting Culture, 18(2), pp. 251-283. 

  27. Lee, S. K., and Yu, J. H. (2013). "Key Factors Affecting BIM Acceptance in Construction."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Planning & Design, 29 (8), pp. 79-87. 

  28. Lee, S. K., and Yu, J. H. (2013). "Moderating Effect of Organizational Cultur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nfluence Factors and BIM Acceptance."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Planning & Design, 30(2), pp. 51-60. 

  29. Lee, S. Y., Ham, N. H., Kim, J. H., and Kim J. J. (2013). "A Study of BIM-based Construction Management Work Process Development in Design Phase."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KICEM, 14(6), pp. 90-101. 

  30. Malhotra, Y., and Galletta, D. F. (1999). "Extending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 to account for social influence : Theoretical bases and empirical validation." Proceedings of Hawaii International Conference on Systems Science, pp. 6-14. 

  31. Min, Y. G., and Kim, K. J. (2010). "A Study on the good use of Construction Management Model based on BIM." Journal of the Korean Digital Architectureinterior Association, 10(3), pp. 87-95. 

  32.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MOLIT) (2014). "CM Capability Assessment Results." , (Aug. 28, 2014). 

  33. Ortega Egea, J. M., and Roman Gonzalez, M. V. (2011). "Explaining physician's acceptance of EHCR systems: An extension of TAM with trust and risk factors." Computers in Human Behavior, 27(1), pp. 319-332. 

  34. Park, C. H. (2014). "Assessment of BIM Acceptance Degree of Korean AEC Participants." Sungkyunkwan University. 

  35. Park, K. H. (2006). "An Integrated Study concerning Antecedent Variables affecting the intention-touse of on-line shopping malls." The Journal of information systems, 15(4), pp. 55-72. 

  36. Park, K. H., and Kim, Y. M. (2013). "A Study on Smart Phone based e-Learning and its Impact on Learner's Satisfaction." The e-Business Studies, 14(2), pp. 25-45. 

  37. Schillewaert N., Ahearne, M. J., Frambach, R. T., and Moenaert, R. K. (2005). "The adoption of information technology in the sales force." Industrial Marketing Management, 34, pp. 323-336. 

  38. Seo, M. B., and Ju, K. B.(2012). "Strategies to Revitalize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by the Survey Questionnaires from Design Experts in Field of Civil Engineering."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2(11), pp. 446-457. 

  39. Shih, H. P. (2004). "An empirical study on predicting user acceptance of e-shopping on the Web." Information & Management, 41(3), pp. 351-368. 

  40. Shim, J. K., Yi, H. I., and Kim, J. J. (2010). "A Study on The Possibility of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Application of Construction Management." Journal of the Korean Digital Architecture-interior Association, 10(2), pp. 49-60. 

  41. Shim, U. J. (2012).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BIM in each Step of Construction Life-Cycle." Yeungnam University. 

  42. SmartMarket Report (2013). "The Business Value of BIM for in South Korea." McGraw-Hill Construction. 

  43. SmartMarket Report (2014). "The Business Value of BIM for Construction in Major Global Markets." McGraw- Hill Construction. 

  44. Son, H., Lee, S., and Kim, C. (2014). "What drives the adoption of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in design organizations? An empirical investigation of the antecedents affecting architects' behavioral intentions." Automation in Construction, 49, pp. 92-99. 

  45. Song, S. M., Seo, J. H., Lee, C. H., Kim, Y. S., and Cho, H. H. (2011). "A Deduction of Key Work for Service Guide of Construction Manager in Construction Project."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KICEM, 12(4), pp. 11-20. 

  46. Straub, D., Boudreau, M. C., and Gefen, D. (2004). "Validation Guidelines for Is Positivist Research." Communications of the AIS, 13, pp. 380-427. 

  47. Tenenhaus, M., Vinzi, V. E., Chatelin, Y. M., and Lauro, C. (2005). "PLS path modeling." Computational statistics & Data analysis, 48(1), pp. 159-205. 

  48. Venkatesh, V., and Davis, F. D. (2000). "A Theoretical Extension of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 Four Longitudinal Field Studies." Management Science, 46(2), pp. 186-204. 

  49. Venkatesh, V., Morris, M. G., Davis, G. B. and Davis, F. D. (2003). "User acceptance of information technology: Toward a unified view." Information Management, 27(3), pp. 425-478. 

  50. Xu, H., Feng, J., and Li, S. (2014). "Users-orientated evaluation of building information model in the Chinese construction industry." Automation in Construction, 39, pp. 32-46. 

  51. Yu, Y., Jeong, J., Jung, I., Yoon, H., and Lee, C. (2013). "Development of BIM-based Work Process Model in Construction Phase."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KICEM, 14(1), pp. 133-143.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