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우리나라 산림지역에서의 이산화황 농도의 시.공간적 분포
Temporal and Spatial Distribution of Ambient Sulfur Dioxide Concentration in Forest Areas, Korea 원문보기

韓國土壤肥料學會誌 = Korean journal of soil science & fertilizer, v.43 no.6, 2010년, pp.1035 - 1039  

이승우 (국립산림과학원 산림복원연구과) ,  이충화 (국립산림과학원 산림복원연구과) ,  지동훈 (국립산림과학원 산림복원연구과) ,  윤희정 (국립산림과학원 산림복원연구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전국 65개 산림지역 조사지를 대상으로 장기확산형 패시브샘플러를 이용하여 1993년에서 2008년까지 월별 이산화황 ($SO_2$) 농도를 측정하고 도시지역과 비교하여 산림지역에서의 이산화황 농도의 시간적 및 공간적 분포 특성을 구명하였다. 산림 내 이산화황 ($SO_2$)의 연평균 농도는 관측 시작년도부터 점차 낮아지다가 1997년 이후에는 뚜렷한 변화가 없었으며, 이는 환경부의 도시지역의 연도별 농도 변화와도 같은 경향이었다. 조사기간 동안 전체 산림지역 조사지의 연평균 이산화황 농도는 5.6 ppb로 환경부의 도시지역 평균치 (10.1 ppb)와 EC (1999)의 생태적 위해 기준치 (7.6 ppb)에 비해 낮은 수준이었다. 계절별로는 산림지역과 도시지역 모두에서 난방 연료 사용량이 많은 겨울과 봄에 농도가 높았으며 강우와 고온의 영향이 큰 여름에 낮게 나타났다. 지역별로는 다른 지역에 비해 경북과 경기지역에서 이산화황 연평균 농도가 높게 나타났다. 황산화물 배출량과 이산화황 농도 간에 유의적인 정의 상관성이 나타남에 따라 황산화물 배출원의 규모와 근접성이 대기 중 이산화황의 농도를 결정짓는 중요한 인자임을 반영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For 65 national forest areas in 1993 to 2008, the ambient sulfur dioxide ($SO_2$) concentrations were measured monthly using passive samplers and compared to the those of urban areas in order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temporal and spatial distribution. In the forest areas, an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는 전국 산림지역 65개소를 대상으로 실시한 1993~2008년간의 장기모니터링의 결과를 토대로 대기 중 이산화황 농도의 시간 및 공간적 분포 특성을 도시지역과 비교하여 파악하고자 수행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이산화황 농도는 계절별로 어떠한 차이가 나는가? 6 ppb)에 비해 낮은 수준이었다. 계절별로는 산림지역과 도시지역 모두에서 난방 연료 사용량이 많은 겨울과 봄에 농도가 높았으며 강우와 고온의 영향이 큰 여름에 낮게 나타났다. 지역별로는 다른 지역에 비해 경북과 경기지역에서 이산화황 연평균 농도가 높게 나타났다.
공기 중에 기체상태로 존재하는 이산화황은 어떠한 부작용을 초래하는가? 공기 중에 기체상태로 존재하는 이산화황 (SO2)은 임목의 광합성 작용에 의해 흡수되기도 하지만 (Escobedo and Nowak, 2009), 반대로 임목의 생장저하, 토양산성화 증가, 산불 취약성 증가 등과 같은 여러 부작용을 초래할 수 있는 유해물질이기도 하다 (이 등, 2004; 한등, 2004; William et al., 1985; Nancy et al.
전체 산림지역 조사지의 연평균 이산화황 농도는 얼마이고, 도시지역 평균치와 생태적 위해 기준치와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산림 내 이산화황 ($SO_2$)의 연평균 농도는 관측 시작년도부터 점차 낮아지다가 1997년 이후에는 뚜렷한 변화가 없었으며, 이는 환경부의 도시지역의 연도별 농도 변화와도 같은 경향이었다. 조사기간 동안 전체 산림지역 조사지의 연평균 이산화황 농도는 5.6 ppb로 환경부의 도시지역 평균치 (10.1 ppb)와 EC (1999)의 생태적 위해 기준치 (7.6 ppb)에 비해 낮은 수준이었다. 계절별로는 산림지역과 도시지역 모두에서 난방 연료 사용량이 많은 겨울과 봄에 농도가 높았으며 강우와 고온의 영향이 큰 여름에 낮게 나타났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Bytnerowicz A, K. Omasa, and E. Paoletti. 2007. Integrated effects of air pollution and climate change on forests: A northern hemisphere perspective. Environ. Pollut. 147:438-445. 

  2. Carmichael, G.R., D.G. Streets, G. Calori, M. Amann, M.Z. Jacobson, J. Hansen, and H. Ueda. 2002. Changing trends in sulfur emissions in Asia: implications for acid deposition, air pollution and climate. Environ. Sci. Technol. 36:4707-4713. 

  3. EC Directive. 1999. Council directive 99/30/EC, relating the limitvalues for sulphur dioxide, nitrogen dioxide and oxides of nitrogen, particulate matter and lead in ambient air. Official Journal of the European Communities L 163, pp.41-60. 

  4. Escobedo F. and D.J. Nowak. 2009. Spatial heterogeneity and air pollution removal by an urban forest. Landscape Urban Plan. 90:102-110. 

  5. Ferm, M., A. Lindskog, P.A. Svanberg, and C.A. Bostrom. 1994. New measurement technique for air pollutants (in Swedish), Kemisk Tidskrift 1:30-32. 

  6. Furukawa, A. 1984. Defining pollution problems in the Far East - a case study of Japanese air pollution. pp.59- 74. In eds. M.J. Koziol and F.R. Whatley. Gaseous Air Pollutants and Plant Metabolism. published by Butterwirths. p.466. 

  7. Maria Delgado-Saborit J. V. Esteve-Cano. 2006. Field Study of Diffusion Collection Rate Coefficients of a No2 Passive Sampler in a Mediterranean Coastal Area. Environ. Monit. Assess. 120:327-345. 

  8. Nancy, E.G., A.M. Richard, D.P. Timothy, J.S. Steve, J.C. Deborah, E.F. Mark, J.R. Pillip, and D. Alexander. 2008. Air pollution increases forest susceptibility to wildfires : A case study in the San Bernardino mountains in Southern California. Development in Environmental Sciences 8:365-403. 

  9. Nishikawa Y. and A. Kannari. 2010. Atmospheric concentration of ammonia, nitrogen dioxide, nitric acid, and sulfur dioxide by passive method within Osaka prefecture and their emission inventory. Water, Air, and Soil Pollution DOI:10.1007/s11270-010-0472-3. 

  10. Percy K.E. and M. Ferretti. 2004. Air pollution and forest health: toward new monitoring concepts. Environ. Pollut. 130:113-126. 

  11. Reddy, M.S. and C. Venkataraman. 2002. Inventory of aerosol and sulphur dioxide emissions from India: I-Fossil fuel combustion. Atmos. Environ. 36:677-697. 

  12. Roger, M.C. 2003. The use of passive sampling to monitor forest exposure to O3, NO2 and SO2: a review and some case studies. Environ. Pollut. 126:301-311. 

  13. Sanz, M.J., V. Calatayud, and G. Sanchez-Pena. 2007. Measures of ozone concentrations using passive sampling in forests of South Western Europe. Environ. Pollut. 145:620-628. 

  14. Smidt S, and F. Herman. 2004. Evaluation of air pollutionrelated risks for Austrian mountain forests. Environ. Pollut. 130:99-112. 

  15. William E.W., A.M. Harold, and A.G. Robert. 1985. Sulfur dioxide and vegetation. Stanford University Press, Stanford, California p.593. 

  16. 山田?, 吉田大作, 胡連春, 山田武. 1996. パッシブサン プラ?を用いる山間部における大?中二酸化窒素及 び二酸化硫?の簡易測定法. 分析化學 45:1083-1088. 

  17. 김신도, 봉춘근. 1998. Passive sampler를 이용한 서울지역의 $NO_{2}$ 분포에 관한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연구원 도시과학논총 24:159-164. 

  18. 이총규, 황진형, 김종갑. 2004. 산성강우에 의한 수목의 쇠퇴현상(I)-음이온을 중심으로. 한국생태학회지 27:347-353. 

  19. 임봉빈, 김선태, 정재호, 이범진. 2007. 장기 $NO_{2}$ 및 $SO_{2}$ Passive Diffusive Sampler (PDS)를 이용한 대전시 대기질 모니터링. 한국환경과학회지 16:187-195. 

  20. 임업연구원. 2003. 대기오염 및 산림생태계 변화 모니터링. 연구자료 204호 p.259. 

  21. 정의석, 김선태, 김선규, 홍성민, 정호성. 2002. 남극지역의 대기오염 측정체계 구축을 위한 기초조사. 대전대학교 환경문제연구소논문집 6:61-72. 

  22. 한진석, 김영미, 안준영, 공부주, 최진수, 이상욱, 이석조.2006. 장거리 이동 대기오염물질 이동량의 공간적 분포와 변화 추이 (1997-2004년). 한국대기환경학회지 22:99-106. 

  23. 한진석, 안준영, 홍유덕, 공부주, 이석조, 선우영. 2004. 한반도 서해상으로 장거리 이동하는 $SO_{2}$ 의 농도 및 연직분포 특징. 한국대기환경학회 20:671-683. 

  24. 환경부. 1993-2008. 대기환경연보.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