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 In this study, we compared the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activities of Curcumae longae Radix (CLRa) and Curcumae longae Rhizoma (CLRh). Methods : We performed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radical and 2,2-azinobis-3-ethylbenzothiazoline-6-sulfonic acid (ABTS) cation scav...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와 같이 두 약물은 성미와 효능이 달라 본초학적 적용범위가 다름에도 불구하고 실험적으로는 두 약물의 공통 성분인 curcumin 위주의 연구 결과들이 주로 보고되어 왔으나15-18), 실제 두 약물 간의 효능 비교에 관한 연구는 아직까지 보고된 바 없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울금과 강황 물 추출물의 항산화 및 항염증 활성에 관한 비교 연구를 수행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울금과 강황 물 추출물의 PC12 및 BV2 세포에서의 H2O2와 LPS로 유발한 독성에 대한 항산화 및 항염증 효능의 비교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울금과 강황의 라디칼 소거능과 H2O2와 LPS 독성을 이용하여 항산화 및 항염증 활성에 대하여 비교 연구를 수행한 결과 얻은 결론은? 1.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와 ABTS radical cation decolorization activity를 측정한 결과, 울금과 강황의 농도 의존적 소거능을 확인하였고, 울금이 강황보다 높은 라디칼 소거능을 보였으며 총 폴리페놀 함량은 강황이 울금보다 더 높았다. 2. PC12 세포에서 울금과 강황의 세포 생존율 실험 결과 울금과 강황 1∼100 μg/mL 농도에서 생존율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 H2O2에 의한 세포독성과 ROS 생성에 대해서는 울금과 강황의 세포보호 및 ROS 생성 억제 활성에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3. BV2 세포에서 LPS에 의해 유도된 NO 및 iNOS 생성이 울금과 강황에 의해 억제되었으며, 울금이 강황보다 높은 NO 및 iNOS 억제 효과를 보였다.
울금이란? 을 약용으로 한다1). 울금(Curcumae longae Radix)은 강황의 덩이뿌리를 그대로 또는 주피를 제거하고 쪄서 말린 것을, 강황(Curcumae longae Rhizoma)은 C. longa L의 뿌리줄기를 약용으로 한다1).
울금과 강황이 함유하고 있는 성분에는 어떤것들이 있는가? 울금과 강황이 함유하고 있는 성분으로는 turmerone, zingiberene, phellandrene, 1, 8-cineole, sabinene, borneol 등의 정유성분과 황색색소 성분인 curcumin, coumaroyl, 그리고 ar-turmerone, caryophyllene, curlone, 백당, 과당, 포도당, 전분, 지방유 등이 있다3,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식품의약품안전청. 대한약전. 신일북스. 2008 : 905-6, 960. 

  2. 식품의약품안전청. 한약재 관능검사지침 I. 이문기업. 2006 : 20, 76. 

  3. 생약학교재편찬위원회. 생약학. 동명사. 2008 : 169-71. 

  4. 김호철. 한약약리학. 집문당. 2001 : 327. 

  5. 서부일, 최호영. 임상 한방 본초학. 영림사. 2004 : 585-9. 

  6. 김창렬. 랫트의 간손상에 대한 울금 추출물의 간 기능 개선 효과. 한국축산식품학회지. 2006 ; 26(3) : 386-93. 

  7. 강재구, 강효진, 서지혜, 김선옥, 최정효, 조도연, 박창교, 이회영. 낫토균으로 발효한 발효울금의 투여가 마우스의 간 기능 및 혈중 지질 함량에 미치는 영향. 한국식품과학회지. 2009 ; 38(4) : 430-35. 

  8. 안봉전, 이진영, 박태순, 편정란, 배호정, 송미애, 백은지, 박정미, 손준호, 이창언, 최경임. 추출조건에 따른 울금의 항산화 및 미백효과. 한국약용작물학회지. 2006 ; 14(3) : 168-72. 

  9. Selvam R, Subramanian L, Gayathri R, Angayarkanni N. The anti-oxidant activity of turmeric (Curcuma longa). Journal of Ethnopharmacology. 1995 ; 47 : 59-67. 

  10. 이재열, 김용래, 황문제, 구병수, 김근우. 울금의 항우울 효과에 대한 실험적 연구.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2007 ; 18(2) : 45-55. 

  11. 윤주호, 류봉하, 김진성, 윤상협. 강황이 수종의 암세포에 미치는 영향. 대한한방내과학회지. 2006 ; 27(2) : 429-43. 

  12. 이상헌, 안영민, 안세영, 김영옥, 이병철. 강황이 고환절제수술 및 testosterone으로 유발된 rat의 전립선 비대증에 미치는 영향. 대한한방내과학회지. 2008 ; 30(2) : 355-64. 

  13. 박세근. 신경아세포에서 과산화수소의 세포사멸에 대한 강황의 보호작용. 세명대학교. 2007. 

  14. Quiles JL, Mesa MD, Ramirez-Tortosa CL, Aguilera CM, Battino M, Gil A, Ramirez-Tortosa MC. Curcuma longa extract supplementation reduces oxidative stress and attenuates aortic fatty streak development in rabbits. Arteriosclerosis, Thrombosis, and Vascular Biology. 2002 ; 22 : 1225-31. 

  15. Miquel J, Bernd A, Sempere JM, Diaz-Alperi J, Ramirez A. The curcuma antioxidants: pharmacological effects and prospects for future clinical use. A review Archives of Gerontology and Geriatrics. 2002 ; 34 : 37-46. 

  16. Camacho-Barquero L, Villegas I, Sanchez-Calvo JM, Talero E, Sanchez-Fidalgo S, Motilva V, Lastra CA. Curcumin, a Curcuma longa constituent, acts on MAPK p38 pathway modulating COX-2 and iNOS expression in chronic experimental colitis. International Immunopharmacology. 2007 ; 7 : 333-42. 

  17. Jung KK, Lee HS, Cho JY, Shin WC, Rhee MH, Kim TG, Kang JH, Kim SH, Hong S, Kang SY. Inhibitory effect of curcumin on nitric oxide production from lipopolysaccharide-activated primary microglia. Life Science. 2006 ; 79 : 2022-31. 

  18. Arauj CAC, Leon LL. Biological activities of Curcuma longa L. Memorias do Instituto Oswaldo Cruz. 2001 ; 96(5) : 723-8. 

  19. Blosis MS. Antioxidant determination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1958 ; 181 : 1190-200. 

  20. George P, Dimltrios B. Antioxidant Effect of Natural Phenols on Olive Oil. Journal of the American Oil Chemists' Society. 1991 ; 68 : 669-71. 

  21. Madamanchi NR, Vendrov A, Runge MS. Oxidative Stress and Vascular Disease. Arterioscler Thrombosis, and Vascular Biology. 2005 ; 25 ; 29-38. 

  22. MacNee W. Oxidative stress and lung inflammation in airways disease. European Journal of Pharmacology. 2001 ; 429 : 195-207. 

  23. Mosley RL, Benner EJ, Kadiu I, Thomas M, Boska MD, Hasan K, Laurie C, Gendelman HE. Neuroinflammation, oxidative stress and the pathogenesis of Parkinson's Disease. Clinical Neuroscience Research. 2006 ; 6 : 261-81. 

  24. Sayre ML, Perry G, Smith AM. Oxidative stress and neurotoxicity. Chemical Research in Toxicology 2008 ; 21 : 172-88. 

  25. Nathan C. Points of control in inflammation. Nature. 2002 ; 420(6917) : 846-52. 

  26. Vilhardt F. Microglia: phagocyte and glia cell. The International Journal of Biochemistry & Cell Biology. 2005 ; 37 : 17-21. 

  27. Sanchez-Moreno C. Methods used to evaluate the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in foods and biological systems. Food Science and Technology International. 2002 ; 8 : 121-37. 

  28. Arnao MB, Cano A, Acosta M. The hydrophilic and lipophilic contribution to total antioxidant activity. Food Chemistry. 2001 ; 73 : 239-44. 

  29. Cowan KJ, Storey KB. 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s: new signaling pathways functioning in cellular responses to environmental stress. Journal of Experimental Biology. 2003 ; 206 : 1107-15. 

  30. 한방약리학교재편찬위원회. 한방약리학. 신일북스. 2009 ; 107-8. 

  31. Ishibashi Y, Takahashi N, Tokumaru A, Karino K, Sugamori T, Sakane T, kodani N, Kunizawa Y, Yoshitomi H, Sato H, Oyake N, Murakami Y, Shimada T. Activation of inducible NOS in peripheral vessels and outcomes in heart failure patients. Journal of Cardiac Failure. 2008 ; 14(9) : 724-31. 

  32. Ishibashi Y, Shimada T, Murakami Y, Takahashi N, Sakane T, Sugamori T, Ohata S, Hashimoto M. An inhibitor of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decreases forearm blood flow in patients with congestive heart failure. Journal of the American College of Cardiology. 2001 ; 38(5) : 1470-6.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