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산 울금, 강황 및 보라울금의 항균활성과 항산화 효과
Antimicrobial Activity and Antioxidant Effect of Curcuma longa, Curcuma aromatica and Curcuma zedoaria 원문보기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preservation, v.18 no.2, 2011년, pp.219 - 225  

김현진 (순천대학교 식품공학과) ,  이중원 (순천대학교 식품공학과) ,  김용두 (순천대학교 식품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울금의 품종별 생리활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우리나라에서 재배되고 있는 울금, 강황 및 보라울금의 근경을 실험재료로 하여 total polyphenol 함량, 항균활성, 항균물질의 열안정성 및 pH안정성과 항산화활성을 측정하였다. 울금 품종별 total polyphenol 함량은 울금과 강황에서 보라울금에 비하여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울금의 추출 용매에 따른 항균활성은 ethanol 추출물이 15.4~16.3 mm로 가장 강한 항균활성을 나타내었으며 ethylacetate, ether, hexane 순으로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품종별로는 울금 ethanol 추출물의 항균활성이 다른 품종에 비하여 높게 나타났으나 E coli와 젖산균 2종, 효모 2종에서는 항균활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울금 ethanol 추출물은 열 및 pH변화에 안정함을 확인하였다. 추출물별 울금의 전자공여능은 ethanol 추출물에서 74.2%로 높은 항산화성을 보였고 ethyl acetate, ether, water, hexane 추출물 순으로 나타났다. 품종별 울금의 전자공여능을 ethanol 추출물에서 비교했을 때 울금 74.2%, 강황 43.98%, 보라울금 43.05%로 나타나 울금에서 강한 항산화성을 보였다. 대조구로 사용한 vitamin C와 BHA는 각각 95%와 96.1%의 높은 전자공여능을 나타내었다. 울금 품종별 항산화성은 울금이 강황과 보라울금에 비하여 월등히 높음을 확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e investigated the antimicrobial and antioxidant activities. and total polyphenol contents of Curcuma longa. Curcuma aromatica. and Curcuma zedoaria. In antimicrobial activity assays of solvent extracts, ethanol extract showed the highest activity compared with other extracts. The antimicrobial ac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점차적으로 생산량이 증가하고 있는 진도 울금을 활용한 가공식품 및 건강기능성 식품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자 품종별 울금의 항균 활성 및 항산화성 비교에 대하여 탐색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울금의 품종별 생리활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우리나라에서 재배되고 있는 울금, 강황 및 보라울금의근경을 실험 재료로 하여 total polyphenol 함량, 항균활성, 항균물질의 열 안정성 및 pH안정성과 항산화활성을 측정하였다. 울금 품종별 total polyphenol 함량은 울금과 강황에서보라울금에 비하여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KFDA (1998) Korean Herbal Pharmacopoeia. 2ed Korean Medical Index, Seoul, Korea, P 69-70, 468-470 

  2. Ahn DG (2000) Korean herbal flora. Kyohak Publishing Co, Seoul, Korea, p 568-569 

  3. Choi SK (2003) Effect of shade-method on agronomic characteristics of Curcuma aromatica Salisbury in southern island of korea. Korean J Plant Res, 16, 207-211 

  4. Kang WS, Kim SH, Park EJ, Yoon KR (1998) Antioxidative property of turmeric (Curcumae Rhizoma) ethanol extract. Korean J Food Sci Technol, 30, 266-271 

  5. Kim CR (2006) Enhancement of liver function by Curcuma extract on acute hepatotoxicity in rat. Korean J Food Sci Ani Resour, 26, 386-393 

  6. Chi HJ, Kim HS (1983) Curcumin content of cultivated tumeric in Korea. Kor J Pharmacogn, 14, 67-69 

  7. Jeong SH, Jang GS, Kim YJ (2004) Optimization of curcumin extraction from turmeric(Curcuma longa L.) using supercritical fluid $CO_2$ . Food Eng Prog, 8, 47-52 

  8. Lee KI, Choi CH, Kim SM, Pyo BS (2010) Antibacterial activity and enhancing antibiotic effect of extract and fractions from Curcuma Longa against MRSA strain. Kor J Pharmacogn, 41, 38-42 

  9. Jeong SH, Jang GS, Go GH. (2004) Physiological effects of curcumin extracted by supercritical fluid from turmeric (Curcuma longa L.). Kor J Food Sci Technol, 36, 317-320 

  10. Choi HY (2009) Antimicrobial activity of UIGeum (Curcuma longa L.) extract and its microbiolog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 effects in processed foods. Kor J Food Cookery Sci, 25, 350-356 

  11. Kim KY, Michael DP, Chung H.J (2000) Antimicrobial effectiveness of pine needle extracts on food borne illness bacteria. J Microbial Biotechnol, 10, 227-232. 

  12. Blois MS (1958) Antioxidant determination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26, 1199-1744 

  13. Joslyn MA. (1970) Methods in food analysis. Acad press, New York, USA, p 710-711. 

  14. Lee SH, Kang KM, Park HJ, Baek LM (2009)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of medicinal plant for use functional materials in seasoning sauce for pork meat. Kor J Food Sci Technol, 41, 100-105 

  15. Park YJ, Park YS, Towantakavanit K, Park JO, Kim YM, Jung KJ, Cho JY, Lee KD, Heo BG (2009) Chemical components an biological activity of Stauntonia hexaphylla. Kor J Plant Res, 22, 403-411 

  16. Guo DJ, Cheng HL, Yu PH (2008) Antioxidative activities and total phenolic contents of tonic Chinese medicinal herbs. Inflammopharmacology, 16, 201-207 

  17. Cowan MM (1999) Plant products as antimicrobial agents. Clin. Microbiol Rev, 12, 564-582 

  18. Cichewicz RH, Thorpe PA (1996) The antimicrobial properties of chile peppers(Capsicum species) and their uses in Mayan medicine. J Ethnopharmacol, 52, 61-70. 

  19. Lambert RJW, Skandamis PN, Coote PJ and Nychas GJE (2001) A study of the m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 and mode of action of oregano essential oil, thymol and carvacrol. J Appl Microbiol, 91, 453-562 

  20. Hoult JRS, Paya M (1996) Pharmacological and biochemical actions of simple coumarins; matural products with therapeutic potential. Gen Pharmacol, 27, 713-722 

  21. Mabry TJ, Markham KR, Tomas MB (1970) The systematic identification of flavonoids. J Mole Str, 10, 320 

  22. Yang MS, Ha YL, Nam SH, Choi SU, Jang DS (1995) Screening of domestic plant with antibacterial activity. Agric Chem Biotech, 38, 584-589 

  23. Ahn BY (1992) Antimicrobial activity of the essential oils of Artemisia princeps var. orientalis. Kor J Food Hygiene, 7, 157-160 

  24. Song YE, Ryu JS, Chung JR, Kwak JS, Kim DH, Kim BS, Rim CW (2001) Studies on the biological activity of Artemisia iwayomogi Kitamura. Kor J Med Crop Sci, 9, 116-123 

  25. Lee CK, Seo JJ (2003) Antimicrobial activity of the aerial part of Artemisia capillaris extracts on the food-borne pathogens. J Kor Soc Food Sci Nutr, 32, 1227-1232 

  26. Singh G, Kapoor IPS, Singh P, Heluani CS, Lampasona MP, Catalan CAN (2008) Chemistry, antioxidant and antimicrobial investigations on essential oil and oleoresins of Zinger officinale. Food Chemical Toxicol, 46, 3295-3302 

  27. Seo SK, Huh CK, Kim YD (2008) Changes of biologically active components in Prunus mume fruit Kor J Food Preserv, 15, 269-273 

  28. Lee KH, Choi CH, Kim SM, Pyo BS (2010) Antibacterial activity and enhancing antibiotic effect of extract and fractions from Curcuma longa against MRSA strain. Kor J Pharmacogn, 41, 38-42 

  29. Harman D (1987) The free radical theory of aging. In modern biological theories of aging. Raven Press, NY, p 40-80 

  30. Choi HS (2006) A study on the biological activities of Achyranthis Radix ethanol extract. Chosun Univ, p 22-30, 53-59 

  31. Kang YH, Park YK, Oh SR, Moon KD. (1995) Studies on the physiological functionality of pine meddle and mugwort extracts. Kor J Food Sci Technol, 27, 978-98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