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팔정산(八正散)으로 하부요로증상이 호전된 양성전립선비대증 환자 4례
Report of Four Cases of Paljung-san on Lower Urinary Tract Symptoms in Patients with Benign Prostatic Hyperplasia 원문보기

大韓韓醫學會誌 = Journal of Korean Oriental Medicine, v.31 no.1, 2010년, pp.153 - 161  

송문구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신계내과학교실) ,  박성환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신계내과학교실) ,  강지석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신계내과학교실) ,  안영민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신계내과학교실) ,  안세영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신계내과학교실) ,  김영옥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  이병철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신계내과학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 The primary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 of Paljung-san on lower urinary tract symptoms (LUTS) in patients with benign prostatic hyperplasia (BPH). Methods: We researched four men with BPH and LUTS, who were treated 3 times a day for 10 days with Paljung-san. The In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저자는 뇌경색으로 입원하였으나 전립선비대증이 발견된 환자 중 濕熱로 變證된 4인에 대하여淸熱·通利·去濕·散瘀의 효과가 있는 八正散9)을 투여하여 하부요로증상에 양호한 효과를 보였기에 이를 보고하는 바이다.
  • 하부요로감염, 전립선, 방광, 신장의 악성 종양 또는 PSA검사상 10 ng/㎖이상인자, 육안적 혈뇨, 성병검사상 양성인자.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전립선비대증은 무엇인가? 전립선비대증이란 전립선 말초대에서 시작되는 stromal cell과 epithelial cell의 진행성 과증식에 따라 발생하는 질환으로, 임상적으로는 빈뇨, 요절박, 야간뇨, 잔뇨감, 약뇨, 요주저, 간헐뇨 등의 하부요로증상을 유발한다1). 국내 40세 이상의 남성에서 전립선용적 20cc이상을 기준으로 할 때 27.
전립선비대증의 임상적 증상은 무엇이 있는가? 전립선비대증이란 전립선 말초대에서 시작되는 stromal cell과 epithelial cell의 진행성 과증식에 따라 발생하는 질환으로, 임상적으로는 빈뇨, 요절박, 야간뇨, 잔뇨감, 약뇨, 요주저, 간헐뇨 등의 하부요로증상을 유발한다1). 국내 40세 이상의 남성에서 전립선용적 20cc이상을 기준으로 할 때 27.
전립선비대증 치료법 중 경요도전립선절제술에서 만족스럽지 못한 효과를 보이는 퍼센트는 어느정도인가? 전립선비대증에 대한 서양의학적 치료법으로는 두고보기 (watchful waiting), 내과적인 약물치료, 덜 침습적인 치료, 수술치료 등이 있다1,4). 그러나 가장 효과적인 치료법으로 알려진 경요도전립선절제술을 시행하였을 때도 24~26%에서 만족스럽지 못한 효과를 보이며5,6), 수술 후 33%정도에서 지속적인 하부요로증상을 호소한다7). 이러한 결과는 환자에게 전립선비대증에 대한 교육을 실시하면 수술이 가장 효과적이라 하더라도 수술을 거부하는 경우가 교육 전에 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AUA Practice Guidelines Committee. AUA guideline on management of benign prostatic hyperplasia (2003). chapter 1: Diagnosis and treatment recommendations. J Urol. 2003;170: 530-47. 

  2. Lee HL, Seo JW, Kim WJ. The prevalence of benign prostatic hyperplasia: Community-based study in chungbuk province. Korean J Urol. 1999;40:1500-5. 

  3. Wiygul J, Babayan RK. Watchful waiting in benign prostatic hyperplasia. Curr Opin Urol. 2009;19:3-6. 

  4. Kang JY, Kim SI, Lee HW, Seong DH, Cho JS. Change in Patients' Perspectives after Education on the Management of Benign Prostatic Hyperplasia. Korean J Urol. 2009;50(04): 340-8. 

  5. Mebust WK, Holtgrewe HL, Cockett AT, Peters PC. Transurethral prostatectomy: Immediate and postoperative complications. a cooperative study of 13 participating institutions evaluating 3,885 patients. 1989. J Urol. 2002;167:999-1003; discussion 1004. 

  6. Doll HA, Black NA, McPherson K, Flood AB, Williams GB, Smith JC. Mortality, morbidity and complications following transurethral resection of the prostate for benign prostatic hypertrophy. J Urol. 1992;147:1566-73. 

  7. Andersson KE. Storage and voiding symptoms: Pathophysiologic aspects. Urology. 2003;62:3-10. 

  8. Ahn YM, Ahn SY, Cho DH, Doo HK. The study of oriental and accidental benign prostste hypertrophy. J. of Oriental. Chr. Dis. 1995;1:85- 112. 

  9. Kim SM, Yoo DY. A Case Report of the Effects of paljeongsan on the Female Urethral Syndrome. Journal of Oriental Obsterics & Gynecology. 2007;20:225-33. 

  10. Lee MS, Lee SH, Song MD. Two cases of Cystitis Patients Trated with Paljung-san. J. of Oriental. Chr. Dis. 2000;6(1):102-5 

  11. You SH, Jeong HJ. The Clinical Effects of Amitriptyline on the Nocturia of Patients with Benign Prostatic Hyperplasia. Korean J Urol. 2008;049(04): 343-9. 

  12. Choi HR, Chung WS, Shim BS, Kwon SW, Honh SJ, Chung BH. Translation validity and reliability of I-PSS korean version. Korean J Urol.1996;37:659-65. 

  13. Cho HJ, Kang JY, Yoo TK. The international prostate symptom score: Discrepancies between self-administration and physician-administration. Korean J Urol. 2007;48:500-4. 

  14. Simpson RJ, Fisher W, Lee AJ, Russell EB, Garraway M. Benign prostatic hyperplasia in an unselected community-based population: A survey of urinary symptoms, bothersomeness and prostatic enlargement. Br J Urol. 1996;77:186-91. 

  15. Chung BH, Medical Management for Benign Prostatic Hyperplasia. Korean J Urol 2007;48 (03): 233-43. 

  16. Seong KW, Ahn YM, Ahn SY, Doo HK. Effect of Yungmijihwang-tang and Bojungikki-tang on the Population Doublings and the Population Doubling Time in Rat Fibroblast, Heart-Endothelial Cells, Mesangial Cells. Korean J. Orint. Int. Med. 2003;24:551-60. 

  17. Eum HS, Kim SA, Jung WS, Shin GC, Kang YH. Clinical Report on a Patient with Benign Prostatic Hyperplasia diagnosed as the Deficiency of Yang of the Kidney.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Oriental Medical Informatics 2004; 10:8-16. 

  18. Kim JK, Song BK, Lee EJ, Kim HK Study on the Treatment of Benign Prostatic Hyperplasia (BPH) in Oriental Medicine. J Korean Oriental Med. 1998;19(2):211-27 

  19. 彭懷仁. 中醫方劑大辭典精選本. 北京: 人民衛生 出版社; 1999: 52-3. 

  20. Kaplan SA, Wein AJ, Staskin DR, Roehrborn CG, Steers WD. Urinary retention and post-void residual urine in men: Separating truth from tradition. J Urol. 2008;180(1):47-54.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