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저염 굴비 제조 시 열풍건조 온도에 따른 화학적 특성 변화
Chemical Changes of Low Salt Gulbi (salted and dried yellow corvenia) during Hot-air Drying with Different Temperatures 원문보기

한국식품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v.42 no.2 = no.210, 2010년, pp.147 - 154  

곽현정 (전남대학교 식품공학과.농업과학기술연구소) ,  은종방 (전남대학교 식품공학과.농업과학기술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열풍건조 온도를 달리한 생조기와 냉동조기의 내장의 유무에 따른 각각의 처리구별로 건조 온도를 달리하여(30, 35, $40^{\circ}C$) 건조기간 동안 화학적 품질 특성에 대해 알아보았다. 산도, pH, 염농도, 휘발성 염기질소, TBARS를 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일반적인 전통굴비의 염도는 22-23%정도를 나타내는데 본 연구에서 30, $35^{\circ}C$에서 건조하여 제조한 굴비의 염도는 17-20% 정도로 염도가 더 낮아 저염 굴비의 제조 가능성을 보였다. 또한 $35^{\circ}C$ 건조 처리구의 염도가 $40^{\circ}C$ 건조 처리구에 비해 2-4% 이상 낮은 염도를 나타내어 저염 굴비를 제조하는데 적합한 온도로 결정 할 수 있었다. VBN 함량에서는 30, 35, $40^{\circ}C$ 건조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으나 건조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VBN의 수치가 점차 증가하는 것을 볼 수 있었으며, 이는 굴비의 건조중 변패가 많이 일어난 것으로 여겨진다. 그 외 TBARS 함량 역시 건조기간이 경과할수록 점차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제품의 내장 유무에 대한 산패도 측정결과에서는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결론적으로, 전통적인 굴비 제조 방법에 비해 $35^{\circ}C$에서 15일 동안 건조 하는 것이 품질이 우수한 저염굴비를 빠르게 제조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며 물리적 특성 및 관능적 특성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Gulbi, made of fresh yellow corvenia (Psendosciaena manchurica) that has been salted and dried, is one of the most popular traditional marine foods in Korea.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method to safely manufacture Gulbi with low levels of oxidation and contamination, by a hot air 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VBN 함량은 어류의 저장성과 관련되어 산패정도를 측정하기 위한 일반적인 방법으로 어육의 신선도 및 발효정도를 판단하는데 사용되며 VBN의 함량이 높을수록 산패가 많이 진행되었다고 여겨진다(4). 따라서 본 실험에서는 VBN 함량을 통해 굴비 건조 기간동안 산패가 어느 정도 진행되는지 확인해 볼 수 있었다. Lee 등(11)은 VBN은 어획 직후의 어육 중에는 극히 적게 측정되지만 선도의 저하와 동시에 증가하기 때문에 어육의 신선도 및 젓갈의 발효정도를 판단하는데 사용한다고 보고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개발하고자 하는 저염 굴비는 전통적인 방법으로 제조된 굴비에 비해 상온에서의 저장이 용이하고 저염인 굴비를 제조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굴비의 한계점은? 굴비는 참조기를 염장, 건조하여 만든 염건품으로 풍미가 독특하고 조직감이 우수하여 예부터 즐겨 먹던 전통 수산가공품이나 아직까지 가내공업의 범주를 벗어나지 못한 실정으로 제조 방법이 표준화되어 있지 않고 위생적이지 못한 편이다(1). 기존의 생산업체의 경우, 적은 인력으로 많은 양의 염건품을 가공하기 때문에 원료의 위생적 처리문제, 생산 과정중 건조 방법, 최적 염장 농도의 설정이 잘 되어있지 못하다(2).
굴비란? 굴비는 참조기를 염장, 건조하여 만든 염건품으로 풍미가 독특하고 조직감이 우수하여 예부터 즐겨 먹던 전통 수산가공품이나 아직까지 가내공업의 범주를 벗어나지 못한 실정으로 제조 방법이 표준화되어 있지 않고 위생적이지 못한 편이다(1). 기존의 생산업체의 경우, 적은 인력으로 많은 양의 염건품을 가공하기 때문에 원료의 위생적 처리문제, 생산 과정중 건조 방법, 최적 염장 농도의 설정이 잘 되어있지 못하다(2).
자연 건조 굴비의 오염이 예상되는 이유는? 기존의 생산업체의 경우, 적은 인력으로 많은 양의 염건품을 가공하기 때문에 원료의 위생적 처리문제, 생산 과정중 건조 방법, 최적 염장 농도의 설정이 잘 되어있지 못하다(2). 최근 봄철 황사발생 횟수가 점차 증가하고 또한, 황사 밀도가 점점 높아지는 추세로 자연건조 굴비 제품의 오염이 예상되므로 위생적이며 안전한 가공 기술이 필요하다. 자연 건조 굴비의 경우 비싼 가격으로 인해 그 소비층이 한계가 있으나 저염 굴비를 개발하여 자연건조에 비해 건조 시간이나 소금의 사용량이 등이 줄어들어 원가가 낮아져 현재 가격보다 저렴하게 공급될 수 있어 다양한 계층의 소비가 높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Ro RH. Changes in lipid components of salted-dried Yellow corvenia during processing and storage. J. Korean Fish Soc. 21: 217-224 (1988) 

  2. Hong YH. Studies on improving gulbi processing technology and changes in flavor and nutrients of Pseudosciaena manchurica (yellow corvenia). Chonnam National University, Gwangju, Korea. pp. 1-53 (1987) 

  3. Shin JH, Kwon OC, Kang MJ, Choi SY, Lee SJ. The changes of malonaldehyde and fatty acids composition of yellow corvenia during gulbi processing and storage. Korean J. Food Sci. Technol. 19: 374-380 (2006) 

  4. Eun JB, Lee JC, Chung DO. Chemical changes of low salt-dried yellow corvenia muscle during frozen storage. J. Korean Fish Soc. 30: 660-666 (1997) 

  5. Shin MJ, Kim JM. Effect of garlic and onion juice on fatty acid compositions and lipid oxidation in gulbi (salted and semi-dried yellow croaker). J. Korean Soc. Food Sci. Nutr. 33: 1337-1342 (2004) 

  6. Yang HC, Chung HJ. Changes of microbial and chemical components in salt-fermented youbsak during the fermenta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21: 838-844 (1995) 

  7. Shin DH, Kim DH, Choi U, Lim DK, Lim MS. Studies on the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 of traditional kochujang. Korean J. Food Sci. Technol. 28: 157-161 (1996) 

  8. Lee KD, Choi CR, Cho JY, Kim HL, Ham KS. Physicochemical and sensory properties of salt-fermented shrimp prepared with various sal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 53-59 (2008) 

  9. Shon J, Haque ZU. Antioxidative ability of native and thermized sour whey in oxidation-catalysed model systems. Int. J. Dairy Technol. 60: 143-148 (2007) 

  10. Kim MH, Kim MK, Yu MS, Song YB, Seo WJ, Song KB. Dehydration of sliced ginger using maltodextrin and comparison with hot-air dried and freeze-dried ginger. Korean J. Food Sci. Technol. 41: 146-150 (2009) 

  11. Cho HS, Park BH. Effect of onion and garlic juice on the lipid oxidation and quality characteristics during the storage of congereel (Astroconger myriaster). Korean J. Food Sci. Technol. 16: 135-142 (2000) 

  12. Lee EH, Oh KS, Ahn CB, Lee TH, Chung YH. Processing conditions and quality stability of seasoned sardine chopped-meat during frozen storage. J Korean Fish Soc. 20: 191-201 (1987) 

  13. Ha JO, Park KY. Comparison of antioxidation rate and comutagenic effect of different kinds of salt. J. Korean Assoc. Cancer Preven. 4: 44-51 (1999) 

  14. Ha JH, Song DJ, Kim PH, Heu MS, Cho ML, Sim HD, Kim HS Kim JS. Changes in food components of top shell, Omphalius pfeifferi capenteri by thermal processing at high temperature. J Korean Fish Soc. 35: 166-172 (2002) 

  15. Cha WS, Kim CK, Kim YS. On the chemical analysis of amino acid of yellow corvenia. J. Korean Biotechnol. Bioeng. 4: 157-161 (1989) 

  16. Kim HJ. Shelf-life extension of Korean native beef using ultraviolet irradiation. MS thesis, Chonnam National University, Gwangju, Korea (2006) 

  17. Demeyer D, Hoozaee J, Meadom H. Specificity of lipolysis during dry sausage ripening. J. Food Sci. 39: 293-296 (1974) 

  18. Park YH, Song E, Shin MS, Jhon DY, Hong YH. Studies on the changes of lipid constituents during gulbi processing. Korean J. Food Sci. Technol. 18: 485-491 (1986)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