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천연소취식물인 감잎, 솔잎, 회향을 세절 및 추출하여 김치에 첨가하여 냄새를 masking하는 농도의 조건을 설정하고, 천연물 첨가에 따라 김치의 숙성에 미치는 연향과 휘발성 향기 성분을 분석하였다. 감잎, 솔잎, 회향을 세절물과 추출물로 김치에 첨가하여 숙성 후 신내와 군덕내에 대해 관능평가한 결과, 김치에 천연소취식물을 첨가할 때 세절물보다 추출물을 첨가했을 경우에 김치냄새의 masking 효과가 높았으며, 솔잎추출물 0.3-0.6%를 첨가한 김치와 회향추출물 0.05-0.1%를 첨가한 김치가 관능적으로 효과가 높았다. 또한 솔잎추출물 및 회향추출물을 첨가한 김치는 일반김치와 비교했을 때 pH, 총산도 및 유산균수 등의 발효특성인자들에 유의적으로 영향을 미쳤다. 또한 GC/MS로 김치 및 소취식물 추출물의 향기 성분을 분석하여, 천연소취 식물을 첨가한 김치와 솔잎 및 회향추출물의 향기 성분과의 연관성을 검토하였다. 결과적으로 솔잎 및 회향추출물은 김치의 발효특성에 영향을 주어 김치 특유의 냄새를 저감시킬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use of deodorizing plant products such as persimmon leaves, pine needles and fennel seeds to mask the characteristic odor of kimchi has been proposed. Therefore, in this study, the effect of deodorizing plants on kimchi fermentation and the profile of volatile flavor compounds was investigated.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평가항목으로는 유산균 생성으로 발생한 유기산의 시큼한 냄새인 신내(sour odor)와 발효 중에 생성된 다양한 미생물에 의해 발생한 군덕내(fermentation odor or moldy odor)를 평가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김치 특유의 신내나 군덕내에 익숙하지 않은 어린이나 외국인을 위한 냄새저감 김치를 제조하는 것이 목적이므로 이 두 가지 평가항목에 대하여 평가점수가 낮을수록 소비자들의 선호도가 높음을 의미한다. 통계처리는 SPSS 12.
  • 솔잎과 회향추출물이 김치의 발효특성에 영향을 미치는 동시에 신내와 군덕내 등 김치 특유의 냄새를 상쇄시켜, 정유추출물의 향기 기호도가 높은 냄새저감김치의 개발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김치의 부재료의 각종 성분으로부터 유래하거나 발효 과정 중 미생물의 작용에 의해서 생성되는 향기 성분들은 무엇인가? 김치의 발효 중 채소류의 세포 내에 조미액이 침투하고, 자생하는 젖산 미생물에 의해 유기산과 여러 가지 영양성분이 생성되어 김치에 함유된다(1-3). 김치의 부재료의 각종 성분으로부터 유래하거나 발효 과정 중 미생물의 작용에 의해 dimethyl disulfide, diallyl disulfide, methyl allyl trisulfide 등의 향기 성분들이 생성되어 특유의 냄새를 발생시키게 된다(4,5).
천연소취물질에는 무엇이 있는가? 최근에 식품의 불쾌한 냄새를 없애거나 상쇄(masking)하여 품질의 가치를 높이는 연구가 늘어남에 따라 녹차, 치자, 솔잎, 회향, 다시마, 김, 미역, 감잎 등의 천연소취물질들에 대한 연구가 증가하고 있다(8,9). 먼저, 소취물질 중에 감잎은 감나무의 잎으로 우리나라 어느 곳에서나 흔히 볼 수 있는 식물로 생리활성 성분인 catechin, amino acid, gallic acid, caffeine 등을 함유하여 항 산화, 효소 활성, 박테리아 독소의 해독 등의 효과를 갖고 있다 (10,11).
천연 항산화 성분인 피크놀제롤을 포함하여 민간요법에서 천연약재로 사용되는 천연소취물질은 무엇인가? 특히 alcohol, aldehyde, ester, terpene, phenol 및 유기산 등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정유 성분은 항미생물 활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된 바 있다(12,13). 또한, 솔잎의 테르펜(terpene) 에는 천연 항산화 성분인 피크놀제롤(pycnogenol)이 들어 있어 산화를 억제하며, 신진대사 촉진, 독성물질 및 노폐물 배출과 강장 작용이 있어 민간요법에서 천연약재로 사용되고 있다(14). 또한 항균 효과가 있는 피톤치드는 Listeria, Staphylococcus, Candida, Legionellar 등의 미생물에 대한 생육 억제능력을 갖고 있어서 매우 강력한 항균제로 주목 받고 있다(1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8)

  1. Cho JS, Park KY. Standardization of kimchi and related products (2). Korean J. Diet. Culture 3: 301-307 (1988) 

  2. Park KY. The nutritional evaluation, and antimutagenic and anticancer effects of kimchi. Korean J. Food Nutr. 24: 169-182 (1995) 

  3. Lee SH, Choi WJ. Effects of medicinal herbs' extracts on the growth of lactic acid bacteria isolated from kimchi and fermentation of kimchi. Korean J. Food Sci. Technol. 30: 624-629 (1998) 

  4. Hawer WD, Ha JH, Seog HM, Nam YJ, Shin DW. Changes in the taste and flavor compounds of kimchi during fermenta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20: 511-517 (1988) 

  5. Saleem AM, Al-Delaimy KS. Inhibition of Bacillus cereus by garlic extracts. J. Food Protect. 45: 1007-1011 (1982) 

  6. Key SH, Yoon SI. Food preferences of foreign athletes in Korean traditional foods. Korean J. Diet. Culture 3: 78-87 (1998) 

  7. Kim DM, Lee JH. Current status of Korean kimchi industry and research and development trends. Food Ind. Nutr. 6: 52-59 (2001) 

  8. An BJ, Lee MJ. An application and development of deodorant in the food industry. Korean J. Food Nutr. 6: 60-66 (2001) 

  9. Kee HJ, Park YK. Effect of seaweeds and adsorbents on volatile flavor components of onion juice. Korean J. Food Sci. Technol. 31: 1477-1483 (1999) 

  10. Moon SH, Park KY. Antioxidative effect of persimmon leaves. Korean J. Food Nutr. 13: 53-58 (2000) 

  11. Bae DK, Choi HJ, Son JH, Pack MH, Bae JH. The study of developing and stability of functional beverage from Korean persimmon (Diospyros kaki folium) leaf. Korean J. Food Sci. Technol. 32: 860-866 (2000) 

  12. Farag RS. Daw ZY, Hewedi, El-Baroty GSA. Anti-microbial activity of some Egyptian spice essential oils. J. Food Protect. 52: 665-670 (1989) 

  13. Barnen AL, Davidson PM, Katz B. Antimicrobial properties of phenolic antioxidacts and lipids. Korean J. Food Sci. Technol. 34: 42-47 (1980) 

  14. Korean Study Group for Adult Disease. Encycodedia for Prescription of Oriental Medicinal Plants. Item Books Press, Seoul, Korea. pp. 351-352 (2007) 

  15. Kim WT, Kang DH. Method for manufacturing kimchi by using leave of the pine. Korea patent 31879 (2002) 

  16. Park JS, Back HH, Bai DH, Oh TK, Lee CH. Antibacterial activity of fennel (Foeniculum vulgare Mill) seed essential oil against the growth of Streptococcus mutans. Food Sci. Biotechnol. 13: 581-585 (2004) 

  17. Gurdip S, Sumitra M, Delampasona MP, Catalan C. Chemical constituents and antioxidative potential of Foeniculm vulgare volatile oil and its acetone extract. Food Control 17: 745-752 (2006) 

  18. Sung YG. Manufacturing method of kimchi spicery which control a sour taste. Korea patent 848180 (2008) 

  19. Kim GS. Deodorizing of fennel extract. Korea patent 8151 (1997) 

  20. Lee SH, Cho OK. The mixed effect of Lithospermum erythrorhizin, Glycyrrhiza uralensis extracts and chitosan on shelf-life of kimchi. Korean J. Food Nutr. 27: 864-868 (1998) 

  21. Park YJ, Kang MH, Kim JI, Pack OJ, Lee MS, Jang HD. Changes of vitamin C and superoxide dismutase(SOD)-like activity of persimmon leaf tea by processing method and extraction condi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27: 281-285 (1995) 

  22. Shin DH. Separation of antioxidant compounds from persimmon leaves. J. Korea Oil Chem. Soc. 14: 103-107 (1997) 

  23. Lee SH, Cho OK. The mixed effect of Lithospermum erythrorhizon, Glycyrrhiza uralensis extracts and chitosan on shelf-life of kimchi. Korean J. Food Nutr. 27: 864-868 (1998) 

  24. Oh YA, Kim SD, Kim KH. Effect of addition of water extract of pine needle on tissue of kimchi. Korean J. Food Nutr. 27: 461-470 (1998) 

  25. Chun MS, Lee TS, Noh BS. The changes in organic acid and fatty acids in kochujang propared with different mashing methods. Korean J. Food Sci. Technol. 27: 25-29 (1995) 

  26. Kim JS, Koh MS, Kim YH, Kim MK, Hong JS. Volatile flavor components of Korean ginger (Zingiber officinale Roscoe). Korean J. Food Sci. Technol. 23: 141-149 (1991) 

  27. Lee BY. Application of electronic nose for aroma analysis of persimmon vinegar concentrates. Korean J. Food Sci. Technol. 31: 314-321 (1999) 

  28. Lee JW, Lee JG, Do GH, Sung HS. Volatile flavor components of fresh garlic and low odor garlic. Agric. Chem. Biotechnol. 40: 451-454 (1997) 

  29. Jang HW, Lee HJ, Lee KG. Analysi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volatile extracts from plants commonly used in Korean foods. Korean J. Food Sci. Technol. 37: 723-729 (2005) 

  30. Park SK, Kang SG, Chung HJ. Effects of essential oil in astringent persimmon leaves on kimchi fermentation. Korean J. Appl. Microbiol. Biotechnol. 22: 217-221 (1994) 

  31. Huh SH, Kim GS. The oral cavity composition. Korea patent 8153 (1997) 

  32. Ku KH, Kim YJ, Koo YJ, Choi IU. Effects of pretreated subingredients and deodorization materials on the kimchi smell during fermenta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31: 1549-1556 (1999) 

  33. Choi CN, Hong SH. The function of deodorant and applied a fibrous material. Korean J. Fiber Soc. 33: 1164-1171 (1996) 

  34. Lim JA, Ma YS, Baek SH. Antioxidative activity and nitrite scavenging ability of ethanol extract from phyllostachys banbusoides. Korean J. Food Sci. Technol. 36: 306-310 (2004) 

  35. Faran RS. Daw ZY, Abo-Raya SH. Influence of some essential oils on Aspergillus parasiticus growth and production of aflatoxins in synthetic medium. J. Food. Sci. 54: 74-78 (1989) 

  36. Woo JY, Paek NS, Kim YM. Studies on antioxidative effect and lactic acid bacteria growth of persimmon leaf extracts. Korean J. Food Nutr. 18: 28-38 (2005) 

  37. Ko YT, Lee JY. Quality characteristics of kimchi prepared with Chinese radish and its quality change by freeze-drying. Korean J. Food Sci. Technol. 35: 937-942 (2003) 

  38. Lee JG, Jang HJ, Kwag JJ, Lee DW. Comparison of the volatile components of Korean ginger (Zingiber officinale Roscoe) by different extraction methods. Korean J. Food Nutr. 13: 66-70 (200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