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항암화학요법을 받고 있는 혈액암 환자의 퇴원시 영양 상태와 관련한 요인 분석
Analysis of the Factors Relating Nutritional Status in Discharging of Leukemia Patients Receiving Chemotherapy 원문보기

韓國營養學會誌 = The Korean journal of nutrition., v.43 no.1, 2010년, pp.26 - 33  

소은진 (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 ,  김지연 (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 ,  정수진 (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 ,  박숙 (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2009년 7월 6일부터 9월 20일까지 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 혈액암 병동에 재원 했었던 혈액암 환자 46명을 대상으로 시행하였으며 재원기간 동안의 식사섭취량 변화를 중심으로 영양 상태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요인을 분석함으로써 영양관리지침을 세우는데 근거를 마련하고자 시작하였다. 이에 본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연구 대상자의 성별 구성비는 동일하며 평균 연령은 42.8세이다. 평균 재원기간은 30.4일이며 항암화학요법 후 평균 21일 만에 퇴원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재원기간 동안 평균 4.1%로 체중이 감소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급성골수성백혈병 환자의 비율이 82.6%로 대부분을 차지하였고 항암화학요법의 종류로는 관해요법 39.1%, 공고요법 43.5%, 재관해요법 17.4%로 조사되었다. 2) 비교군 별 비교에 있어서는 영양 상태가 불량한 군에서 항암화학요법 기간이 긴 것으로 분석되었고 관해요법을 받는 환자가 유의적으로 많았다. 3) 비교군 별 경구섭취상태를 조사한 결과 영양권장량에는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경구식사섭취열량이 영양 상태가 양호한 군은 1,525.9 kcal, 불량한 군은 1,143.1 kcal로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고, 이 외에도 경구식사섭취단백질량, 경구간식섭취단백질량, 권장량 대비 총 경구섭취열량비율과 단백질섭취비율에 있어서 영양 상태가 양호한 군이 유의적으로 많이 섭취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4) 항암화학요법 기간 동안의 경구섭취량 변화를 비교한 결과 비교군간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을 뿐 아니라 기간별 식사섭취량이 유의적으로 변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두 군 모두 항암화학요법 후 2주일째 식사섭취량이 급격히 감소되는 경향을 보였다. 기간별 간식섭취량에 있어서는 경구간식섭취단백질량이 항암화학요법 후 2주일째에 비교군간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으나 기간별 변화는 유의적이지 않았다. 5) 퇴원 시 영양 상태에 대한 설명력 있는 변수를 로지스틱회귀분석을 통해 분석한 결과, 식사섭취열량과 관련한 대표변수인 권장량 대비 경구섭취열량과 항암화학치료와 관련한 대표변수인 항암화학요법 종류 모두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 항암치료를 받고 있는 혈액암 환자의 퇴원시 영양 상태와 관련한 요인은 권장량 대비 경구섭취열량과 항암화학요법 종류로 분석되었으며 항암화학요법 후 2주째 식사섭취량이 급격히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항암화학요법 기간 동안의 영양 상태 저하를 예방하기 위해 항암화학요법 종류와 경구섭취량의 변화 기간을 고려한 영양관리 접근이 효율적일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한편 본 연구는 혈액암 병동에 재원 했었던 백혈병 환자를 대상으로 입원부터 퇴원까지 전 기간 동안의 경구 섭취량을 분석한 최초의 연구라는 점에 의의를 둘 수 있지만 정맥영양공급량을 고려하지 못한 것과 경구 섭취량을 감소시키는 주요인을 함께 분석하지 못했다는 것에 제한점이 있다. 이에 향후 본 연구를 기초로 제한점을 보완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changes of oral diet intake during the admission period and identify the factors related with nutritional status in discharging of leukemia patients. This is a retrospective cross sectional study on 46 leukemia patients receiving chemotherapy at the Catho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2009년 7월 6일부터 9월 20일까지 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 혈액암 병동에 재원 했었던 혈액암 환자 46명을 대상으로 시행하였으며 재원기간 동안의 식사섭취량 변화를 중심으로 영양 상태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요인을 분석함으로써 영양관리지침을 세우는데 근거를 마련하고자 시작하였다. 이에 본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퇴원시의 영양 상태를 기준으로 양호한 군과 불량한 군으로 나누어 영양 상태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식사섭취량을 중심으로 분석한 단면연구 (cross-sectional study)이다. 의무기록을 통해 환자의 성별, 연령, 재원기간, 진단명 등을 포함한 일반적 특성을 수집하고 투약일, 투약내역 등을 포함한 항암화학요법과 관련한 변수를 조사하였으며 재원기간 동안 분석한 식사섭취량, 간식섭취량 평가 자료를 반영하였다.
  • 본 연구는 항암화학요법을 받고 있는 백혈병 환자들을 대상으로 영양 상태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요인을 분석하고자 시행하였다. 다양한 혈액질환에서 완치를 위한 치료방법으로 조혈모세포 이식을 권장하는 만큼,2,3) 이식 전 항암화학요법 기간 동안의 적절한 영양관리는 항암화학요법을 통한 치료효과를 높이고 조혈모세포 이식의 성공률을 높이는 데에도 영향을 줄 수 있을 것이라는 가설에서 시작된 연구이다.
  • 하지만 백혈병 환자의 항암화학요법 동안의 영양관리에 대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은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백혈병 환자의 항암화학요법 기간 동안의 영양섭취량을 조사하고 항암화학요법 치료 후 퇴원 시의 영양 상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찾고자 한다.
  • 35명의 만성골수성백혈병 (Chronic myeloid leukemia)환자를 대상으로 항암치료 기간 동안의 영양상태변화를 추적 연구한 결과에서도 영양 상태를 나타내는 여러 화학지표는 유의적으로 감소되었음을 보여주고 있지만24) 영양 상태를 저하시키는 요인과 관련한 분석은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재원기간 동안의 식사섭취량 변화를 중심으로 영양 상태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요인을 분석함으로써 항암화학요법을 받고 있는 백혈병 환자의 영양 관리 지침을 세우는데 근거를 마련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백혈병의 치료방법으로 권장되는 방법은 무엇인가? 7명)으로, 림프종, 골수종 등의 혈액암 발생건수를 포함한다면 6,152명으로 유방암 다음으로 높은 발생건수를 보이고 있다. 백혈병의 경우 진단명에 따라서 치료방법은 달라질 수 있겠지만 현재까지는 다양한 혈액질환에서 완치를 위한 치료방법으로 조혈모세포 이식을 권장하고 있다.2,3) 조혈모세포 이식 전에는 관해요법 (Induction Therapy)과 공고요법 (Consolidation Therapy)이라는 항암화학요법을 통해 백혈병 세포를 퇴치하는 치료를 받게 된다.
조혈모세포 이식 전에 시행되는 화학요법은 무엇인가? 백혈병의 경우 진단명에 따라서 치료방법은 달라질 수 있겠지만 현재까지는 다양한 혈액질환에서 완치를 위한 치료방법으로 조혈모세포 이식을 권장하고 있다.2,3) 조혈모세포 이식 전에는 관해요법 (Induction Therapy)과 공고요법 (Consolidation Therapy)이라는 항암화학요법을 통해 백혈병 세포를 퇴치하는 치료를 받게 된다. 혈액암의 종류에 따라 혹은 예후를 분류하는 기준에 따라 항암화학요법을 통한 완치율은 10~90%로 다양하다.
조혈모세포 이식 전에 받게되는 관해요법, 공고요법과 같은 항암화학요법의 위험성을 줄이기 위한 방법은 무엇인가? 또한 조혈모세포 이식 전 받게 되는 관해요법, 공고요법 기간 동안 완전관해에 도달하지 못하거나 항암제 투여에 따른 합병증 (감염, 출혈 등)으로 사망할 위험도 있다.4,5) 따라서 장기간의 항암화학요법을 받는 시기 동안 적절한 영양 상태를 유지하는 것은 항암화학요법을 통한 완치율을 높이고 조혈모세포 이식의 성공률을 높이는 데에도 중요한 요인으로 판단된다. 하지만 백혈병 환자의 항암화학요법 동안의 영양관리에 대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은 실정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7)

  1. http://kosis.kr/domestic/theme/do01_index.jsp?listidD&listnm보건.사회.복지 

  2. Ahn MJ. Stem cell transplantation in treatment of multiple myeloma. Korean J Med 2003; 65(2): S539-545 

  3. Min WS. Bone marrow transplantation. Korean Soc Critical Care Med 2001; 16(1): 17-22 

  4. Seong JM. Dr.Seong's leukemia clinic. Koonja Publishing Inc.; 2005 

  5. Hoffbrand AV, Pettit JE, Moss PAH. Essential hematology; 4th edition. Panmun Books Co.; 2005 

  6. Kim HM. Management of chemotherapy-related toxicity: Natrition support during chemotherapy . Korean Soc Clin Oncol 2005; 4: 23-33 

  7. Chung HM, Lyckholm LJ, Smith TJ. Palliative care in BMT. Bone Marrow Transplant 2009; 43: 265-273 

  8. Kim WG, Park MS, Lee YH, Heo DS. Nutritional risk in oncology outpatients receiving chemotherapy. Korean J Community Nutr 2008; 13(4): 573-581 

  9. Yang YH, Lee DS. The relationship of anorexia, nausea, vomiting, oral intake and nutritional status in patients receiving chemotherapy. J Korean Acad Nurs 2000; 30(3): 720-730 

  10. Yang YH, Kwon SJ, Kim CI. The nutritional status of the patients with cancer during the chemotherapies. J Korean Acad Nurs 2001; 31(6): 978-987 

  11. Kim NC, Kim HS, Choi SE, Park HJ. Nutritional status of recipients of allogeneic hematopoietic stem cell transplantation by types of conditioning regimen. J Korea Community Health Nursing Academic Society 2000; 14(2): 191-202 

  12. Kim HJ, Noh MY, Jung NJ, Hong JI, Jung YS. A study of the factors affecting the term of engraftment during hematopoietic stem cell transplantation with a focus on the inhibitors of oral intake and the period of nutritional support. J Korean Dietetic Assoc 2009; 15(2): 168-178 

  13. Penalva A, San Martin A, Rossello J, Perez-Portabella C, Palacios A, Julia A, Planas M. Oral nutritional supplementation in hematologic patients. Nutr Hosp 2009; 24(1): 10-16 

  14. Schneider SM, Veyres P, Pivot X, Soummer AM, Jambou P, Filippi J, van Obberghen E, Hebuterne X. Malnutrition is an independent factor associated with nosocomial infection. Br J Nutr 2004; 92: 105-111 

  15. Teresa F. Amaral, Luis C. Matos, Maria M. Tavares, Ana Subtil, Rosario Martins, Margarida Nazare, Nuno sousa Pereira. The economic impact of disease-related malnutrition at hospital admission. Clin Nutr 2007; 26: 778-784 

  16. Correia MI, Waitzberg DL. The impact of malnutrition on morbidity, mortality, length of stay and costs evaluated through a multivariate model analysis. Clin Nutr 2003; 22(3): 235-239 

  17. Choi K, Kim HJ, Cho HJ, Choe YG, Lee DY, Park SK, Koh YL, Oh SJ, Lee SS. Assessment of nutritional status and prognosis in advanced metastatic cancer. Korean J Med 2006; 71(2): 132-140 

  18. Horsley P, J Bauer B, Gallagher. Poor nutrition status prior to peripheral blood stem cell transplantation is associated with increased length of hospital stay. Bone Marrow Transplant 2005(35): 1113-1116 

  19. Deeg HJ, Seidel K, Bruemmer B, Pepe MS, Appelbaum FR. Impact of patient weight on non-relapse mortality after marrow transplantation Bone Marrow Transplant 1995; 15(3): 461-468 

  20. Le Blanc K, Ringden O, Remberger M.. A low body mass index is correlated with poor survival after allogeneic stem cell transplantation. Haematologica 2003; 88: 1044-1052 

  21. Mattsson J, Westin S, Edlund S, Remberger M. Poor oral nutrition after allogeneic stem cell transplantation correlates significantly with severe graft-versus-host disease. Bone Marrow Transplant 2006; 38(9): 629-633 

  22. Norman K, Pichard C, Lochs H, Pirlich M. Prognostic impact of disease-related malnutrition. Clin Nutr 2008; 27: 5-15 

  23. Hong JI, Chang UJ.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eriod of engraftment and the nutritional status in patients undergoing allogenic bone marrow transplantation for acute myelogenous leukemia. Korean J Community Nutr 2002; 7(4): 578-584 

  24. Iversen PO, Ukrainchenko E, Afanasyev B, Hulbekkmo K, Choukah A, Gulbrandsen N, Wisloff F, Tangen JM. Impaired nutritional status during intensive chemotherapy in Russian and Norwegian cohort with acute myeloid leukemia. Leuk Lymphoma 2008; 49(10): 1916-1924 

  25. Manual of medical nutrition therapy, the 3rd ed, The Korean Dietetic Association; 2008 

  26. Bauer J, Capra S, Ferguson M. Use of the scored patient-generated subjective global assessment as a nutrition assessment tool in patients with cancer. Eur J Clin Nutr 2002; 56: 779-785 

  27. Isenring E, Bauer J, Capra S. The scored patient-generated subjective global assessment (PG-SGA) and its association with quality of life in ambulatory patients receiving radiotherapy. Eur J Clin Nutr 2003; 57: 305-309 

  28. Hadjibabaie M, Iravani M, Taghizadeh M, Ataie-Jafari A, Shamshiri AR, Mousavi SA, Alimoghaddam K, Hosseini S, Ghavamzadeh A. Evaluation of nutritional status in patients undergoing hematopoietic SCT. Bone Marrow Transplant 2008; 42: 469-473 

  29. Rzepecki P, Barzal J, Sarosiek T, Szczylik C. Biochemical indices for the assessment of nutritional status during hematopoietic stem cell transplantation: are they worth using? A single center experience. Bone Marrow Transplant 2007; 40: 567-572 

  30. Kristine L, Funk, Celeste M. Ayton. Improving malnutrition documentation enhances reimbursement. J Am Diet Assoc 1995; 95: 468-475 

  31. Eriksson KM, Cederholm T, Palmblad JE. Nutrition and Acute Leukemia in Adults. Cancer 1998; 82(6): 1071-1077 

  32. Ulrich E. Schaible, Stefan H.E.Kaufmann, Malnutrition and infection: complex mechanism and global impacts. PLoS Med 2007; 4(5): 806-812 

  33. Bow EJ, Meddings JB. Intestinal mucosal dysfunction and infection during remission-induction therapy for acute myeloid leukemia. Leukemia 2006; 20: 2087-2092 

  34. Jaime-Perez JC, Gonzalez-Llano O, Herrera-Garza JL, Gutierrez- Aguirre H, Vazquez-Garza E, Gomez-Almaguer D. Assessment of nutritional status in children with acute lymphoblastic leukemia in Northern Mexico: A 5-year experience. Pediatr Blood Cancer 2008; 50: 506-508 

  35. Iversen PO, Wisloff F, Gulbrandsen N. Reduced nutritional status among multiple myeloma patients during treatment with highdose chemotherapy and autologous stem cell support. Clin Nutr 2009; 29: 1-4 

  36. Iversen PO, Ukrainchenko E, Afanasyev B, Hulbekkmo K, Choukah A, Gulbrandsen N, Wisloff F, Tangen JM. Impaired nutritional status during intensive chemotherapy in Russian and Norwegian cohorts with acute myeloid leukemia. Leuk Lymp 2008; 49(10): 1916-1924 

  37. Muscaritoli M, Grieco G, Capria S, Iori AP, Rossi Fanelli F. Nutritional and metabolic support in patients undergoing bone marrow transplantation. Am J Clin Nutr 2002; 75: 183-19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