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동물용 의약품으로 널리 사용되고 환경 중 잔류 가능성이 높은 설폰아미드계 항생제 5종 (sulfadiazine, sulfamerazine, sulfamethazine, sulfamethoxazole, sulfathiazole) 및 대사체 5종($N^4$-acetylsulfadiazine, $N^4$-acetylsulfamerazine, $N^4$--acetylsulfamethazine, N4-acetylsulfamethoxazole, sulfamethoxazole-$N^1$-glucuronide)의 분석방법을 연구하였다. 다양한 전처리 조건을 비교 검토하여 최적의 동시 추출방법과 LC/ESI-MS/MS를 이용한 기기분석 조건을 확립하였다. 카트리지별 추출효율은 C18 카트리지에서 12~94%, HLB 카트리지에서 60-95%, MCX 카트리지에서 25-123%였으며, MCX와 HLB 카트리지를 결합한 방법의 회수율은 70-90%이었다. HLB를 선택하여 확립된 분석방법의 회수율은 66~115%, 상대표준편차 5~17%이었으며, 방법검출한계는 0.001~0.187 ng/mL 였다. 이를 실제 환경시료에 적용한 결과 4종의 설폰아미드 항생제가 0.008~2.153 ng/mL 농도범위로 검출되었으며, 대사체의 경우 $N^4$-acetylsulfamethoxazole이 확인되었으나 검출한계 미만으로 관찰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 analytical method for sulfonamide antibiotics (sulfadiazine, sulfamerazine, sulfamethazine, sulfamethoxazole, sulfathiazole) and their metabolites ($N^4$-acetylsulfadiazine, $N^4$-acetylsulfamerazine, $N^4$-acetylsulfamethazin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환경 중 수질시료에 대하여 설폰아미드계 항생제 5종, 아세틸화 대사체 4종 및 글루코로나이드 대사체 1종에 대한 분석방법을 확립하고, 한강 유역의 하수처리장 및 축산폐수처리장 방류수 시료 8건을 분석하여 실제시료에 대한 적용성을 평가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설폰아미드계 의약물질이란? 설파닐아미드로부터 합성된 설폰아미드계 의약물질은 인체, 가축 및 어류에 대하여 박테리아 및 기타 미생물에 기인한 다양한 질병을 치료하기 위한 항생제로써, 초기에는 주로 인체의 감염성 질병 치료제로 사용되었으나, 가축의 질병치료, 성장촉진 및 사료 첨가제로 사용이 증가되는 추세이다. 유럽에서는 동물용 항생제 사용량으로 2위, 판매량으로 11~23%에 이르며, 2000년 영국에서는 전체 의약품 판매량의 약 21%를 차지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설폰아미드계 의약물질은 초기에 어떻게 사용되었나? 설파닐아미드로부터 합성된 설폰아미드계 의약물질은 인체, 가축 및 어류에 대하여 박테리아 및 기타 미생물에 기인한 다양한 질병을 치료하기 위한 항생제로써, 초기에는 주로 인체의 감염성 질병 치료제로 사용되었으나, 가축의 질병치료, 성장촉진 및 사료 첨가제로 사용이 증가되는 추세이다. 유럽에서는 동물용 항생제 사용량으로 2위, 판매량으로 11~23%에 이르며, 2000년 영국에서는 전체 의약품 판매량의 약 21%를 차지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설폰아미드계 의약물질이 유럽에서 동물용 항생제로 얼마나 사용되나? 설파닐아미드로부터 합성된 설폰아미드계 의약물질은 인체, 가축 및 어류에 대하여 박테리아 및 기타 미생물에 기인한 다양한 질병을 치료하기 위한 항생제로써, 초기에는 주로 인체의 감염성 질병 치료제로 사용되었으나, 가축의 질병치료, 성장촉진 및 사료 첨가제로 사용이 증가되는 추세이다. 유럽에서는 동물용 항생제 사용량으로 2위, 판매량으로 11~23%에 이르며, 2000년 영국에서는 전체 의약품 판매량의 약 21%를 차지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또한 미국 항생제 사용량의 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M. J. Garcia-Galan, M. S. Diaz-Cruz and D. Barcelo, Trend Anal. Chem., 27(11), 1008-1022(2008). 

  2. A. K. Sarmaha, M. T. Meyer and A. B. A. Boxall, Chemosphere, 65, 725-759(2006). 

  3. 국립환경과학원, "환경 중 의약물질 분석방법 연구 및 노출실태조사(I)", 2006. 

  4. T. B. Vree, E. Schoondermark-van de Ven, C. P. W. G. M. Verwey-van Wissen, A. M. Baars, A. Swolfs, P. M. van Galen and H. Amatdjais-Groenen, J. Chromatogr. B, 670, 111-123(1995). 

  5. T. B. Vree, A. J. van der Ven, C. P. Verwey-van Wissen, E. W. van Ewijk-Beneken Kolmer, A. E. Swolfs, P. M. van Galen and H. Amatdjais-Groenen, J. Chromatogr. B, 658, 327-340(1994). 

  6. T. B. Vree, E. W. Kolmer, M. Martea, R. Bosch and M. Shimoda, J. Chromatogr., 526, 119-128(1990). 

  7. X. S. Miao, F. Bishay, M. Chen and C. D. Metcalfe, Environ. Sci. Technol., 38(13), 3533-3541(2004). 

  8. A. B. A. Boxall, D. W. Kolpin, B. Halling-Sorensen and J. Tolls, Environ. Sci. Technol., 37(15), 286A-294A(2003). 

  9. M. J. Garcia-Galan, M. S. Diaz-Cruz and D. Barcelo, Trends in Analytical Chemistry, 28(6), 804-819(2009). 

  10. S. A. Mohring, I. Strzysch, M. R. Fernandes, T. K. Kiffmeyer, J. Tuerk and G. Hamscher, Environ. Sci. Technol., 43, 2569-2574(2009). 

  11. M. S. Diaz-Cruz, M. J. Garcia-Galan and D. Barcelo, J. Chromatogr. A., 1193, 50-59(2008). 

  12. A. Gobel, C. S. McArdell, A. Joss, H. Siegrist and W. Giger, Sci. Total Environ., 372, 361-371(2007). 

  13. M. J. Hilton and K. V. Thomas, J. Chromatogr. A., 1015, 129-141(2003). 

  14. A. Gobel, C. S. McArdell, M. J. F. Suter and W. Giger, Anal. Chem., 76(16), 4756-4764(2004). 

  15. M. Radke, C. Lauwigi, G. Heinkele, T. E. Murdter and M. Letzel, Environ. Sci. Technol., 43(9), 3135-3141(2009). 

  16. K. Stoob, H. P. Singer, C. W. Goetz, M. Ruff and S. R. Mueller, J. Chromatogr. A., 1097, 138-147(2005). 

  17. M. J. Garcia-Galan, T. Garrido, J. Fraile, A. Ginebreda, M. S. Diaz-Cruz and D. Barcelo, J. Hydrol., 383, 93-101(2010). 

  18. 국립환경과학원, "환경 중 의약물질 분석방법 연구 및 노출실태조사(II)", 2007. 

  19. 국립환경과학원, "잔류의약물질 분석방법 연구 및 실태조사(I)", 2008. 

  20. 국립환경과학원, "환경 중 의약물질 배출원 조사 및 거동연구(I)", 2008. 

  21. C. L. Lin, Y. J. Cheng, H. Y. Huang and S. Lee, Electrophoresis, 30, 3828-3837(2009).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