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비주얼 머천다이징 효과에 관한 연구: 한국과 중국 소비자의 비교문화연구
A Study of Visual Merchandising Effectiveness: A Cross-cultural Study of Korean and Chinese Consumers 원문보기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Clothing Industry, v.12 no.4, 2010년, pp.439 - 449  

박현희 (경북대학교 경영학부) ,  이금 (대련산업대학교 패션학부) ,  전중옥 (부경대학교 경영학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differences in persuasive effectiveness of visual merchandising between consumers in Korea and China including the moderating roles of shopping value in effectiveness of visual merchandising. For the cross-cultural experiment, 2(degree of sensuousness of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1) 한국과 중국 소비자 사이에 동일한 VM 자극에 대한 VM 인지 및 태도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본다.
  • 2) 한국과 중국 소비자 사이에 VM 인지 및 태도가 브랜드 인지, 태도, 그리고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력이 다른지 알아본다.
  • 3) 한국과 중국 소비자의 쇼핑가치 추구성향에 따라 VM 자극에 대한 VM 인지 및 태도의 차이가 있는지 알아본다.
  • 본 연구는 패션산업에서 중요성이 더해지고 있는 중국 패션 시장에서 선호되는 VM과 브랜드 인지, 태도 및 구매의도에 미치는 VM의 효과성을 알아보고, 한국패션기업이 중국에 진출 함에 있어 효과적인 VM 전략수립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본 연구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한국과 중국 소비자를 대상으로 구체적인 리테일링 프로모션 전략의 일환인 VM에 대해 한국과 중국 소비자간의 반응이 어떻게 다른지 비교분석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와 정보는 국내 패션 브랜드들의 중국 시장 진출시 어떠한 VM 전략을 실행하는 것이 효과적일지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해줄 것이다.
  • 이와 같이 국내에서는 VM의 효과성에 관해 살펴본 연구들이 다수 실시되어왔으나, 중국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VM의 효과성을 살펴보거나 비교문화적 관점에서의 VM 효과를 다룬 연구, 더 나아가 쇼핑가치의 조절효과를 알아본 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최근 들어 중국의 경제성장과 더불어 사회 문화적 가치도 변화하고 한류문화의 중국 진출에 의해 한국문화와의 차이가 다소 줄어들기는 하였지만 기본 적으로 가지는 국가간 문화적 차이는 VM에 대한 소비자 반응에도 영향을 미칠 것이라 생각되어 한국과 중국 간 VM에 대한 효과를 비교분석하고자 한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한국과 중국 소비자를 대상으로 구체적인 리테일링 프로모션 전략의 일환인 VM에 대해 한국과 중국 소비자간의 반응이 어떻게 다른지 비교분석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와 정보는 국내 패션 브랜드들의 중국 시장 진출시 어떠한 VM 전략을 실행하는 것이 효과적일지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해줄 것이다.
  • 첫 번째 연구문제로 한국과 중국 소비자가 동일한 VM 자극에 대해 어떻게 반응하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고감도 VM과 저감도 VM 자극물에 대한 인지와 태도를 알아보았다. 분석 결과, Table 4와 같이 동일한 자극물에 대해 한국과 중국 소비자들이 매우 다르게 인지함을 확인할 수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미국발 금융위기 이후 중국에 진출한 한국의 패션 업체 현황은 어떠한가요? 중국에 진출한 한국의 패션 업체들은 2008년 9월 이후 미국발 금융위기를 의식해 비효율 매장 정리 및 유통구조 개선에 주력하며 신규투자를 보류해왔으나, 최근 경기호전 신호가 잇달아 나타나고, 중국의 경제성장률이 회복세로 돌아설 것이라는 전망이 늘면서 다시 공격적인 투자를 준비하는 업체들이 늘고 있다(“對中패션사업”, 2009). 이에 따라 한국패션기업들은 유통구조의 다각화 및 효율화, 제품력 강화, 기업 인수 합병, 직영중심으로의 유통구조 혁신, 일관된 현지화 정책, 새로운 SPA 브랜드의 개발 등 다양한 방법을 모색하고 있다.
한국과 중국 시장에 대한 비교문화 연구의 필요성이 강조되는 이유는 무엇인가? 국내패션 기업들이 중국에서의 마케팅활동을 확대하면서 한국과 중국 시장에 대한 비교문화 연구의 필요성도 강조되고 있다. 이는 패션 마케터들이 국내에서만 마케팅 활동을 수행하다가 상이한 사회 문화적 환경에 접하게 되면 이전에 경험하지 못했던 여러 가지 서로 다른 문화 간의 소비자 관습, 인식, 가치 체계, 태도 및 행동에서의 차이에서 유래하는 다양한 문제들에 직면하기 때문이다(임종원 외, 1994). 따라서 구체적인 패션 마케팅 전략수립에 앞서 해외 시장과 소비자에 대한 체계적인 이해를 통하여 현지의 상황에 적합한 제품개발이나 마케팅 전략 수립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박수경, 2007).
패션 VM이란 무엇인가요? 패션 VM은 패션 브랜드 아이덴티티를 효과적으로 표현하여 매출을 극대화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매장의 시각적 광고 전략이라 할 수 있다(박현희, 전중옥, 2008). 이와 관련하여 지금까지 실시된 디스플레이 및 VM의 효과성에 관련된 연구들을 살펴보면, 초기에는 단순히 디스플레이 및 VM이 소비자의 구매의사결정에 영향을 미치는지의 여부에 초점을 맞춘 연구(고순옥, 1987; 김승희, 1987; 이혜용, 1982)가 진행되었으며, 이러한 연구를 좀 더 발전시켜 디스플레이 및 VM의 어떠한 요소나 요인들이 소비자의 구매의도를 일으키고 충동구매의 유인효과를 만들어내는지에 관련된 연구들이 실시되었다(김은정, 1993; 이연순 외, 199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0)

  1. 강연경, 손희순. (2008). 중국 성인여성의 테일러드 수트 착용실태 및 맞음새에 관한 연구-상해지역 25-34세 거주자를 중심으로-. 패션비지니스, 12(2), 117-133. 

  2. 고순옥. (1987). 백화점 쇼윈도우 디스플레이를 위한 VMD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 고은주, 송윤아. (2004). 국내 의류브랜드의 중국진출 현황 및 마케팅전략 제안. 한국의류학회지, 28(2), 212-223. 

  4. 권혜숙, 신은경. (2007). 의류쇼핑가치와 쇼윈도우 디스플레이 유형에 따른 소비자 태도. 패션비즈니스, 11(5), 64-78. 

  5. 김승희. (1987). 디스플레이가 의상구매활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김은정. (1993). 의복구매시 소비자의 의사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변인-디스플레이를 중심으로-. 경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김재은, 박길순. (2004). 한류현상이 중국 신세대 패션에 미친 영향 분석. 한국의류학회지, 28(1), 154-164. 

  8. 김정원, 사일. (2009). 중국 대련 남자대학생의 패션행동분석. 한국의류산업학회지, 11(1), 93-102. 

  9. 김진원. (2000). 쇼핑가치, 점포속성 및 과업상황이 의복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의류점포내 감정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0. 對中패션사업 다시 활기 띤다. (2009, 09. 14). 어패럴 뉴스. 자료검색일 2009. 11. 01, 자료출처, http://www.appnews.co.kr 

  11. 박길순. (2004). 중국의 스트리트 패션에 나타난 한류현상 분석. 한국생활과학회지, 13(6), 967-983. 

  12. 박수경. (2007). 한국과 미국 대학생의 의류제품 만족에 관한 비교문화연구-청바지에 대한 친숙도와 추구 이미지를 중심으로-. 복식 문화연구, 15(1), 169-178. 

  13. 박현희. (2005). 패션 VMD의 브랜드의 태도효과 모형에 관한 구조적 연구. 부경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4. 박현희, 구양숙, 구동모. (2007). 소비자의 쇼핑가치가 패션제품 속성 평가 및 브랜드 재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가격수준에 따른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의류학회지, 31(2), 236-246. 

  15. 박현희, 이금, 전중옥. (2009). 한국과 중국의 온라인 비주얼 머천다이징 실행에 관한 비교분석연구. 한국의류학회지, 33(6), 916-928. 

  16. 박현희, 전중옥. (2008). 비주얼 머천다이징 유형에 따른 소비자 반응에 관한 연구. 마케팅관리연구, 13(3), 1-20. 

  17. 박혜원, 장춘희. (2005). 대중국 마케팅을 위한 중국 직장여성들의 한국 의류상품 구매집단과 비구매집단의 의복구매행동 비교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9(3/4), 547-560. 

  18. 박혜원, 장춘희, 신혜봉. (2005). 중국 대도시 직장여성들의 의복구매 행동 비교연구-북경, 상해, 심천, 장춘의 20-30대를 중심으로-. 한국의류학회지, 29(1), 124-135. 

  19. 손미영, 김용주, 지혜경. (2007). 한국 패션기업의 세계시장 진출을 위한 중국시장 활용 전략 연구-일반화된 더블다이몬드 모델의 변수를 이용한 한, 중 패션산업의 경쟁력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의류학회지, 31(4), 507-518. 

  20. 손미영, 이은영. (2003). 한국 패션기업의 세계화 추세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7(11), 1219-1228. 

  21. 손희순, 위혜정, 김은희, 강연경. (2005). 중국 성인여성의 체형연구(제1보)-북경, 상해지역 거주자를 중심으로-. 패션비즈니스, 9(1), 137-151. 

  22. 신수연, 장은영. (2007). 중국 진출 국내 패션 브랜드의 통합적 마케팅 커뮤니케이션(IMC) 전략. 복식문화연구, 15(3), 483-495. 

  23. 심부자, 서추연, 이소영. (2008). 중국 중년 남성의 슬랙스 패턴 설계를 위한 하반신 체간부 유형분석-절강성 영파 지역을 중심으로-. 패션비즈니스, 12(2), 87-99. 

  24. 안광호, 임병훈. (2006). SPSS를 활용한 사회과학조사방법론(개정판). 파주: 학현사. 

  25. 오희선. (2008). 매장의 VM과 쇼핑가치가 의복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남자대학생을 중심으로. 한국의류산업학회지, 10(3), 316-321. 

  26. 유국련, 김용숙. (2002). 중국 대학생의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의복태도 및 구매행동. 복식, 52(5), 15-30. 

  27. 유혜경. (1998). 중국 의류소비자 특성 고찰. 한국의류학회지, 22(2), 233-240. 

  28. 유혜경. (2008). 한국산 의류제품에 대한 중국 소비자의 인식변화: 종단적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32(12), 1878-1890. 

  29. 이미숙. (2007). 신뢰 및 인지된 위험이 RFID 기술수용에 미치는 영향 -기업 및 공공기관을 중심으로 한 실증분석-. 경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0. 이미숙. (2009). VMD 구성요소가 점포이미지와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의류매장의 실내색상과 상품수량을 중심으로-. 한국생활과학회지, 18(1), 247-257 

  31. 이소은, 임숙자. (2008). VMD 효과에 관한 연구. 복식문화연구, 16(5), 795-811. 

  32. 이연순, 박성혜, 박윤아. (1993). 의류매장 종류에 따른 쇼윈도우 디스플레이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31(2), 205-211. 

  33. 이혜용. (1982). 의상디스플레이에 대한 연구-쇼윈도우 디스플레이 중심으로-.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4. 임종원, 김재일, 홍성태, 이유재. (1994). 소비자 행동론. 서울: 경문사. 

  35. 추호정. (1998). 의류점포내 구매환경 만족도가 고객의 점포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6. 표희수. (2005). 골프웨어 소비자들의 쇼핑가치에 따른 점포선택행동에 관한 연구. 동아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7. 홍금희, 유정. (2009). 중국 여자대학생의 유행선도력과 한류 선호에 따른 패션 브랜드 구매행동. 한국의류학회지, 33(4), 655-665. 

  38. Babin, B. J., Darden, W. R., & Griffin, M. (1994). Work and/or fun: Measuring utilitarian shopping value.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20(4), 644-656. 

  39. Baker, J., Levy, M., & Grewal, D. (1992). An experimental approach to making retail store environmental decisions. Journal of Retailing, 68(4), 445-460. 

  40. Bloch, P. H., & Richins, M. L. (1983). Shopping without purchase: An investigation of consumer browsing behavior. Advances in Consumer Research, 10(1), 389-393. 

  41. Chen, C., & Shih, H. (2004). The impact of WTO accession on the Chinese garment industry. Journal of Fashion Marketing and Management, 8(2), 221-229. 

  42. Durvasula, S., Andrew, J. C., Lysonski, S., & Netmeyer, R. G. (1993). Assessing the cross-cultural applicability of consumer behavior models: A model of attitude toward advertising in General.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19(4), 626-636. 

  43. Homer, P. M. (1995). Ad size as an indicator of perceived advertising costs and effort: The effects on memory and perception. Journal of Advertising, 24(4), 1-12. 

  44. Mackenzie, S. B., Lutz, R. J., & Belch, G. E. (1986). The role of attitude toward the ad as a mediator of advertising effectiveness: A test of competing explanations.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23(2), 130-143. 

  45. Mackenzie, S. B., & Lutz, R. J. (1989). An empirical examination of structural antecedents of attitude toward in the advertising pretesting context. Journal of Marketing, 53(2), 48-65. 

  46. Parker, R. S., Hermans, C. M., & Schaefer, A. D. (2004). Fashion consciousness of Chinese, Japanese and American teenagers. Journal of Fashion Marketing and Management, 8(2), 176-186. 

  47. Rahman, O., Zhu, X., & Liu, W. (2008). A study of the pajamas purchasing behaviour of Chinese consumers in Hangzhou, China. Journal of Fashion Marketing and Management, 12(2), 217-231. 

  48. Schehter, L. (1984). A normative conception of value. progressive grocer, 12-14. 

  49. Wu, J., & Delong, M. (2006). Chinese perceptions of western-branded denim jeans: A Shanghai case study. Journal of Fashion Marketing and Management, 10(2), 238-250. 

  50. Yoo, B., & Donthu, N. (2001). Developing and validity a multidimensional consumer-based brand equity scale. Journal of Business Research, 52(1), 1-14.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