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일과 삶의 균형에 영향을 미치는 가정, 조직, 지역사회 변인의 영향력에 대한 국가비교연구: 한국, 일본, 영국 기혼여성근로자를 중심으로
Comparative Study on the Effect of Family, Organization and Community Factors on Work-Life Balance: Married and Working Women in Korea, Japan, and the U.K. 원문보기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 Journal of family resource management, v.19 no.2, 2015년, pp.51 - 74  

손영미 (서울과학종합대학원) ,  박정열 (서울과학종합대학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differences in the level of work-life balance as well as the effect of independent variables, including family (sharing family work, support for working), organization (culture, support services and systems), and community variables (accessibility to and amount of work-l...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20대 여성과 남성의 경제활동참가율은? 20대 한국 여성의 경제활동참가율(62.9%)은 같은 연령대 남성의 경제활동참가율(61.7%) 보다 높다. 그러나 30대에 이르면 한국 여성의 경제활 동참가율(58.
한국 여성의 경제활동참가 형태는? 5%)에 비해서는 약 30% 정도 낮은 상황이다(통계청, 2014a). 한국 여성의 경제활동참가 형태는 전형적인 M자형 곡선을 이 루는 특성이 있다. 이는 한국 여성들이 결혼, 출산, 육아를 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일과 삶의 불균형으로 인해 경제활동을 일시적으로 중단하 거나 포기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한국 여성의 경제활동참가 형태가 M자형인 이유는? 한국 여성의 경제활동참가 형태는 전형적인 M자형 곡선을 이 루는 특성이 있다. 이는 한국 여성들이 결혼, 출산, 육아를 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일과 삶의 불균형으로 인해 경제활동을 일시적으로 중단하 거나 포기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91)

  1. 강혜련.김태홍(2000). 가정영역의 책임이 근로자의 노동성과에 미치는 영향 분석. 인사관리연구, 24(1), 347-369. 

  2. 김근주(2013). 일-가정 양립을 위한 영국의 유연근무제. 국제노동브리프, 2013년 3월호, 45-53, 한국노동연구원. 

  3. 김명원.강민주(2011). 맞벌이 부부의 성역할 태도와 사회적 지원이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대한가정학회지, 49(8), 25-35. 

  4. 김미령(2011). 여성의 취업유무에 따른 결혼만족도 차이 및 영향요인 비교. 여성연구, 81(2), 69-101. 

  5. 김선희(2010). 공공조직에서 여성의 일-가정갈등(WFC) 결정요인 분석. 행정논총, 48(1), 171-196. 

  6. 김옥선.김효선(2010). 다중 역할의 상호향상 효과: 일-가정 영역 간 자원의 긍정적 전이에 관한 분석. 한국경영학회, 39(2), 375-407. 

  7. 김인선.이동명(2008). 조직의 지원환경이 일-가족갈등에 미치는 영향. 산업관계연구, 19(2), 67-94. 

  8. 김정운.박정열(2008). 일과 삶의 균형(Work-Life Balance) 척도 개발을 위한 연구. 여가학연구, 5(3), 53-69. 

  9. 김정운.박정열.손영미.장훈(2005). '일과 삶의 조화(Work-life balance)'에 대한 개념적 이해와 효과성. 여가학연구, 2(3), 29-48. 

  10. 김정운.박정열.손영미.황기돈 (2006). 일과 삶의 조화(Work-Life Balance 척도 개발. 문화관광부. 

  11. 김정운.손영미.박정열(2007). 일과 삶의 균형 정책 도입방안 연구. 중앙인사위원회 정책연구보고서. 

  12. 김준기.양지숙(2012). 기혼여성의 일-가정 양립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분석: 사회적 지원의 효과를 중심으로. 행정논총, 50(4), 251-280. 

  13. 김현옥.김경호(2009). 맞벌이 가정의 보육지원서비스 활용이 양육죄책감과 가족기능에 미치는 영향 연구: 전주시를 중심으로. 한국영유아보육학, 12(1), 305-328. 

  14. 김효선.차운아(2009). 직장-가정 간 상호작용과 가족친화적 조직지원이 근로자의 조직몰입과 이직의도에 미치는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22(4), 515-540. 

  15. 배규식(2010). 영국, 네덜란드, 일본, 호주의 시간제 고용 중에서 무엇을 배울 것인가? 국제노동브리핑, 2010년 11월호, 1-4. 

  16. 배규식.김명중(2011). 외국의 시간제 노동사례에 비추어 본 한국의 시간제 노동. 한국노동연구원 연구보고서. 

  17. 배지혜.서혜연.이숙현 (2002). 사무직 남성의 "일-가족 갈등" 및 "가족-일 갈등"과 부모역할 만족도. 한국가족관계학회지, 7(2), 43-64. 

  18. 백진아(2003). 영국의 성평등과 여성 노동정책. 현상과 인식, 27(1), 76-94. 

  19. 서문희.김은설.장혜경.박수연(2008). 일하는 여성 보육지원 강화방안. 노동부. 

  20. 손문금(2005). 여성의 이중부담과 유급노동시간의 주변화: 맞벌이부부를 중심으로. 한국인구학, 28(1), 277-311. 

  21. 송다영(2009). 영국 가족정책의 변화와 한계. 상황과 복지, 28, 51-94. 

  22. 송다영.장수정.김은지(2010). 일가족양립갈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분석: 직장내 지원과 가족지원을 중심으로. 사회복지정책, 37(2), 27-52. 

  23. 손영미(2014). 학령기 아동이 있는 가족의 여가문화 활성화: 기혼여성근로자의 일과 삶에 대한 가치관 비교문화연구.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한국여가문화학회 2014 공동추계학술대회 자료집, 123-129. 

  24. 손영미.김정운.박정열(2011). 중앙공무원의 일과 삶의 균형에 대한 조직 및 개인변인의 영향력 검증 연구. 여가학연구, 9(1), 101-131. 

  25. 손영미.박정열(2014a). 남녀의 일과 삶의 균형에 영향을 미치는 인과변인과 결과변인의 차이연구: 기혼직장인을 대상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19(2), 161-190. 

  26. 손영미.박정열(2014b). 기혼여성근로자의 일-가족전이에 미치는 조직문화와 지원제도의 영향력비교. 한국웰니스학회지, 9(4), 111-125. 

  27. 손영미.박정열(2015). 한국, 일본, 영국기혼 여성근로자의 일과 삶의 균형에 관한 비교연구. 제 2차 SSK-Networking 심포지엄 발표논문. 

  28. 손영미.박정열.김정운(2011). 직장인의 일에 대한 재미지각척도 개발 및 구성타당도 검증.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17(2), 241-259. 

  29. 신경아(2007). 산업화 이후 일-가족 문제의 담론적 지형과 변화. 한국여성학, 23(2), 5-45. 

  30. 여성가족부(2011). 해외 가족정책 동향 리포트. 제5호, 2011년 11월. 

  31. 오은진.김종숙.김난주.이상돈.김지현(2008). 고학력 경력단절여성의 일자리 창출을 위한 정책과제.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 

  32. 오은진.이한나(2013). 기혼여성의 직업 이동에 관한 연구. 아시아여성연구, 52(1), 133-161. 

  33. 유계숙(2010). 한국, 영국, 스웨덴의 근로자가 인식한 조직문화의 가족친화도와 일.가족생활에 대한 만족도 비교.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8(5), 13-23. 

  34. 윤홍식(2006). OECD 21개국의 부모권과 노동권 보장수준을 통해 본 가족정책의 비교연구: 부모휴가와 아동보육시설 관련 정책을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학, 58(3), 341-370. 

  35. 윤홍식.류연규.송다영.신경아.윤성호. 이숙진.안세아(2011). 국내외 가족정책의 쟁점과 가족환경변화. 한국여성정책연구원. 

  36. 이상희.신지연(2005). 우리나라의 출산휴가 및 육아휴직제도의 고찰과 발전방안에 대한 연구. 아동복지연구, 4(2), 1-17. 

  37. 이요행.방묘진.오세진(2005). 가족친화적 조직문화가 조직몰입, 직장만족, 이직의도, 그리고 가정만족에 미치는 영향: 직장-가정 갈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산업 및 조직, 18(3), 639-657. 

  38. 이유덕.송광선(2009). 가족친화경영, 직무특성, 가족특성, 그리고 일과 삶의 조화. 인적자원관리연구, 16(4), 213-236. 

  39. 장재윤.김혜숙(2003). 직장-가정간 갈등이 삶의 만족 및 직무태도에 미치는 효과에 있어서의 성차: 우리나라 관리직 공무원들을 대상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9(1), 23-42. 

  40. 장영은.박정윤.이승미.권보라(2011). 유자녀 취업여성이 경험하는 일-가정 균형에 관련된 변인에 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9(2), 63-72. 

  41. 장지연(2005). 여성의 경제활동과 저출산. 보건복지포럼, 102, 45-56. 

  42. 조복희.강희경.김양은.한유미(2013). 한국보육의 역사 및 관련볍과 현황. 한국보육지원학, 9(5), 381-405. 

  43. 최은정(2004). 영국 기업과 가족친화적 정책. 가족과 문화, 16(3). 151-174. 

  44. 통계청(2014a). 경제활동인구조사. http://kosis.kr 

  45. 통계청(2014b). 한국의 사회동향 2014. 

  46. 하민지.권기헌(2010). 보육서비스 이용이 소득증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한 서비스 지역아동센터 이용 효과 분석을 중심으로. 정책분석평가학회보, 20(2), 231-256. 

  47. 황성하.남미경.서혜전(2010). 한국과 일본 취학 전 유아 어머니의 육아 및 육아지원에 대한 인식과 실태 비교. 생태유아교육연구, 9(2), 105-124. 

  48. 홍금자(2004). 일본의 공보육. 한영유아보육학, 39, 197-229. 

  49. 홍승아(2005). 복지국가 재편과 젠더: 프랑스 보육정책을 중심으로. 여성연구, 69, 139-173. 

  50. 홍승아(2009). 외국의 일가정양립정책의 최근 경향과 특성: 부모휴가정책을 중심으로. 창조와 혁신, 2(2), 75-104. 

  51. 홍승아.김은지.이영미(2010). 취업부모의 자녀양육지원서비스 효율화 방안. 한국여성정책연구원. 

  52. 홍승아.이미화.김영란.유계숙.이영미. 이연정.이채정(2009). 일가족 양립정책의 국제비교연구: 정책이용실태 및 일가족양립현실. 한국여성정책연구원. 

  53. 황혜원.신정이 (2009). 자녀를 둔 맞벌이부부의 역할갈등과 삶의 질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복지학, 14(1), 45-71. 

  54. 현대경제연구원(2014). 여성의 일가정양립과 사회자본: 국제비교를 토한 시사점. 한반도 르네상스 구현을 위한 VIP 리포트. 통권 581호, 14-30, 2014.08.18. 

  55. Abendroth, A. & Dulk, L.(2011). Support for the work-life balance in Europe: The impact of state, workplace and family support on work-life balance satisfaction. Work, Employment and Society, 25(2), 234-256. 

  56. Aboim, S.(2010). Family and gender values in contemporary Europe: The attitudinal gender gap from a cross - national perspective. Portuguese Journal of Social Science, 9(1), 33-58. 

  57. Allen, T. D.(2001). Family-supportive work environment: The role of organizational perception.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58, 414-435. 

  58. Aryee, S., Srinivas, E. S. & Tan, H. H.(2005). Rhythms of life: Antecedents and outcomes of work-family balance in employed parents.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90(1), 132-146. 

  59. Bronfenbrenner, U.(1979). The ecology of human development. Cambridge, MA: Harvard University Press. 

  60. Bruck, C. S., Allen, T. D. & Spector, P. E.(2002). The relation between work-family conflict and job satisfaction: A finer-grained analysis.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60, 336-353. 

  61. Burke, R. J., Wier, T. & Duwors, R. Jr.(1980). Work demands on administrators and spouse well being. Human Relations, 33, 253-278. 

  62. Cohen, A.(1997). Nonwork influences on withdrawal cognitions: An empirical examination of an overlooked issue. Human Relations, 50, 1511-1536. 

  63. Crompton, R.(1999). Restructuring gender relations and employment: The decline of the male breadwinner.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64. Dalton, D. & Mesch, D.(1990). The impact of flexible scheduling on employee attendance and turnover. Administrative Science Quarterly, 35, 370-387. 

  65. Ford, M. R., Heinen, B. A. & Langkarmer, K. L.(2007). Work and family satisfaction and conflict: A meta analysis of cross-domain relations.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92(1), 57-80. 

  66. Frone, M. R., Russell, M. & Cooper, M. L.(1995). Job stressors, job involvement and employee health: A test of identity theory. Journal of Occupation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68: 1-11. 

  67. Frone, M. R., Yardley, J. K. & Markel, K. S.(1997). Developing and testing an integrative model of the work-family interface.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50, 145-167. 

  68. Gonyea, J. G., & Googins, B. K.(1996). The restructuring of work and family in the United States: A new challenge for American corporations. In S. Lewis & J. Lewis(Eds.), The work-family challenge: Rethinking employment, Thousand Oaks, CA: Sage. 

  69. Gornick, J. C. & Meyers, M. K.(2004). Welfare regimes in relation to paid work and care. in Janet Zollinger Giele and Elke Holst (eds.), Changing life patterns in western industrial societies. Netherlands: Elsevier Science Press. 

  70. Grandey, A. A., Cordeiro, B. L. & Crouter, A. C.(2005). A longitudinal and multi-source test of the work-family conflict and job satisfaction relationship. Journal of Occupation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78, 305-323. 

  71. Gropel, P. & Kuhl, J.(2009). Work-life balance and subjective well-being: The mediating role of need fulfilment. British Journal of Psychology, 100, 365-375. 

  72. Gutek, B. A., Searle, S. & Klepa, L.(1991). Rational versus gender role explanations for work-family conflict.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76, 560-568. 

  73. Greenhaus, J. H., Collins, K. M. & Shaw, J. D.(2003). The relation between work-family balance and quality of life.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63(3), 510-531. 

  74. Kim, J. & Wiggins, M.(2011). Family- friendly human resource policy: Is it still working in the public sector? Public Administration Review, 71(5), 728-739. 

  75. Kinnunen, U., Feldt, T., Mauno, S. & Rantanen, J.(2010). Interface between work and family: A longitudinal individual and crossover perspective. Journal of Occupation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83, 119-137. 

  76. Kossek, E., Colquitt, J. & Noe, R.(2001). Caregiving decisions, well-being, and performance: The effects of place and provider as a function of dependent type and work-family climates.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44, 29-44. 

  77. Kossek, E. & Ozeki, C.(1998). Work-family conflict, policies and the hob-life satisfaction relationship: A review and directions for organizational behavior-human resurces research.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83(2), 139-149. 

  78. Lee, S-Y. & Hong, J. H.(2011). Does family-friendly policy matter? Testing its impact on turnover and performance. Public Administration Review, 71(6), 870-879. 

  79. Malone, E. K. & Lssa, R. R. A.(2013). Work-life balance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women in the U. S. construction industry. Journal of Professional Issues in Engineering Education & Practice, 139(2), 87-98. 

  80. Morris, M. & Madsen, S.(2007). Advancing work-life integration in individuals, organizations, and communities. Advances in Developing Human Resources, 9(4), 439-454. 

  81. OECD(2013). OECD better life index country report. OECD better life initiative. 

  82. Randall, V.(2002). Child care in Britain or how do you restructure from nothing, In S. Michel & R. Mahon(Eds.). Child Care Policy at the Crossroads. London: Routledge. 

  83. Siegel, P. A., Post, C., Brockner, J., Fishman, A. Y. & Garden, C.(2005). The moderating influence of procedural fairnes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life conflict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90, 13-24. 

  84. Simmons, C., Cochran, J. & Blount, W.(1997). The effects of job-related stress and job satisfaction on probation officers'inclinations to quit. American Journal of Criminal Justice, 21(2), 213-229. 

  85. Sirgy, M. J. & Wu, J.(2009). The pleasant life, the engaged life and the meaningful life: What about the balanced life? Journal of Happiness Studies, 10, 183-196. 

  86. Schumm, W. R., Jurich, A. P. & Boliman, S. R.(1990). Kansas marital satisfaction scale. In J Touliatos, B. F. Perimutter, and M.A. Straus (Eds.), Handbook of family measurement techniques. Sage: Newbury Park, CA. 

  87. Thomas, L. T. & Ganster, D. C.(1995). Impact of family-supportive work variables on work-family conflict and strain: A control perspective.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80, 6-15. 

  88. Wadsworth, L. & Owens, B.(2007). The effects of social support on work-family enhancement and work-family conflict in the public sector. Public Administration Review, 67(1), 75-87. 

  89. Walsh, J.(2013). Gender, the work-life interface and wellbeing: A study of hospital doctors. Gender, Work and Organization, 20(4), 439-453. 

  90. Williams, K. J. & Alliger, G. M.(1994). Role stressors, mood spillover, and perceptions of work-family conflict in employed partners.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37, 837-868. 

  91. Yang, N., Chan, C. C., Choi, J. & Zou, Y. J.(2000). Sources of work and family conflict: A Sino-U.S. comparison of the effects of work and family demands.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43, 113-123. 

LOADING...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