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부산시의 주요 도시기반시설인 도시공원 서비스가 지역별로 적정하게 공급되고 있는지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도시공원 서비스 공급적정성 평가지수를 활용하는데, 이 지수는 기본적으로 계획공급량과 실제공급량 간 차이 값을 바탕으로 구성된다. 계획공급량은 지역별 인구수에 관련 법령이나 시행규칙 등에 명시된 1인당 도시공원 면적을 곱하여 산정하며, 실제공급량은 허프모형(Huff model)을 변형한 식을 바탕으로 추정한다. 부산광역시를 대상으로하는 실증분석 결과 1인당 도시공원면적 기준을 $6m^2$, 공급권역을 1,000m로 설정할 경우, 금성동, 천가동, 동대신3동 등의 공급이 양호한 반면, 하단1동, 괴정2동, 주례3동 등의 공급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공급이 부족한 것으로 평가된 지역에 대해서는 도시관리계획 등을 수립할 때, 공원 신설 시 우선 순위를 부여하여 공원시설을 확대해 나갈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부산시의 주요 도시기반시설인 도시공원 서비스가 지역별로 적정하게 공급되고 있는지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도시공원 서비스 공급적정성 평가지수를 활용하는데, 이 지수는 기본적으로 계획공급량과 실제공급량 간 차이 값을 바탕으로 구성된다. 계획공급량은 지역별 인구수에 관련 법령이나 시행규칙 등에 명시된 1인당 도시공원 면적을 곱하여 산정하며, 실제공급량은 허프모형(Huff model)을 변형한 식을 바탕으로 추정한다. 부산광역시를 대상으로하는 실증분석 결과 1인당 도시공원면적 기준을 $6m^2$, 공급권역을 1,000m로 설정할 경우, 금성동, 천가동, 동대신3동 등의 공급이 양호한 반면, 하단1동, 괴정2동, 주례3동 등의 공급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공급이 부족한 것으로 평가된 지역에 대해서는 도시관리계획 등을 수립할 때, 공원 신설 시 우선 순위를 부여하여 공원시설을 확대해 나갈 필요가 있다.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assess the level of urban park service provision in comparison to demand population size by region (e.g., dong) in Busan metropolitan areas. To this end, a park service provision assessment index is utilized. The index is built upon the difference between planned...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assess the level of urban park service provision in comparison to demand population size by region (e.g., dong) in Busan metropolitan areas. To this end, a park service provision assessment index is utilized. The index is built upon the difference between planned and actual levels of park service provision. For each region, planned level is obtained by multiplying the per capita service amount by the number of residents in that region. Actual level is estimated based on Huff model, where distance between parks and residential locations are explicitly accounted for in model building. Empirical analysis was carried out for Busan Metropolitan Area. The result shows that Gumsung-dong, Chunga-dong and Dongdaesin3-dong are well supplied with park service, while Hadan1-dong, Goejung2-dong and Joorae3-dong are under-provided when per capita service provision amount and the extent of service area are set to $6m^2$ and 1km, respectively. It is argued that those regions that suffer from under-provision need to be highlighted such that a priority is given to those areas for establishing new urban parks when renewing urban management plan.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assess the level of urban park service provision in comparison to demand population size by region (e.g., dong) in Busan metropolitan areas. To this end, a park service provision assessment index is utilized. The index is built upon the difference between planned and actual levels of park service provision. For each region, planned level is obtained by multiplying the per capita service amount by the number of residents in that region. Actual level is estimated based on Huff model, where distance between parks and residential locations are explicitly accounted for in model building. Empirical analysis was carried out for Busan Metropolitan Area. The result shows that Gumsung-dong, Chunga-dong and Dongdaesin3-dong are well supplied with park service, while Hadan1-dong, Goejung2-dong and Joorae3-dong are under-provided when per capita service provision amount and the extent of service area are set to $6m^2$ and 1km, respectively. It is argued that those regions that suffer from under-provision need to be highlighted such that a priority is given to those areas for establishing new urban parks when renewing urban management plan.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본 연구에서는 이경주(2009)의 연구를 발전시켜 부산시 공원시설의 공급적성성을 평가하기 위한 실증 분석과정을 제시하도록 한다.
따라서 도시민들의 필요에 맞게 적정수준의 공원 서비스를 적시적소(適時適所)에 공급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공원 서비스의 적정수준을 관련법령이나 지자체별 조례에서 명시하는 1인당 공원시설 공급량과 행정단위별 인구규모를 고려하여 계획공급량으로 정의하였는데, 이를 실제공급량과 비교함으로서 이러한 적정규모의 공원 서비스가 적소에 공급되는 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공급적정성 평가의 이론적 기준으로 활용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방법론은 도시공원의 규모 및 공간분포, 수요인구의 규모를 동시에 고려하여 공원시설의 공급적정성을 평가하기 위한 과정을 수학적 모형으로 체계화 하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제안 방법
본 연구에서는 공원 서비스의 실제공급량의 공간분포가 수요인구의 공간분포를 적정하게 반영하고 있는지를 평가하기 위해 Huff Model을 기반으로 하는 방법론을 활용하였다. 또한 이를 토대로 계획공급량, 실제공급량, 공급적정성 평가지수를 일괄적으로 계산할 수 있는 분석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활용하였다. Huff Model은 공간상호작용모형중에서 가장 관심을 많이 받아온 모형으로 주로 상권분석과정에서 수요인구가 특정상점을 이용할 가능성을 추계적으로 추정하기 위하여 활용되어 왔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실제공급량” 개념을 적용하였다.
이때 지역 i가 공원 j에 근접할수록 이 공원으로부터 배분되는 서비스의 효용규모가 증가한다. 본 연구에서는 공원 j가 지역 i에 제공하는 공원서비스 수준을 두 지점 중심점간 거리요소만을 이용하여 추정하였다. 그러나 좀 더 유의미한 결과를 도출하기 위해서는 (식2)를 구성하는 거리조락계수(distance-decay parameter) 및 공원의 규모(면적)에 의한 효용효과 등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이상과 같은 공급적정성 평가방법 체계를 토대로 부산시의 도시공원을 대상으로 실증적 분석을 실시하도록 한다. 그림 1은 2008년을 기준으로 부산시의 행정동별 인구분포를 나타낸 것이다.
부산시 도시공원의 공급적정성 평가는 이 연구를 위하여 직접 개발한 분석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수행하였다. 이 프로그램은 비주얼베이직(Visual Basic) 6.
부산시 도시공원의 공급적정성 평가는 이 연구를 위하여 직접 개발한 분석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수행하였다. 이 프로그램은 비주얼베이직(Visual Basic) 6.0을 이용하여 개발하였는데, 행정동과 공원에 대한 GIS 자료를 ESRI사의 shapefile 형태로 입력받아서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결과는 지도와 표로 표현되어 사용자가 시각적으로 확인해 볼 수 있다.
그림 3은 이 프로그램의 사용자 화면을 나타낸다. 이 연구에서는 개발된 프로그램에서 1인당 도시공원 면적을 각각 3㎡와 6㎡로 설정하고, 다양한 크기의 서비스 공급 권역을 적용하였다.
이론/모형
본 연구에서는 공원 서비스의 실제공급량의 공간분포가 수요인구의 공간분포를 적정하게 반영하고 있는지를 평가하기 위해 Huff Model을 기반으로 하는 방법론을 활용하였다. 또한 이를 토대로 계획공급량, 실제공급량, 공급적정성 평가지수를 일괄적으로 계산할 수 있는 분석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활용하였다.
Huff Model은 공간상호작용모형중에서 가장 관심을 많이 받아온 모형으로 주로 상권분석과정에서 수요인구가 특정상점을 이용할 가능성을 추계적으로 추정하기 위하여 활용되어 왔다. 본 연구에서는 실제공급량을 정의하기 위하여 이 모형을 개념적 기반으로 활용하였다.
공원의 실제공급량을 추정하기 위한 방법론적 기반으로 허프모형을 사용하였다. 허프모형은 거리에 따른 상대적 기회효용을 파악하기에 적합하기 때문에 지역과 공원 간 거리관계를 전제로 하는 실제공급량을 추정하기에 적합한 방법론으로 볼 수 있다.
성능/효과
본 연구의 분석을 통해 1인당 도시공원면적 기준을 6㎡, 공급권역을 1,000m로 설정한 경우, 금성동, 천가동, 동대신3동 등으로 순으로 공급이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하단1동, 괴정2동, 주례3동 등의 공급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본 연구에서 제시된 공급적정성 평가모형은 몇 가지 한계를 가지고 있어 향후 후속연구가 필요하다. 첫째, 본 모형의 계획공급량은 1인당 공급수준을 기준으로 인구수를 곱하여 산정하였는데, 여기서 1인당 공급수준은 정량적인 측면이 강하다는 점이다. 각 개인이 공원시설을 이용할 때 누릴 수 있는 서비스 만족도는, 단순히 이러한 정량적 기준 이외에도, 공원시설의 양호한 유지보수 상태, 공원 내의 부대시설의 수준 및 이용 편이성 등과 같은 질적 측면도 중요하다.
둘째, 공급적정성 평가지수는 실제공급량과 계획공급량 간 차이를 바탕으로 구성되었는데, 이를 해석하기 위한 보편적인 기준은 마련하기 어렵다. 예를 들어, 어떤 동의 공급적정성 평가지수가 +35%로 산정되었다면, 이는 해당 동의 인구 대비 공원의 실제 공급수준이 35%정도 초과되었음을 의미하는데, 이것이 적정한 공급인지, 아니면 공급초과인지에 대해서는 계획가의 관점에 따라 차이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후속연구
그러나 좀 더 유의미한 결과를 도출하기 위해서는 (식2)를 구성하는 거리조락계수(distance-decay parameter) 및 공원의 규모(면적)에 의한 효용효과 등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이는 대상지 주민들을 대상으로 하는 설문조사결과가 요구되며, 향후 연구에서 반영할 가치가 있다.
따라서 공급적정성 평가결과를 유의미하게 해석하기 위해서는 대상지에 대한 계획가의 경험적 지식이나, 공원시설계획의 큰 틀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이는 이 연구의 한계이며, 향후 지속적인 보완 연구가 필요한 부분임을 밝혀둔다.
예를 들어, ‘도시공원 및 녹지 등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 제 6조의 별표3에서 명시하는 공원 유형별 유치거리 기준을 적용하는 것을 고려해볼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실제로 대상지에 거주하는 주민들을 대상으로 표본 설문조사를 수행하여 조사된 공원 이용 시 실제 이동거리를 조사하여, 이를 실증적인 공급권역으로 적용하여 공급적정성을 평가할 수 있는 방안도 고려할 수 있다. 보다 현실적이고 의미 있는 평가결과를 산출하기 위해서는, 대상지에 대한 구체적인 추가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실제로 대상지에 거주하는 주민들을 대상으로 표본 설문조사를 수행하여 조사된 공원 이용 시 실제 이동거리를 조사하여, 이를 실증적인 공급권역으로 적용하여 공급적정성을 평가할 수 있는 방안도 고려할 수 있다. 보다 현실적이고 의미 있는 평가결과를 산출하기 위해서는, 대상지에 대한 구체적인 추가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이러한 지역들은 부산시 도시기본계획상의 공원녹지 계획과정에서 공원을 추가할 때 우선순위를 부여할 수 있는 지역임을 암시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제시한 공급적정성 평가결과를 통하여 확인된 공급부족 심화지역들은 계획과정에서 시설투자 우선순위 지역으로 분류하여, 시의 공공예산을 효율적으로 집행하기 위하여 필요한 계량적 의사결정 정보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그러나 상대적으로 녹지가 많은 지역도 공급부족으로 나타나 산지가 많은 부산의 특성을 고려하여 공원뿐만 아니라 녹지에 대한 공급수준도 함께 고려하는 것이 요구된다. 그리고 공원확충을 위한 현실적인 대안으로 국공유지 자투리땅을 활용하는 방안도 검토할 필요가 있다.
끝으로 본 연구에서 제시된 공급적정성 평가모형은 몇 가지 한계를 가지고 있어 향후 후속연구가 필요하다. 첫째, 본 모형의 계획공급량은 1인당 공급수준을 기준으로 인구수를 곱하여 산정하였는데, 여기서 1인당 공급수준은 정량적인 측면이 강하다는 점이다.
또한 지역마다 다양한 입장 차이를 보일 수 있다. 따라서 이상적인 공원 서비스 공급수준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대상지의 지역주민들을 대상으로 체계적인 설문조사 등을 통한 정성적 평가기준 마련을 위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이를 본 연구의 계획공급량을 구하기 위한 방법론과 유기적으로 결합하면, 계획공급량을 좀 더 현실적으로 산정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따라서 이상적인 공원 서비스 공급수준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대상지의 지역주민들을 대상으로 체계적인 설문조사 등을 통한 정성적 평가기준 마련을 위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이를 본 연구의 계획공급량을 구하기 위한 방법론과 유기적으로 결합하면, 계획공급량을 좀 더 현실적으로 산정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따라서 공급적정성 평가결과를 해석하는 과정은 대상지에 대한 계획가의 경험적 지식이나, 공원시설계획의 큰 틀을 바탕으로 주의가 필요하다. 현재로서는 절대적인 평가기준을 확립하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해 보이지만, 지자체별로 공원계획 시 참조할 수 있는 계획기준이나 조례 마련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한편 본 연구에서 제시한 공급적정성 평가과정은 방법론적 한계를 명확히 인식하고, 이에 대한 추가적인 보완 연구를 통하여, 공원 수요가 발생하는 곳에 시설이 적절하게 공급될 수 있도록 체계적이고 합리적인 공원계획 수립과정에서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도시가 제 기능을 발휘하고 건전한 발전을 하기 위해 필요한 것은?
도시가 제 기능을 발휘하고 건전한 발전을 하기 위해서는 도시기반시설이 적절하게 공급 되고 유지․관리되어야 한다. 도시기반시설은 도시활동의 기반을 형성하는 시설로 다양한 형태의 공공서비스를 제공하기 때문에 최적 공급 량을 산정하는 것은 도시계획에 있어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도시기반시설은 무엇을 제공하는가?
도시가 제 기능을 발휘하고 건전한 발전을 하기 위해서는 도시기반시설이 적절하게 공급 되고 유지․관리되어야 한다. 도시기반시설은 도시활동의 기반을 형성하는 시설로 다양한 형태의 공공서비스를 제공하기 때문에 최적 공급 량을 산정하는 것은 도시계획에 있어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기반시설의 적정 공급량을 산정하는 방법이 일정하지 않고 매우 복잡하여 계획의 명확성을 확보하기가 힘든 실정이다.
도시기반시설 계획의 명확성을 확보하기 힘든 이유는?
도시기반시설은 도시활동의 기반을 형성하는 시설로 다양한 형태의 공공서비스를 제공하기 때문에 최적 공급 량을 산정하는 것은 도시계획에 있어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기반시설의 적정 공급량을 산정하는 방법이 일정하지 않고 매우 복잡하여 계획의 명확성을 확보하기가 힘든 실정이다. 특히 도시의 핵심기반시설의 하나인 도시공원은 도시민들의 삶의 질을 향상시 키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적정수준의 공원 서비스를 누구나 이용할 수 있도록 공원기본계획을 수립해야 한다.
참고문헌 (10)
부산광역시. 도시공원현황-내부자료. 2008.
오규식, 정승현. 2005. GIS 분석에 의한 도시공원 분포의 적정성 평가. 국토계획 40:189-203.
이양재 외. 1995. 도시기반시설 수준의 평가와 공급기준설정에 관한 연구. 한국지역개발학회지 7(1):27-36.
이경주 외. 2009. 근린공원 입지계획지원을 위한 공급적정성 평가방법에 관한 연구. 국토연구 63:107-122.
이동현 외. 2009. 부산시 도시기반시설 공급수준 평가 및 확충방안에 관한 연구. 부산발전연구원.
Huff, D. L. 1963. "A probabilistic analysis of shopping cemter trade areas", Land Economics vol. 39. Wisconsin : American Economic Association pp81-90.
Morris, D. E. 2005. It's a sprawl world after all. Gabriola Island (CA) : New Society Publishers.
Murray, A.T., and D. Tong. 2007. "Coverage optimization in continuous space facility siting". International Journal of Geographic Information Science vol. 21, pp.757-776.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