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도시공원의 효율적 관리를 위한 환경적 특성을 고려한 근린공원의 유형분류
Classification of Neighborhood Parks Considering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for Effective Urban Park Management 원문보기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v.20 no.1, 2017년, pp.26 - 41  

이우성 (대구대학교 조경학과) ,  장갑수 (영남대학교 생명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대구광역시의 도시공원을 대상으로 환경특성을 고려한 공원의 유형을 분류하고, 공원 유형별 관리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연구대상 공원은 총 68개의 근린공원으로 설정하였으며, 공원 내 외부의 환경인자를 토대로 유형분류를 수행하였다. 공원의 유형분류 결과, 68개 공원이 총 5개의 유형으로 분류되었다. 평지시설-주거지인접형 공원에는 41개소가 분류되었으며, 산지자연-주거지인접형 공원에는 12개소가 포함되었다. 또한, 평지시설-상공업지인접형 공원에는 6개소, 평지시설-농지인접형 공원에는 3개소, 산지시설-농지인접형 공원에는 6개소의 공원이 분류되었다. 근린공원의 유형별 생태 및 이용적 특성 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평지시설-주거인접형 공원은 공원접근성이 우수하고, 공원 주변의 이용권 인구밀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산지자연-주거지인접형 공원은 공원 내 자연녹지의 존재하고 있어 식생활력이 높은 반면, 공원접근성은 낮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평지시설-상공업지인접형 공원은 식생활력도 및 녹지연결성이 매우 낮으며, 공원접근성과 이용권인구밀도는 높지 않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평지시설-농지인접형 공원은 식생활력도 및 녹지접근성 낮으며, 공원접근성은 매우 취약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산지자연-농지인접형 공원은 식생활력도 및 녹지연결성이 높은 유형의 특성을 가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상의 결과들은 향후 도시내 근린공원을 장기적인 관점에서 리모델링 또는 관리 계획을 마련코자 할 경우 효율적인 기초자료가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lassify parks by type and to propose management plans for each park type.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f urban parks in Daegu Metropolitan City were used to classify them into five categories. A total of 68 neighborhood parks were classified using their internal/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에서는 대구광역시의 68개 근린공원을 대상으로 GIS 및 통계적 분석기법을 활용한 정량적인 분석을 통해 공원의 유형을 분류하고자 한다. 또한, 근린공원 유형에 따른 생태 및 이용적 측면에서의 특성을 분석하여 도시공원의 바람직한 관리방안을 제언하고자 한다.
  • 또한, 아직까지 도시공원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유형분류 방법이 규정되어 있지 않으며, 유형별 체계적인 관리방안이 제시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도시공원의 유형을 효과적으로 분류하기 위해 도시공원의 내부 환경인자를 고려한 1차 유형분류, 외부 환경인자를 고려한 2차 유형분류, 1차 및 2차를 종합한 최종 유형분류를 수행하고자 하였다. 또한, 도시공원의 생태적 측면과 이용적 측면에서의 환경적 특성을 분석하여 도시공원 유형별 효율적인 관리방안을 도출하고자 하였다는 점에서 차별성을 가지고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대구광역시 자연환경의 특징은? 1㎢이며, 인구는 약 251만 명이 거주하고 있다(Daegu Metropolitan City, 2009a). 대구광역시의 자연환경을 살펴보면, 북동쪽의 팔공산(1,192m), 남쪽의 비슬산(1,084m)과 앞산(660m) 등이 환상으로 둘러싸고 있으며, 국가하천인 낙동강과 금호강, 지방하천인 신천, 팔거천, 동하천 등 29개의 우수한 수역이 도시를 흐르고 있다. 도시공원 현황을 살펴보면, 대구광역시 전역에 723개소의 도시공원이 계획되어 있으며, 계획 도시공원 면적은 85.
도시공원의 현재 실정은 어떠한가? , 2005; Seo, 2009). 그러나 도시 내 도시공원의 양은 현실적으로 부족한 실정이며, 주변환경을 고려하지 않은 법률적 측면에 의한 일률적 조성계획으로 인해 이용자들의 다양한 요구를 충족시키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Kim and Kim, 1992; Sung and Shin, 2005; Barbosa et al., 2007; Shin, 2011).
계층적 군집분석법에서 군집의 수는 무엇을 토대로 판단하는가? 한편, 계층적 군집분석법은 개별대상간의 유클리디안 거리(euclidean distance)를 기준으로 가까이 있는 대상으로부터 덴드로그램(dendrogram)을 그려 군집이 형성되는 방식을 가지고 있다. 이때 군집의 수는 덴드로그램을 토대로 판단하는 것이 가장 합리적인 것으로 제시되고 있다(Lee, 201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Barbosa, O., J.A. Tratalos, P.R. Armsworth, R.G. Davies, R.A. Fuller, P. Johnson, and K.J. Gaston. 2007. Who benefits from access to green space?: a case study from Sheffield, UK. Landscape and Urban Planning 83:187-195. 

  2. Choi, C.H., Y.S. Woo, and S.G. Jung. 2015. An analysis of locational characteristics and user behavior of neighborhood parks in central business district.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18(1):25-47 (최철현, 우영숙, 정성관, 2015. 중심상업지역근린 공원의공간적입지특성과이용행태분석. 한국지리정보학회지18(1):25-47). 

  3. Cha, J.E. 2005. A study on the reconstruction of neighborhood public facilities reflecting citizens'complex activities. Master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p.71 (차지은. 2005. 도시 구성원의 다중적 활동 상황을 반영한 근린공원시설 재구축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71쪽). 

  4. Choi, H.C. 2007. The methodology in social statistics. Nanam Publishing Company. p.538 (최현철. 2007. 사회통계방법론. 나남. 538쪽). 

  5. Choi, S.H. 2000. A study on improvement of related laws, regulations and ordinances to expand the area of city parks in Seoul. Master Thesis, Hanyang University. p.95 (최승호. 2000. 서울시 도시공원 확충을 위한 관련 제도개선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96쪽). 

  6. Daegu Metropolitan City. 2009a. Statistics annual report in 2009. (대구광역시. 2009a. 2009년 통계연보). 

  7. Daegu Metropolitan City. 2009b. The status of park and amusement park. (대구광역시. 2009b. 공원.유원지 현황). 

  8. Daegu Metropolitan City. 2014. Comprehensive development plan in Daegu. p.273 (대구광역시. 2014. 대구장기발전종합계획. 273쪽). 

  9. Eum, J.H., and Y.G. Lee. 2016. Analysis on green vulnerable area considering the catchment area of urban park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19(2):117-131 (엄정희, 이윤구. 2016. 도시공원유치거리를고려한녹지취약지역분석. 한국지리정보학회지19(2): 117-131). 

  10. Forman, R.T.T. and M. Godron. 1986. Landscape ecology. John Wiley and Sons, New York. p.640. 

  11. Kim, H.J., E.J. Kang, and J.H. Cho. 2010. An environment on management types by characteristics of urban parks.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38(5):21-30 (김효정, 강은지, 조중현. 2010. 도시공원 특성에 따른 관리유형의 평가. 한국조경학회 38(5):21-30). 

  12. Kim, S.B., and Y.S. Kim. 1992. The role of green space in metropolitan.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19(4):1-11 (김수봉, 김용수. 1992. 대도시 공원녹지의 역할에 관한 연구. 한국조경학회지 19(4):1-11). 

  13. Kim, Y.B. 1996. A study on the planning of neighborhood park in accordance with regional characteristics. Master Thesis, Konkuk University. p.63 (김영빈. 1996. 지역 특성에 따른 근린공원의 계획 방향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63쪽). 

  14. Konijnendijk, C.C., K. Nilsson, T.B. Randrup, and J. Schipperijn. 2005. Urban forests and trees: a reference book. Springer, Berlin. p.516. 

  15. Lee, H.Y. 2013. Data analysis using SPSS. Cheongram Publishing Company. p.415 (이훈영. 2013. SPSS를 이용한 데이터분석. 도서출판 청람. 415쪽). 

  16. Lee, W.G. 2011a. A study on the revitalization of children's parks by the transition of the land use in Daejeon. Master Thesis, Paichai University. p.123 (이우걸. 2011. 토지이용 특성에 따른 어린이 공원 이용방안에 관한 연구. 배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23쪽). 

  17. Lee, W.S. 2011b. The assessment of green environment and establishment of planning direction for the sustainable urban space. Ph.D. Thesis,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p.439 (이우성. 2011. 지속가능한 도시공간 조성을 위한 녹지환경 평가 및 계획방향 설정. 경북대학교 박사학위논문. 439쪽). 

  18. Lee, W.S. 2016. An integrated assessment of park-type green space considering functional characteristics in Daegu.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19(1):120-140 (이우성. 2016. 대구광역시공원형녹지의기능적특성을고려한종합평가. 한국지리정보학회지19(1):120-140). 

  19. Park, C.Y., K.C. Kwun, S.Y. Kang, and Y.S. Kim. 2003. Classification of types of urban parks in Daegu. Journal of Korea Planners Association 38(6):113-124 (박찬용, 권기찬, 강신용, 김용수. 2003. 대구광역시 도시근린공원의 유형분석. 국토계획 38(6):113-124). 

  20. Riess, W. 1986. Konzepte zum biotopverbund im arten-und biotopschutz programm bayern. Laufener Seminarbeitrag 10:102-115. 

  21. Seo, J.Y. 2009. A study on the spatial organization improvement of the urban park. Ph.D. Thesis, Sangmyung University. p.166 (서정영. 2009. 도시공원의 공간구성 개선에 관한 연구. 상명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66쪽). 

  22. Seoul Institute. 1996. A study on securement and construction of urban small parks. Research report. p.156 (서울연구원. 1996. 도시 소공원의 확보 및 조성방안. 연구보고서. 156쪽). 

  23. Shin, D.S. 2011. A study on behaviors in urban park by the location types. Master Thesis, Cheongju University. p.67 (신대섭. 2011. 도시공원의 유형별 이용행태에 관한 연구. 청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67쪽). 

  24. Sung, H.C., and J.Y. Shin. 2005. Strategies to improve park's accessibility in city: focused on Gyeonggi-Do region.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33(2):83-91 (성현찬, 신지영. 2005. 도시공원의 접근성 향상 방안 연구: 경기도 권역을 중심으로. 한국조경학회지 33(2):83-91). 

  25. Yoo, S.I. 2012.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park facilities in neighborhood. Master Thesis, Kongju National University. p.93 (유상임. 2012. 근린공원의 유형별 공원시설 특성에 관한 연구. 공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93쪽).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