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도시공원의 공간적 불균형 분석을 통한 공급적정성 평가
Evaluation of Supply Adequacy of The Urban Park by Spatial Imbalance Analysis 원문보기

한국조경학회지 =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v.39 no.4, 2011년, pp.18 - 27  

김형준 (경북대학교 대학원 조경학과) ,  정성관 (경북대학교 조경학과) ,  이우성 (텍사스A&M대학교 조경.도시계획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최근 환경친화적이고 지속가능한 도시 건설을 위한 도시공원 입지의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으며, 바람직한 도시공원 조성을 위해서는 공급적정성 평가와 입지 선정 방법에 대한 정확한 이해와 접근 방법이 필요하다. 그러나 현재까지 우리나라 도시공원의 공간적 불균형과 입지계획에 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대구광역시 수성구 황금동을 대상으로 도시공원의 공간적인 불균형을 평가하고 부족지역을 추정하였으며, 불균형 해결을 위한 정책적 제언을 하였다.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황금 1동과 2동의 도시공원 법적 요구량은 각각 943.08$m^2$/GRID, 380.61$m^2$/GRID로 나타났으며, 2개 근린공원과 4개 어린이공원으로부터 제공되는 총 서비스 제공량은 각각 406,730.80$m^2$, 157,086.40$m^2$로 분석되었다. 이를 토대로 황금동 전체의 공급적정면적을 평가한 결과, 법적 제공면적 이하의 도시공원을 제공받는 지역은 황금 1동이 12.3%, 황금 2동이 51.5%로 나타났다. 한편, 주거지역을 대상으로 도시공원의 공급적정성을 평가한 결과에서는 "매우 충족"한 지역이 황금 1동 20.5%, 황금 2동 5.4%로 나타난 반면, "매우 부족"한 지역은 황금 1동 27.6%, 황금 2동이 10.8%로 분석되며, 도시공원이 부족한 것으로 평가된 지역은 면적, 형태 등을 고려한 공원의 추가조성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이러한 공급적정성 평가 결과는 도시공원 업지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해결하기 위한 도구로써의 역할뿐만 아니라, 환경친화적이고 지속가능한 도시건설을 위한 공원기본계획의 기초자료로써 활용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Recently, the location of urban parks has become more important in terms of the construction of an environment-friendly, sustainable city. To build a refined and desirable urban park, it is necessary to have precise understanding on the evaluation of supply adequacy and selection method for its loc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외적으로 커지고 있다. 바람직한 도시공원의 입지를 위한 도시공원계획이 활성화되고 정책수단으로 활용되기 위해서는 공급적정성 평가와 입지 선정 방법에 대한 정확한 이해와 접근 방법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대구광역시 수성구 황금동을 대상으로 이용적 측면에서의 도시공원 공급적정성 평가를 통해 공간적인 불균형을 평가하고 공원 부족지역을 추정하여, 도시공원 입지계획을 위한 정책적 제언을 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 하여야 한다고 판단된다. 이에 본 연구는 대구광역시 수성구 황금동을 대상으로 GIS 및 중력모형을 활용한 도시공원 공급적정성 평가를 통해 도시공원의 입지선정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나아가 공간적 불균형 해결을 위한 정책적 제언을 제시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이에 본 연구에서는 1인당 도시공원 면적을 &!?로 설정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도시공원을 이용하는 수요인구는 연령이나 성별에 관계없이 전체 인구를 대상으로 하였다. 여기서 인구 분포는 행정구역의 최소단위인 행정동 단위로 산정하는 경우가 많으나, 행정동별 인구의 경우 공간상 분포 형태를 명확하게 판단할 수 없기 때문에, 도시민이 실제 거주하고 있는 주거지역 2)만을 추출하고, 이 지역 내에는 인구가 동일하게 분포하는 것으로 가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강상섭(2000) 환경친화적인 희망의 도시. 녹색의왕 건설. 도시문제 36(377): 67-73. 

  2. 고재곤, 김창호(2000) 합리적인 체육시설 설치를 위한 지리정보시스템 적용의 사례분석. 한국체육학회지 39(3): 93-100. 

  3. 권영아, 이현영(2001) 도시 녹지와 그 주변 기온의 공간적 분포: 서울특별시 종로구 창경궁, 창덕궁, 종묘 주변을 사례로. 대한지리학회지 36(2): 126-140. 

  4. 김수봉, 류연수, 이정연(2007) 공단지역과 인접한 주거지역 주민들의 선호 공원녹지 분석: 대구광역시 서구를 중심으로. 한국환경과학회지 16(1): 95-102. 

  5. 김용주, 김규호(2007) 헤도닉 모형 이용한 都市餘暇空間의 價値推定: 대구광역시 公園綠地를 중심으로, 한국관광학회지 31(1): 265-286. 

  6. 김천권(1998) 신도시 개발정책에 관한 연구: 인천 송도 신도시를 중심으로. 한국정책학회보 7(2): 163-193. 

  7. 김형준(2010) 도시공원 입지계획을 위한 불균형 및 공급적정성 평가. 경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서울특별시(2007) 서울특별시 2007년 환경백서. 

  9. 성현찬, 신지영(2005) 도시공원의 접근성 향상 방안 연구: 경기도 권역을 중심으로. 한국조경학회지 33(2): 83-91. 

  10. 신지영(2009) 도시공원 분포의 형평성 분석에 관한 연구: 성남시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환경보건기술학회지 12(2): 40-49. 

  11. 안동만, 김명수(2003) 환경친화적인 도시공원녹지계획 연구: 생물서식처 연결성 향상을 위한 서울특별시 녹지조성 방안을 중심으로. 한국조경학회지 31(1): 34-41. 

  12. 오규식(1999) 시민 삷속에 살아있는 공원. 문화도시 문화복지 55: 36-38. 

  13. 오규식, 정승현(2005) GIS 분석에 의한 도시공원 분포의 적정성 평가. 국토계획 40(3): 189-203. 

  14. 이경주, 임은선(2009) 근린공원 입지계획지원을 위한 공급적정성 평가 방법에 관한 연구. 국토연구 63: 107-122. 

  15. 이동현, 이경주(2010) 부산시 도시공원 공급적정성 평가에 관한 연구.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3(1):164-172. 

  16. 이시영, 심준영, 장민, 허준(2008) 녹지기반성 분석에 의한 보전녹지와 중점관리 지역 설정에 관한 연구: 대전광역시를 대상으로. 한국조경학회지 36(4): 65-73. 

  17. 이우성(2006) 도시의 지속가능성 평가를 위한 통합적 지표 개발 및 적용. 경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8. 이우성, 정성관, 박경훈, 김경태(2010) 친환경적 공간계획을 위한 도시의 열환경 분석.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3(1): 142-154. 

  19. 이우성(2010) 지속가능한 도시공간 조성을 위한 녹지환경 평가 및 계획방향 설정. 경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 인천시(2007) 인천시 2007년 환경백서. 

  21. 정성관, 이우성(2008) 환경도시 건설을 위한 도시녹지의 관리권역 설정: 창원시를 대상으로. 한국조경학회지 35(6): 1-10. 

  22. 조현길, 조용현, 안태원(2003) 도시녹지의 대기환경개선 효과: 서울특별시 중구를 중심으로. 한국조경학회지 31(3): 114-121. 

  23. 차재규, 정응호, 류지원, 김대욱(2007) 도시열섬현상 완화를 위한 녹지 네트워크 및 바람길 구축.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0(1): 102-112. 

  24. 최내영(2009) 기반시설부담구역 지정을 위한 격자분석방법 연구: 산업형 개발유형을 중심으로. 한국도시지리학회지 12(2): 65-75. 

  25. 최석주(1996) 도시공원의 속성과 문제점. 한국지역지리학회지 2(2): 205-217. 

  26.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2002) 쾌적한 도시환경을 위한 녹지확보방안.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정책과제 연구보고서. 

  27. 허현주와 김범수(2005) 아파트 거주민의 의식평가를 통한 도시 근린공원의 존재효과에 대한 연구. 녹지환경학회지 1(2): 32-37. 

  28. 홍성언, 박수홍(2003) GIS와 AHP 의사결정 방법을 이용한 도시공원의 입지 분석. 대한지리학회지 38(5): 849-860. 

  29. Gallo, K. P., A. L. McNAB, T. R. Karl, J. F. Brown, J. J. Hood and J. D. Tarpley(1993) The use of a vegetation index for assessment of the urban heat island effect. International Journal of Remote Sensing 14(11): 2223-2230. 

  30. Maantay, J.(2002) Zoning law, health and environmental justice; What's the connection? Journal of Law, Medicine & Ethics 30: 572-593. 

  31. Walker, C.(2004) The Public Value of Urban Parks. The Urban Institute.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