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시중에 유통되고 있는 환(丸)형태 일반가공식품 18종 총 52건을 microwave로 습식분해 후 ICP-MS 및 Mercury Analyzer를 이용하여 납, 카드뮴, 크롬, 구리, 수은 잔류량을 분석한 결과, 평균 0.421(0.032~1.630), 0.157(0.011~0.515), 1.033(0.112~9.933), 6.923(1.333~16.755), 0.010(0.001~0.088) mg/kg이 검출되었다. 사용된 부위별 납 검출 수준을 살펴보면 잎(Herba, 1.032 mg/kg)이 다른 부위에 비해서 유의적인 수준으로 높았으며, 열매(fructus, 0.222 mg/kg), 뿌리줄기(Rhizoma, 0.179), 씨(semen, 0.153 mg/kg) 부위의 납 함량이 유의적으로 낮았다(p<0.05). 카드뮴 또한 해조류(algae, 0.304 mg/kg), 잎(0.298 mg/kg)을 사용한 제품에서 유의적인 수준으로 높게 잔류하였다(p<0.05). 또한 카드뮴은 다시마를 원료로 한 환제품 총 4건 중 2건(0.431, 0.370 mg/kg)에서, 인진쑥환 총 7건 중 5건(0.315~0.515 mg/kg)에서, 당귀환 1건(0.338 mg/kg), 표고버섯환 1건(0.394 mg/kg)에서 한약재 기준인 0.3 mg/kg을 초과하는 수준으로 검출되었다. 따라서 환(丸)형태 일반가공식품에 대한 카드뮴의 조속한 기준설정 및 관리가 필요한 실정이다. 대부분의 중금속 잔류량이 높았던 잎(Herba)의 중금속별 평균 함량은 Cu 6.480 mg/kg> Cr 2.291 mg/kg> Pb 1.032 mg/kg> Cd 0.298 mg/kg> Hg 0.016 mg/kg 순서로 나타났다. 환(丸)형태 일반가공식품 섭취 시 중금속에 대한 안전성 평가를 위해 제품을 통한 중금속의 주간섭취량과 FAO/WHO에서 제시하는 잠정주간섭취허용량(PTWI), 1인 1일 최대섭취허용량(PMTDI)과 미국환경보호청(U.S. EPA)의 만성경구섭취 참고용량(RfD)과 비교하여 %PTWI를 구하였다. 금속별 주간 섭취량과 %PTWI는 납, 카드뮴, 크롬, 구리, 수은 각각 평균 0.280(0.018~1.272), 0.113(0.002~0.648), 0.630(0.053~4.975), 6.366(0.289~43.217), 0.011(0.000~0.210) ${\mu}g/kg$ bw/week이었으며, %PTWI는 1.112(0.072~5.088), 1.614(0.029~9.257), 3.000(0.252~23.690), 0.182(0.008~1.235), 0.220(0.000~0.420)%로 환(丸)형태 일반가공식품을 통한 중금속 섭취량은 안전한 수준으로 판단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some heavy metals (Pb, Cd, Cr, Cu, Hg) in 52 commercial herbal pills used as general processed food, to identify weekly heavy metal intakes from herbal pills and to evaluate their potential health risks. The samples were digested with a microwave and det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중금속의 유형은 인체에 유해한 영향을 미치고, 체내 축적성이 강하여 장기간에 걸쳐 체내에 축적되면 급·만성질환의 건강장해를 일으킬 수도 있는 Hg, Cd, Cr, Pb 등의 유독금속과 발암성 및 돌연변이성의 측면에서 유전자에 영향을 미치는 Cd, Mn, Cr 등의 유전독성 금속이 있고, 인체에 필수적인 금속이지만 과량 노출 시 위해를 입힐 수 있는 가능성을 가진 Cu, Zn 등이 있다(28-30). 그러므로 본 연구는 시중에 유통되고 있는 환(丸)형태의 일반가공식품의 중금속 함량을 조사하고 환(丸)제품을 통한 중금속 섭취량의 위해도를 평가함으로써, 질병예방 및 건강증진을 목적으로 유통되고 있는 환(丸)형태 규격 외 일반가공식품에 대한 중금속 규격설정을 제안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3)Values are not certified and are given for information only. 4)National Research Council Canada.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중금속의 유형 중 Hg, Cd, Cr, Pb 등은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또한 중금속의 유형은 인체에 유해한 영향을 미치고, 체내 축적성이 강하여 장기간에 걸쳐 체내에 축적되면 급·만성질환의 건강장해를 일으킬 수도 있는 Hg, Cd, Cr, Pb 등의 유독금속과 발암성 및 돌연변이성의 측면에서 유전자에 영향을 미치는 Cd, Mn, Cr 등의 유전독성 금속이 있고, 인체에 필수적인 금속이지만 과량 노출 시 위해를 입힐 수 있는 가능성을 가진 Cu, Zn 등이 있다(28-30). 그러므로 본 연구는 시중에 유통되고 있는 환(丸)형태의 일반가공식품의 중금속 함량을 조사하고 환(丸)제품을 통한 중금속 섭취량의 위해도를 평가함으로써, 질병예방 및 건강증진을 목적으로 유통되고 있는 환(丸)형태 규격 외 일반가공식품에 대한 중금속 규격설정을 제안하고자 한다.
환(丸)형태 일반가공식품 섭취 시 중금속에 대한 안전성 평가를 위해 제품을 통한 중금속의 주간섭취량과 FAO/WHO에서 제시하는 잠정주간섭취허용량(PTWI), 1인 1일 최대섭취허용량(PMTDI)과 미국환경보호청(U.S. EPA)의 만성경구섭취 참고용량(RfD)과 비교하여 %PTWI를 구한 결과는 무엇인가? EPA)의 만성경구섭취 참고용량(RfD)과 비교하여 %PTWI를 구하였다. 금속별 주간 섭취량과 %PTWI는 납, 카드뮴, 크롬, 구리, 수은 각각 평균 0.280(0.018~1.272), 0.113(0.002~0.648), 0.630(0.053~4.975), 6.366(0.289~43.217), 0.011(0.000~0.210) μg/kg bw/week 이었으며, %PTWI는 1.112(0.072~5.088), 1.614(0.029~9.257), 3.000(0.252~23.690), 0.182(0.008~1.235), 0.220(0.000~0.420)%로 환(丸)형태 일반가공식품을 통한 중금속 섭취량은 안전한 수준으로 판단되었다.
중금속의 유형 중에서 인체에 필수적인 금속이지만 과량 노출 시 위해를 입힐 수 있는 가능성을 가진 중금속은 어떤 것이 있는가? 또한 중금속의 유형은 인체에 유해한 영향을 미치고, 체내 축적성이 강하여 장기간에 걸쳐 체내에 축적되면 급·만성질환의 건강장해를 일으킬 수도 있는 Hg, Cd, Cr, Pb 등의 유독금속과 발암성 및 돌연변이성의 측면에서 유전자에 영향을 미치는 Cd, Mn, Cr 등의 유전독성 금속이 있고, 인체에 필수적인 금속이지만 과량 노출 시 위해를 입힐 수 있는 가능성을 가진 Cu, Zn 등이 있다(28-30). 그러므로 본 연구는 시중에 유통되고 있는 환(丸)형태의 일반가공식품의 중금속 함량을 조사하고 환(丸)제품을 통한 중금속 섭취량의 위해도를 평가함으로써, 질병예방 및 건강증진을 목적으로 유통되고 있는 환(丸)형태 규격 외 일반가공식품에 대한 중금속 규격설정을 제안하고자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4)

  1.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06. The tendency of research and development of internal and external natural source remedies. The second: Plan for promotion of natural medicine research & development. p 1-20. 

  2. Park BG, Lee HS, Jung SH, Koo YC, Hong CO, Lee SJ, 

  3. Kim JS, Hwang SW, Kim JM, Ma JY. 2001. Monitoring research for heavy metals as endocrine disruptors in Sibjeondaebotang and its ingredients herbal medicines (II). 

  4. Massaro EJ. 1990. Handbook of Human Toxicology. Boca Raton Press, New York, USA. p 149-188. 

  5. Ten KH, King LD, Morris HD. 1971. Complex reaction of zinc with organic matter extracted from sewage sludge. 

  6. Pstruzzelli G, Guid G, Lubrano L. 1978. Organic matter as an influencing factor on copper and cadmium adsorption by soil. Water Air Soil Pollut 9: 263-269. 

  7. Rhee SJ, Kim SO, Choe WK. 1992. Effect of cadmium dose injection on peroxidative damage in rat liver. J Korean Soc 

  8. Jung SY, Rhee SJ, Yang JA. 1996. Effect of dietary vitamin E levels in lipid peroxidation and enzyme activities of antioxidative system in brain of cadmium administered rats. 

  9. Park YC, Lee SD, Park HM, Kim JB. 2006. Urine and hair metal concentrations in subjects with long term intake of herbal medicine. J Toxicol Pub Health 22: 47-54. 

  10. Ernst E, Coon J. 2001. Heavy metals in traditional Chinese medicines: a systematic review. Clin Pharmacol Ther 70: 

  11. Caldas ED, Machado LL. 2004. Cadmium, mercury and lead in medicinal herbs in Brazil. Food Chem Toxicol 42: 599-603. 

  12. Kang SH, Lee SS, Cho SY, Chung YS. 2002. Elemental analysis of herbal medicine, foundry air and hair for the study of human surroundings. Kor J Env Hlth Soc 28: 

  13. Hasegawa S, Nakayama K, Iwakiri K, An E, Gomi S, Dan 

  14. Cheng TJ, Wong RH, Lin YP, Hwang YH, Horng JJ, Wang 

  15. Barthwal J, Nair S, Kakkar P. 2008. Heavy metal accumulation in medicinal plants collected from environmentally different sites. Kor J Env Hlth Soc 21: 319-324. 

  16. Jung RS, Sin DW, Sim Y, Lee JH, Kim SE, Joo IS, Kang 

  17. Jung RS, Sin DW, Lee JH, Kim SE, Joo IS, Kang SK, Heo 

  18. Cho JH, Kim DH, Seong RS, Oh MH, Kang IH, Shim YH, 

  19. Hong YJ, Kwak JE, Park WH, Hwang YS, Kim EJ, Park 

  20. Kwak JE, Shin Y, Han CH, Hwang YS, Park AS, Kim DG, 

  21. Han EJ, Kim DG, Han CH, Kim OH, Kwak JE, Jung SJ, 

  22. Lee SD, Park HM, Lee JC, Kook YB. 2003. Concentration of metal in herbal drugs-in crude, remnant after boiling and decoction of herbal drugs-. J Korean Oriental Med 

  23. Seo CS, Huang DS, Lee JK, Ha HK, Chun JM, Um YR, 

  24. Park MK. 2007. Concentration of heavy metals in Sagunjatang, decoction and its ingredient herbal medicines. J 

  25. Lee JY, Lee SD. 2002. Comparison of blood metal concentration in Ohjeok-san (Wuji-san) treated rats-dose-response 

  26. Buettner C, Mukamal KJ, Gardiner P, Davis RB, Phillips 

  27. Park YC, Lee SD. 2009. Cross-sectional study for blood metal concentration in patients with herbal medicine intake. 

  28. WHO. 1997. Lead (Environmental Health Criteria 3). World Health Organization. p 44-54. 

  29. Reilly C. 1980. Metal Contamination of Food. Applied Science Publisher Ltd., London, UK. p 119-122. 

  30. Reilly C. 1980. Metal Contamination of Food. 2nd ed. Elsevier Science Publisher Ltd., London, UK. p 95-98. 

  31. KFDA. 2008. Korea Food Code .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Munyoungsa, Seoul, Korea. p 10-6-11. 

  32. Miler JC, Miller JN. 1988. Statistics for analytical chemistry. 2nd ed. Ellis Horwood Ltd., Chichester, England. 

  33. WHO. 1998. Quality control methods for medicinal plant materials. WHO, Geneva, Switzerland. 

  34.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2005. The comprehension of endocrine disruptors. http://www.nier.go.kr. 

  35. Kim HY, Kim JI, Kim JC, Kim JC, Park JE, Lee KJ, Kim 

  36. Yim OK, Han EJ, Chung JY, Park KS, Kang IH, Kang SJ, 

  37. Chung MJ, Shin JH, Lee SJ, Hong SK, Kang HJ, Sung NJ. 

  38. Kim DG, Kim BS, Han EJ, Han CH, Kim OH, Choi BH, 

  39. Kim MH, Kim JS, Sho YS, Chung SY, Lee JO. 2004. Contents of toxic metals in fruits available on Korean markets. 

  40. Ha DC, Ryu GH. 2005. Chemical components of red, white and extruded root ginseng. J Korean Soc Food Sci Nutr 

  41. Seo CS, Huang DS, Lee JK, Ha HK, Chun JM. 2009. Concentration of heavy metals, residual pesticides and sulfur dioxide of before/after decoction. J Sasang Constitutional 

  42. Friberg L, Nordberg GF. 1973. A toxicological and epidemiological appraisal. In Mercury, Mercurials and Mercaptans. Miller MW, Clarson TW, eds. Charles C. Thomas, Springfield, Illinois, USA. p 5. 

  43. Joint FAO/WHO Expert Committee on Food Additives (JECFA). 2000. Safety Evaluation of Certain Food Additives and Contaminants. WHO Food Additives Series 44. International Programme on Chemical Safety and WHO, Geneva. p 273-391. 

  44. FAO. 2003. "Summary of evaluations performed by the joint FAO/WHO Expert Committee on Food Additives (JECFA)".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