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해조류와 해조류가공품의 중금속 오염실태 및 위해성평가
A Study on Heavy Metal Contamination and Risk Assessment of Seaweed and Seaweed Products 원문보기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Journal of food hygiene and safety, v.34 no.5, 2019년, pp.447 - 453  

이지연 (경기도보건환경연구원 식품분석팀) ,  이명진 (경기도보건환경연구원 식품분석팀) ,  정일형 (경기도보건환경연구원 식품분석팀) ,  조영선 (경기도보건환경연구원 식품분석팀) ,  성진희 (경기도보건환경연구원 식품분석팀) ,  백은진 (경기도보건환경연구원 식품분석팀) ,  이은빈 (경기도보건환경연구원 식품분석팀) ,  김혜진 (경기도보건환경연구원 식품분석팀) ,  윤미혜 (경기도보건환경연구원 식품분석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2018년 경기도내 대형마트, 온라인에서 유통 중인 해조류 및 해조류가공품 80건을 대상으로 중금속 4종(납, 카드뮴, 비소, 수은)의 오염도를 모니터링하고, 해조류 섭취에 따른 위해도를 평가하였다. 현재 해조류에 설정된 중금속 기준은 납의 경우 미역(미역귀 포함)에만 0.5 mg/kg 이하로 설정되어 있으며, 카드뮴은 김(조미김 포함)과 미역(미역귀 포함)에 0.3 mg/kg 이하로 설정되어 있다. 검사 결과 기준이 설정된 제품은 모두 기준치 이내로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중금속 중 특히 비소의 경우 대부분의 해조류에서 대체로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으며, 유기비소와 달리 독성이 강한 것으로 알려진 무기비소의 함량이 다소 높은 톳과 모자반을 함유한 가공식품에 무기비소 기준을 신설하여 2018년부터 시행중에 있다. 본 연구에서 진행된 톳 제품은 시행일 전에 제조되어 기준 적용 대상은 아니었지만, 건조 톳 8건 중 4건은 수산물, 4건은 기타수산물가공품으로 분류되어 있어 명확한 유형 분류 기준이 먼저 필요할 것이다. 노출량에 따른 위해도는 안전한 수준으로 나타났으나, 현재 우리나라에서 섭취하는 해조류의 종류에 비해 중금속 기준이 설정이 되어있는 해조류는 미비하기 때문에, 본 연구 결과는 향후 해조류의 중금속 관리 기준 설정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the contamination of 4 types of heavy metals (lead, cadmium, arsenic, and mercury) was monitored in 80 seaweeds and their processed products, and a food safety assessment was also carried out for these heavy metals. Lead, cadmium and arsenic were analyzed by ICP-OES and mercury was a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주요 식용 해조류와 해조류를 원료로 하는 해조류가공품의 중금속(납, 카드뮴, 비소, 수은) 오염 실태를 조사하고, 노출량 평가를 통해 중금속 위해 수준을 파악하여 해조류의 중금속 관리 기준 설정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환경오염으로 생기는 해조류의 중금속의 특징은 무엇인가? 그러나 산업이 급속하게 발전하면서 생활하수, 산업폐수, 기름유출 등의 문제로 환경오염이 가속화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발생하는 문제 중 특히 중금속의 경우 자연에서 분해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해수 중 중금속의 1차 농축은 강한 흡착력을 나타내는 해조류와 플랑크톤에 많이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11-15)식용으로 섭취되는 해조류 및 그가공품에서 중금속 오염이 문제가 될 수 있다.
해조류의 기능성은 무엇인가? 해조류는 칼슘, 마그네슘, 철, 아연, 요오드 등 무기질이 풍부할 뿐만 아니라 식이섬유 함량 또한 높아 혈관 내의 콜레스테롤 침착 방지 및 항산화 효과 등을 통해 각종 성인병을 예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최근에는 건강식품으로도 주목받고 있다1-5). 지금까지 국내에서는 약 500여종이 발견되어 그 중 약 50여종이 식용으로 섭취되고 있으며, 특히 우리나라를 비롯한 아시아 지역에서 섭취량이 많다6) .
현재 해조류에 설정된 중금속의 기준은? 본 연구는 2018년 경기도내 대형마트, 온라인에서 유통 중인 해조류 및 해조류가공품 80건을 대상으로 중금속 4종(납, 카드뮴, 비소, 수은)의 오염도를 모니터링하고, 해조류 섭취에 따른 위해도를 평가하였다. 현재 해조류에 설정된 중금속 기준은 납의 경우 미역(미역귀 포함)에만 0.5 mg/kg 이하로 설정되어 있으며, 카드뮴은 김(조미김 포함)과 미역(미역귀 포함)에 0.3 mg/kg 이하로 설정되어 있다. 검사 결과 기준이 설정된 제품은 모두 기준치 이내로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8)

  1. Cho, D.M., Kim, D.S., Lee, D.S., Kim, H.R., Pyeun, J.H., Trace Components and Functional Saccharides in Seaweed-1 Changes in proximate Composition and Trace Elements According to the Harvest Season and Places. Korean. J. Fish. Aquat. Sci., 28(1), 49-59 (1995). 

  2. Im, Y.G., Choi, J.S., Kim, D.S., Mineral Contents of Edible Seaweeds Collected from Gijang and Wando in Korea. Korean. J. Fish. Aquat. Sci., 39(1), 16-22 (2006). 

  3. Do, J.R., Kim, E.M., Koo, J.G., Jo, K.S., Dietary Fiber Contents of Marine Algae and Extraction Condition of the Fiber. Korean. J. Fish. Aquat. Sci., 30(2), 291-296 (1997). 

  4. Oishi, K., Science of Sea Weeds. pp. 201, Asakurasyoten, Tokyo (1993). 

  5. Mok, J.S., Park, H.Y., Kim, J.H., Trace Metal Contents and Safety Evaluation of Major Edible Seaweeds from Korean Coast. J. Korean Soc. Food Sci. Nutr., 34(9), 1464-1470 (2005). 

  6. Kim, D.G., Park, J.B., Lee, T.K., Analysis of Biochemical Compositions and Nutritive Values of Six Species of Seaweeds. J. Life. Sci., 23(8), 1004-1009 (2013). 

  7. National Statistical Office., KOSIS(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Available from: http://kosis.kr. Accessed Dec. 17, 2018. 

  8.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6 National Health Statistics - The 7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1st Year) (2017). 

  9. Park, Y.K., Kang, S.G., Jung, S.T., Kim, D.H., Kim, S.J., Pak, J.I., Kim, C.H., Rhim, J.W., Kim, J.M., Development of Value-Added Product Using Seaweeds. J. Mar. Biosci. Biotechnol., 2(3), 133-141 (2007). 

  10. Lee, S.D., Lee, Y.K., Kim, M.S., Park, S.K., Kim, Y.S., Chae, Y.Z., The Content and Risk Assessment of Heavy Metals in Herbal Pills. J. Food Hyg. Saf., 27(4), 375-387 (2012). 

  11. Yang, W.H., Lee, H.J., Lee, S.Y., Kim, S.G., Kim, G.B., Heavy Metal Contents and Food Safety Assessment of Processed Seaweeds and Cultured Lavers. J. Korean Soc. Mar. Environ. Energy., 19(3), 203-210 (2016). 

  12. Conti, M.E., Cecchtti, G., A biomonitoring study : Trace metals in algae and molluscs from Tyrrhenian coastal areas. Environ Res., 93(1), 99-112 (2003). 

  13. Fuge, R., James, K.H., Trace metal concentrations in brown seaweeds, Cardigan Bay, Wales. Mar. Chem., 1, 281-293 (1973). 

  14. Reilly, C., 2002. Metal contamination of food. 3nd Ed. Elsevier Applied Science. London, UK, pp. 12-16. 

  15. Hwang, Y.O., Kim, M.S., Park, S.G., Kim, S.J., Contents of lead, mercury, and cadmium in seaweeds collected in coastal area of Korea. Anal Sci. Technol., 22(4), 336-344 (2007). 

  16. Reilly, C., 1991. Metal contamination of food. Applied Science Publish, London, UK. 

  17. Lee, J.H., Seo, J.W., An, E.S., Kuk, J.H., Park, J.W., Bae, M.S., Park, S.W., Yoo, M.S., Monitoring of Heavy Metals in Fruits in Korea. Korean J. Food Sci. Technol., 43(2), 230-234 (2011). 

  18. Hwang, Y.O., Kim, S.U., Ryu, S.H., Ham, H.J., Park, G.Y., Park, S.G., Contents of mercury, lead, cadmium, and arsenic in dried marine products. Anal Sci. Technol., 22(4), 336-344 (2009). 

  19. Jeong, J.Y., Jung, Y.K., Hwang, M.S., Jung, K.K., Yoon, H.J., Prioritizing Management Ranking for Hazardous Chemicals Reflecting Aggregate Exposure. J. Food Hyg. Saf., 27(4), 349-355 (2012). 

  20.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MFDS)., Available from: https://www.mfds.go.kr/brd/m_207/view.do?seq6042&srchFr&srchTo&srchWord&srchTp&itm_seq_10&itm_seq_20&multi_itm_seq0&company_cd&company_nm&page93. Accessed Mar. 6, 2019. 

  21.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MFDS)., Available from: https://www.mfds.go.kr/brd/m_207/view.do?seq13810&srchFr&srchTo&srchWord&srchTp&itm_seq_10&itm_seq_20&multi_itm_seq0&company_cd&company_nm&page21. Accessed Mar. 6, 2019. 

  22.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MFDS)., Available from: https://www.mfds.go.kr/brd/m_207/view.do?seq14340&srchFr&srchTo&srchWord&srchTp&itm_seq_10&itm_seq_20&multi_itm_seq0&company_cd&company_nm&page9. Accessed Mar. 6, 2019. 

  23.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Food and Rural Comprehensive Information System. Available from: http://koreanfood.rda.go.kr. Accessed Mar. 2, 2019. 

  24. ICH Steering Committee., ICH harmonised tripartite guideline - Validation of Analytical Procedures: Text and Methodology Q2(R1). pp. 11-12 (2005). 

  25.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6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Available from: http://knhanes.cdc.go.kr. Accessed Jan. 8, 2019. 

  26. JECFA (Joint FAO/WHO Expert Committee on Food Additives)., Summary and conclusions of seventy-third meeting (JECFA/73/sc). pp. 12-13 Geneva, Switzerland (2010). 

  27. JECFA (Joint FAO/WHO Expert Committee on Food Additives)., Summary and conclusions of seventy-second meeting (JECFA/72/sc). pp. 2-4, Geneva, Switzerland (2010). 

  28. WHO(World Health Organization)., Specifications for the identity and purity of food additives and their toxicological evaluation, some emulsifiers and stabilizers and certain other substances. (Tenth report of the Joint FAO-WHO Expert Committee on Food Additives). WHO Technical Report Series, No. 373, pp. 14-15, Geneva, Switzerland (1967). 

  29. Lee, J.O., analysis report; Inorganic and organic arsenic in food. Korea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Information (2011). 

  30. Yang, S.H., Park, J.S., Cho, M.J., Choi, H., Risk Analysis of Inorganic Arsenic in Foods. J. Food Hyg. Saf., 31(4), 227-249 (2016). 

  31. Ryu, K.Y., Shim, S.L., Hwang, I.M., Jung, M.S., Jun, S.N., Seo, H.Y., Park, J.S., Kim, H.Y., Om, A.S., Park, K.S., Kim, K.S., Arsenic Speciation and Risk Assesment of Hijiki (Hizikia fusiforme) by HPLC-ICP-MS. Korean J. Food Sci. Technol., 41(1), 1-6 (2009). 

  32.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MFDS)., Available from: https://www.mfds.go.kr/brd/m_209/view.do?seq40039&srchFr&srchTo&srchWord&srchTp&itm_seq_10&itm_seq_20&multi_itm_seq0&company_cd&company_nm&page31. Accessed Apr. 2, 2019. 

  33.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MFDS)., Available from: https://www.mfds.go.kr/brd/m_207/view.do?seq14252&srchFr&srchTo&srchWord&srchTp&itm_seq_10&itm_seq_20&multi_itm_seq0&company_cd&company_nm&page16. Accessed Apr. 2, 2019. 

  34. Gnassia-Braelli, M., Lemee, R., Pesando, D., Romeo, M., Heavy metal distribution in Caulerpa taxifolia from the north-western Mediterranean. Mar. Pollut. Bull., 30, 749-755 (1995). 

  35. Kim, J.H., Mok, J.S. Park, H.Y., Trace Metal Contents in Seaweeds from Korean Coastal Area. J. Korean Soc. Food Sci. Nutr., 34(7), 1041-1051 (2005). 

  36. Ahn, S.H., Influence on spectrum interference of coexistence arsenic during analysis of cadmium in the soil using the ICP-OES.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master's thesis (2015). 

  37. Son, K.T., Kwon, J.Y., Jo, M.R., Choi, W.S., Kang, S.R., Ha, N.Y., Shin, J.W., Park, K., Kim, J.H., Heavy Metals (Hg, Pb, Cd) Content and Risk Assessment of Commercial Dried Laver Porphyra sp. Korean J. Fish. Aquat. Sci., 45(5), 454-459 (2012). 

  38. Chung, S.Y., Kim, M.H., Sho, Y.S., Won, K.P., Hong, M.K., Trace Metal Contents in Vegetables and Their Safety Evaluation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0(1), 32-36 (200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