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돈분 슬러리 성상에 따른 최적 바이오가스 회수
Optimum Recovery of Biogas from Pig Slurry with Different Compositions 원문보기

한국환경농학회지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agriculture, v.29 no.2, 2010년, pp.197 - 205  

박우균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  전항배 (충북대학교 환경공학과) ,  권순익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  채규정 (코오롱건설 기술연구소) ,  박노백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돈분 슬러리를 이용한 혐기성 소화과정에서 유기물 농도 및 식종슬러지의 식종비율, 소화조의 혼합강도 등의 최적 실험조건을 도출하고, 돼지의 성장에 따른 사료 급여 특성과 분뇨의 성상이 바이오가스 발생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였다. 식종슬러지 비율 50%와 TS 농도 1% 수준에서 메탄함량은 45%이었고, 유기물 함량이 3~7 %로 증가할수록 메탄가스 함량도 증가되었다. 반응조의 혼합강도에 따른 총 누적가스 발생량은 식종슬러지의 식종비율에 따른 영향은 관찰되지 않았고, TS 농도 3%와 5%에서 혼합강도를 증가시켰을 때(80 $\rightarrow$ 160 rpm) 바이오가스 발생량도 증가되었다. 돈분폐수의 혐기소화 실험시 바이오가스를 회수하고자 하는 최적의 운전 조건은 투입되는 TS 농도 3~5% 정도의 유기물 농도와 50% 수준의 식종슬러지의 식종비율 그리고 반응조의 적절한 교반강도(120 rpm)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돈분뇨 종류에 따른 가스발생량은 분만돈 분뇨의 바이오 가스 발생량이 높았고, gas 발생의 peak(20일)도 짧게 나타나 분해율이 가장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돼지의 사육 및 소비 형태에 따라 돼지의 사육 환경이 변화되며, 투입되는 사료의 급여 특성도 달라져 바이오가스 발생 특성도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optimum conditions for efficient methane production through anaerobic digestion of pig waste slurry. The examined parameters were organic matter content of the pig slurry, the ratio of seed sludge to pig slurry, and stirring intensity of the digestion rea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혐기성 소화과정에서 반응조내의 적절한 혼합은 유입되는 돈분 슬러리와 미생물과의 접촉을 원활하게 하고 반응조 내부의 균일한 온도를 유지시키며, 스컴(scum) 생성을 방지하며 고형물의 침전으로 인한 사영역(dead space) 형성을 방지할 수 있다(Henze and Harrenmoes, 1983).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혐기성 소화 과정에서 유기물 부하 및 식종슬러지의 식종 비율과 반응조의 교반강도가 바이오가스내 메탄가스 함량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식종 슬러지의 TS 농도는 84,900 mg/L 이었고, TS 대비 VS의 비는 41% 이었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혐기성 소화공정에서 안정적인 바이오가스 생산 및 최적 운전조건 설정을 위하여 돈분 슬러리에 대한 생분해도 실험을 실시하였다. 적정 유기물 부하량 설정을 위하여 돈분폐수를 2 mm 체로 걸러 폐수내 존재하는 입자성 물질을 일정하게 조절하였고, 수돗물을 이용하여 TS 농도를 1, 3, 5, 7%로 희석하였으며 별도의 pH 조절은 하지 않았다.
  • 특히 돈분 슬러리는 축사의 구조 및 돼지의 사육형태, 계절 등에 따라 성상의 변동이 크고, 돈분의 저장기간이나 방법에 따라 유기물의 분해정도가 달라져 혐기성 소화처리에는 돈분 슬러리의 성상과 특성을 고려한 운전이 이루어져야 소화효율이 증대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회분식 실험을 이용한 BMP(bio-methane potential) 실험시 유기물 농도 및 식종슬러지의 혼합비율과 반응기의 교반 강도에 따른 바이오가스 발생 거동을 파악하고, 돼지 사육특성에 따라 배출되는 분뇨의 메탄가스 발생 특성을 관찰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돈분폐수가 적정처리를 목적으로 연구되었던 이유는? 돈분폐수는 유기물과 고형물의 농도가 매우 높아 환경오염 부하량이 크기 때문에 적정 처리를 목적으로 연구되어 왔지만, 최근 유가급등과 이산화탄소 배출 급증으로 대체에너지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면서 돈분폐수로부터 에너지를 회수하는데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Park et al., 2009).
단일 혐기성 처리공정에서 저해가 발생하는 이유는? 단일 혐기성 처리공정에서는 산생성단계보다 가수분해 및 산생성 속도가 메탄생성 속도보다 빠르기 때문에 혐기성 반응조내 유기산이 축적되어 pH가 낮아져 저해가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Ghosh 등(1975)은 bench 규모의 상(phase)분리된 2상 소화공정을 중온에서 운전한 결과 기존의 단일 혐기성 반응기에 비하여 우수함을 입증하였고, Raynal 등(1998)은 식물성 고형폐기물을 처리하는데 있어 여러 개의 산생성 반응조와 1개의 메탄생성 중온 소화조를 조합한 상 분리된 시스템을 이용하여 유기물 부하율(OLR) 4.
단일 혐기성 처리공정에서 저해가 발생하는 문제를 극복하기 위한 제시된 방안은? 단일 혐기성 처리공정에서는 산생성단계보다 가수분해 및 산생성 속도가 메탄생성 속도보다 빠르기 때문에 혐기성 반응조내 유기산이 축적되어 pH가 낮아져 저해가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Ghosh 등(1975)은 bench 규모의 상(phase)분리된 2상 소화공정을 중온에서 운전한 결과 기존의 단일 혐기성 반응기에 비하여 우수함을 입증하였고, Raynal 등(1998)은 식물성 고형폐기물을 처리하는데 있어 여러 개의 산생성 반응조와 1개의 메탄생성 중온 소화조를 조합한 상 분리된 시스템을 이용하여 유기물 부하율(OLR) 4.0 g/L·day 부근에서 약 87% 이상의 높은 유기물 제거율을 달성하였다. 한편, 상 분리된 소화공정에서 메탄생성 슬러지의 낮은 침전성 문제를 극복하기 위하여 메탄생성 공정에 생물막을 이용하기도 하였는데, Oliva 등(1990)은 주정공장 폐수처리를 위해 유동상 공정을 이용하였고, Ince(1998)는 상향류식 혐기여상(anaerobic filter)을 메탄생성 반응조에 적용하기도 하였다. 이렇게 돈분 폐수의 혐기성 소화 시스템을 설계하기 위해서는 메탄 발생속도 및 발생량에 대한 돈분 슬러리의 조성 및 영향을 잘 이해하여야 하며, 이를 기초하여 발효조 및 가스포집조의 용량을 결정하게 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Park, N.B., Park, S.M., Choi, W.Y. and Jun, H.B., 2009. Methane production and nitrogen removal from piggery wastewater in the TPAD coupled with BNR process, J. of Korean Soc. Wat. Qual. 25(1), 18-25. 

  2. Ghosh, S., Conrad, J.R. and Klass, D.L., 1975. Anaerobic acidogenesis of waste water sludge, J. of WPCF, 47(1), 1126-1140. 

  3. Raynal, J., Delgen, J.P. and Moletta, R., 1998. Twophase anaerobic digestion of solid waste by a multiple liquefaction reactors process, Bioresource Technology, 65(1-2), 97-103. 

  4. Oliva, E., Jacquart, J.C. and Prevot, C., 1990. Treatment for wastewater at the El Aguila brewery methanization in fluidized bed reactor, Wat. Sci. Tech., 22, 486-490. 

  5. Ince, O., 1998. Performance of a 2-phase anaerobic digestion system when treating diary wastewater, Wat. Res., 32, 2707-2713. 

  6. Jeong, B.G., Lee, H.M., Youn, J.H., Chung, H.S. and Yang, B.S., 1996. Mixing effect on organic removal efficiency in treating low-strength wastewater using a modified anaerobic filter reactor, J. of Kor. Enviro. Sci. Soc., 5(4), 513-524. 

  7. APHA, 1995. Standard methods for the examination of water and wastewater, American Public Health Association, Washington, D.C. 

  8. Won, C.H., Kwon, J.H. and Rim, J.M., 2009. Effect of ammonia nitrogen loading rate on the anaerobic digestion of slurry-typed swine wastewater, J. of KORRA, 17(1), 49-57. 

  9. WPCF, 1977. Wastewater treatment plant design, WPCE Manual of Practice 8, Water Pollution Control Federation, Washington, D.C. 

  10. McCarty, P.L., 1964. Anaerobic waste treatment fundamentals, Part 1 : Chemistry and Microbiology, Public Works, Sept, 107-112. 

  11. Henze, M. and Harrenmoes, P., 1983. Anaerobic treatment of wastewater in fixed film reactors literature reviews, Wat. Sci. Tech., 15, 1-101. 

  12. Karim, K., Hoffmann, R., Klasson, K.T. and Al-Dahhan, M.H., 2005, Anaerobic digestion of animal waste : Effect of mode of mixing, Wat. Res., 39, 3579-3606. 

  13. Vesilind, P.A. and Richard, A.H., 1981, Effect of feed rate on air classifier performance, Resources and Conservation, 6(3-4), 211-221. 

  14. NIAS, 2007. Korean feeding standard for swine, National Institute of Animal Science, RDA, Korea. 

  15. Cho, J.K., Lee, J.S., Park, S.C. and Son, J.E., 1993, Evaluation of biochemical methane potential of typical korean food waste, J. of Kor. Solid. Wastes. Engin. Soc., 10(2), 211-217. 

  16. Park, S.K., Choi, J.G. and Chung, Y.J., 2000, A practical study on the solid-liquid separation of the wastewater from slurry feedlot, J. of KOWREC, 8(2), 60-70. 

  17. USEPA, 1997. A manual for developing biogas systems at commercial farms in the united states, Ag STAR Handbook, EPA-430-B-97-015, U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Atmospheric Pollution Prevention Division, Washington, D. C.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