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전과정 평가에 의한 양돈 바이오매스의 물질 및 에너지 자원화 잠재량 연구
Bioenergy and Material Production Potential by Life Cycle Assessment in Swine Waste Biomass 원문보기

韓國土壤肥料學會誌 = Korean journal of soil science & fertilizer, v.44 no.6, 2011년, pp.1245 - 1251  

김승환 (국립한경대학교 바이오가스 연구센터) ,  김창현 (국립한경대학교 바이오가스 연구센터) ,  윤영만 (국립한경대학교 바이오가스 연구센터)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축산부문에서 주요한 가축종인 돼지의 사육과 정과 도축 가공과정에서 발생하는 양돈 바이오매스의 발생특성을 조사 분석하고, 전과정 평가 기법을 활용하여 물질(퇴 액비) 및 에너지 (바이오가스) 자원화 잠재량을 평가함으로써 지역단위 바이오매스 순환단지 조성을 위한 기초자료를 확립하고자 하였으며, 이를 위해 양돈 바이오매스의 발생 단계를 사양단계와 도축 가공단계로 구분하여 각각의 단계에서 발생하는 양돈바이오매스의 물질 및 에너지 자원화 잠재량을 평가하였다. 사양단계는 성장단계(사육기간, 평균체중)에 따라 자돈 (1~9주, 23.4 kg), 육성돈 1기 (10~15주, 50 kg), 육성돈 2기 (16~21주, 80 kg), 비육돈 (22~26주, 110 kg)의 단계로 분류하고 도축 가공단계에서 발생하는 혈액과 폐내장류, 장내 잔재물로 구분하여 생산량을 산정하여 양돈 바이오매스의 물질 및 에너지 자원 잠재량을 평가한 결과 돼지 1두에서 발생하는 바이오매스의 총량은 542.02 kg로 나타났다. 양돈 바이오매스는 분 $210.68kg\;head^{-1}$, 뇨 $315.78kg\;head^{-1}$가 발생하는 것으로 평가되었으며, 분뇨 발생량은 성장단계별로 자돈 14.2%, 육성돈 1기 19.6%, 육성돈 2기 30.9%, 비육돈 35.2%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양돈 바이오매스에서 기인하는 매탄 생산 잠재량은 $24.56Nm^3\;head^{-1}$이였으며, 사양 단계에서 기인하는 메탄 생산 잠재량이 92.9%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BMP 시험에 의한 최대 메탄생산량은 $16.58Nm^3\;head^{-1}$로 나타나 매탄 생산 잠재량의 67.5%가 에너지로 전환 가능하였으며, 94.4%가 사양 단계에서 기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s a result of the growing livestock industry, varieties of organic solid and waste biomass are be generated in swine breeding and slaughtering stages. Anaerobic digestion is a promising alternative for the treatment of livestock waste biomass, as well as for the material recovery and energy produc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축산부문에서 주요한 가축종인 돼지의 사육과정과 도축・가공과정에서 발생하는 양돈 바이오매스의 발생 특성을 조사・분석하고, 전과정 평가 기법을 활용하여 물질 (퇴・액비) 및 에너지 (바이오가스) 자원화 잠재량을 평가함으로써 지역단위 바이오매스 순환단지 조성을 위한 기초자료를 확립하고자 하였으며, 이를 위해 양돈 바이오매스의 발생 단계를 사양단계와 도축・가공단계로 구분하여 각각의 단계에서 발생하는 양돈바이오매스의 물질 및 에너지 자원화 잠재량을 평가하였다.
  • 본 연구는 돼지 사양 및 도축・가공 과정에서 발생하는 양돈 바이오매스의 물질 및 에너지 자원화 잠재량을 평가하기 위하여 양돈 바이오매스 중 퇴비화, 액비화, 바이오가스화에 이용하는 바이오배스 발생단계를 포함하여 Fig. 1과 같이 평가 범주를 설정하였다. 돼지의 사육과정에서 발생하는 사체와 도축・가공장에서 발생하는 유기성 슬러지는 소각 또는 매립 처분하는 것으로 평가의 범위에서 제외하였으며, 지육・정육과정에서 발생하는 육골분류는 동물사료로 활용하는 것으로 평가의 범위에서 제외 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는 축산부문에서 주요한 가축종인 돼지의 사육과정과 도축・가공과정에서 발생하는 양돈 바이오매스의 발생 특성을 조사・분석하고, 전과정 평가 기법을 활용하여 물질 (퇴・액비) 및 에너지 (바이오가스) 자원화 잠재량을 평가함으로써 지역단위 바이오매스 순환단지 조성을 위한 기초자료를 확립하고자 하였으며, 이를 위해 양돈 바이오매스의 발생 단계를 사양단계와 도축・가공단계로 구분하여 각각의 단계에서 발생하는 양돈바이오매스의 물질 및 에너지 자원화 잠재량을 평가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양돈 바이오매스 발생 단계별 발생 특성을 조사・분석하기 위하여 양돈 전업농가와 도축・가공장을 선정・조사하였다. 사양 단계는 안성 일죽에 위치한 영농조합법인 (상시 사육두수 7,000두)을 선정・조사하였으며, 도축・가공장 단계는 국내 주요 도축장 2개소 (경남 김제 소재 도축장 1개소, 서울 송파 소재 도축장 1개소)를 선정・조사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양돈 바이오에스의 물질 및 에너지 자원화 잠재량을 평가하기 위하여 Fig. 1과 같이 양돈 및 도축・가공 과정에서 발생하는 바이오매스 중 퇴비화・액비화를 통한 물질자원의 이용과 바이오가스화를 통한 에너지 자원의 이용을 평가의 범주를 설정하였다. 돼지 1두의 사양과정에서는 돼지 분, 뇨와 돈사 세척수가 발생하고 있으나 돈사 세척수의 경우 유기물, 질소, 인산, 칼리와 같은 물질부하에는 영향을 주지 않으므로 본 연구에서는 세척수의 발생량은 평가에서 고려하지 않았으며, 도축・가공 과정에서 발생하는 물질 및 에너지 자원화가 가능한 폐기물계 바이오매스로는 도축시 방혈 단계에서 배출되는 돈혈 (혈액), 돼지 도체의 불가식 적축물과 가공과정 부패로 인해 발생하는 폐내장류, 그리고 절식 후에 돼지 장내에 잔존하는 미소화 사료물질 (장내 잔재물)이 배출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축산부문에서 발생하는 바이오매스는 어떻게 이용되고 있는가? 가축분뇨는 가축의 사육과정에서 유기・무기의 사료를 섭취하고 체외로 배설되는 폐기물계 바이오매스를 말하며, 도축과정에서는 폐기되거나 부패된 도체의 동물성 부속물과 장내에 잔류하는 식물성의 사료물질이 폐기물계 바이오매스로 발생한다 (KREI, 2007). 이러한 축산 바이오매스는 퇴비・액비화 과정을 통해 작물재배를 위한 비료로 이용되고 있으며, 최근 화석연료 대체와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노력으로 혐기소화를 통한 바이오가스 생산기술이 시도되고 있다.
2010년 기준 우리나라 1인당 육류소비량은? 식생활이 서구화되면서 우리나라 1인당 육류소비량은 1970년 5.2 kg에서 2010년 38.8 kg으로 급속히 증가 (MIFAFF, 2011)하면서 축산규모의 대규모화・기업화 추세가 지속되고 있다. 2005년 유기성 폐기물의 직매립이 금지되고, 2012년 가축분뇨 해양투기 전면금지가 예정됨에 따라 지속가능한 축산업을 위해 자원화 중심의 축산 바이오매스 이용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축산부문에서 발생하는 바이오매스로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2005년 유기성 폐기물의 직매립이 금지되고, 2012년 가축분뇨 해양투기 전면금지가 예정됨에 따라 지속가능한 축산업을 위해 자원화 중심의 축산 바이오매스 이용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축산부문에서 발생하는 바이오매스로는 소, 돼지, 닭 등의 가축 사육 과정에서 발생하는 가축분뇨와 도축과정에서 발생하는 동・식물성 잔재물이 있다. 가축분뇨는 가축의 사육과정에서 유기・무기의 사료를 섭취하고 체외로 배설되는 폐기물계 바이오매스를 말하며, 도축과정에서는 폐기되거나 부패된 도체의 동물성 부속물과 장내에 잔류하는 식물성의 사료물질이 폐기물계 바이오매스로 발생한다 (KREI, 200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Angelidaki, I., M. Alves, D. Bolzonella, L. Borzacconi, J. L. Campos, A. J. Guwy, S. Kalyuzhnyi, P. Jenicek, and J. B. van Lier. 2009. Defining the biomethane potential (BMP) of solid organic wastes and energy crops: a proposed protocol for batch assays. Water Sci. Technol. 59(5):927-934. 

  2. APHA. 1998. Standard Methods for the Examination of Water and Wastewater. 20th ed. American Public Health Association, Washington, DC, USA. 

  3. Beuvink, J.M., S.F. Spoelstra, and R.J. Hogendrop. 1992. An automated method ofr measuring the time course of gas production of feedstuffs incubated with buffered rumen fluid. Neth. J. Agri. Sci. 40:401-407. 

  4. Boyle, W.C. 1976. Energy recovery from sanitary landflls - a review. In: Schlegel, H.G. and Barnea, S. (Hrsg.): Microbial Energy Conversion: Oxford, Pergamon Press. 

  5. Hansen, T.L, J.E. Schmidt, I. Angelidaki, E. Marca, J. Cour Jansen, H. Mosboek, and T.H. Christensen. 2004. Method for determination of methane potentials of solid organic easte. Waste Manage. 24:393-400. 

  6. Hejnfelt, A. and I. Angelidaki. 2009. Anaerobic digestion of slaughterhouse by products. Biomass Bioenerg. 33(2009):1046-1054. 

  7. Heo, B.D., S.H. Kim, J.T. Yu, Y.K. Go, and S.M. Yang. 2002. The utilization of biogas production technology by anaerobic co-digestion using food waste and animal wastes. J. KORRA 9(4);29-34. 

  8. Kim, J.M., J.T. Lee, and M.H. Cho. 2009. Characteristics of biogas production from organic wastes by BMP test. Theor. Appl. Chem. Eng.15(2):1578-1581. 

  9. Kim, S.H. and H.S. Shin. 2009. Acidogenesis of lipids containing wastewater ib anaerobic sequencing batch reactor. J. KSEE. 31(12):1075-1080. 

  10. Kim, S.H., H.C. Kim, C.H. Kim, and Y.M. Yoon. 2010. The measurement of biochemical methane potential in the several organic waste resources. Korean J. Soil Sci. Fert. 43(3):356-362. 

  11. KREI. 2007. Polacy issues and strategies to boost biiomass utilization in agricultural sector: Problems and issues in Korea. Seoul, Korea. 

  12. Lee, C.Y. 2007. Characteristics of methane production from piggery manure using anaerobic digestion. J. KORRA. 15(3):113-118. 

  13. Lee, M.Y., C.W. Suh, H.S. Jeong. S.H. Lee, and H.S. Shin. 2004. A study model and estimation of ammonia inhibitionon onanaerobic methane fermentation. J. KSEE. 2004:86-99. 

  14. Lee, Y.S., S.M. Hong, H.S. Park, U.S. Lee, and S.E. Oh. 2004. A comparative study of single and two-phase anaerobic system for distillery waster treatment in pilot plant. J. KSEE 13:485-192. 

  15. MIFAFF. 2009. The study on design and establishment of biomass town. Gwacheon, Korea (in Korean). 

  16. MIFAFF. 2011. Statistics for agriculture, fishery, and food (in Korean). 

  17. Owen, W.P., D.C. Stuckey, J.B. Healy, L.Y. Young, and P.L. McCarty. 1979. Bioassay for monitoring biochemical methane potential and anaerobic toxicity. Water Res. Vol. 13:485-492. 

  18. RDA. 2002. Technique for application of livestock liquid fertilizer. Suwon, Korea (in Korean). 

  19. RDA. 2009. The study to re-stablish the amount and major compositions of manure from livestock. Suwon. Korea. 

  20. Sorensen, A.H,. M. Winther-Nielsen, and B.K. Ahring. 1991. Kinetics of lactate, acetate and propionate in unadapted and lactate-adapted thermophilic, anaerobic sewage sludge: the influence of sludge adaptation for start-up of thermophilic UASB-reactors. Appl. Microbiol. Biot. 34:823-827. 

  21. Williams, A., M. Amat-Marco, and M.D. Collins. 1996. Pylogenetic analysis of Butyrivibrio strains reveals three distinct groups of species within the Clostridium subphylm of gram-positive bacteria. Int. J. Syst. Evol. Micr. 46:195-199. 

  22. Yoon, Y.M., H.C. Kim, J.S. Yoo, S.H. Kim, S.G. Homg, and C.H. Kim. 2011. The performance of anaerobic co-digester of swine slurry and food waste. Korean J. Soil Sci. Fert. 44(1):104-111. 

  23. Yoon, Y.M., C.H. Kim, Y.J. Kim, and H.T. Park, 2009a. The economical evaluation of biogas production facility of pig waste. Kor. J. Agr. Manag. Pol. 36(1):137-157. 

  24. Yoon, Y.M., Y.J. Kim, and C.H. Kim. 2009b. The evaluation of economical efficiency to composting and liquefying process of biomass discharged in pig breeding. Agr. Econ. 31(6):39-62.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