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119 구급대원의 직무스트레스와 근골격계 증상과의 관계
Job Stress and Work-Related Musculoskeletal Symptoms of 119 Emergency Medical Technicians 원문보기

산업간호학회지 =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v.19 no.2, 2010년, pp.223 - 235  

홍선우 ,  엄동춘 (대전대학교 응급구조학과) ,  전명희 (대전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done to investigate the prevalence of job stress and musculoskeletal symptoms, and to identify the factors that affect work-related musculoskeletal symptoms of the 119 Emergency medical technicians (EMT). Method: From August 26 to September 10, 2010, the data were obtained f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119 구급대원의 직무스트레스와 근골격계 증상과의 관련성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119구급대원들의 직무스트레스 수준과 근골격계 증상 및 근골격계 증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자 수행되었다.
  • 본 연구의 목적은 119 구급대원의 직무스트레스 수준과 근골격계 증상과의 관계를 파악하여 119 구급대원의 근골격계질환 예방프로그램 개발의 근간을 마련하는데 있다.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따라서 응급구조를 담당하는 119구급대원의 건강은 구급대원 자신의 개인 문제가 아니라 일반시민의 안전과 직결되는 문제라고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대전 및 충남지역 119구급대원을 대상으로 직무 스트레스의 정도와 근골격계 증상 및 그 관계를 파악하여 119구급대원의 건강 및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프로그램 개발 및 정책마련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실시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2009년 서울시민의 119 구급대의 이용 목적은 무엇인가? 2009년 한 해 동안 26만 9,381명의 서울시민이 119 구급대를 이용하였으며, 1일 평균 1,104건 출동하여 738명의 환자를 이송하였다. 그 목적은 급성질병(57.4%), 사고부상(19.1%), 만성질병(17.5%), 교통사고(3.9%), 기타 임신, 출산, 과로(2.1%) 순으로 119구급대가 시민안전생활의 최전선에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서울소방재난본부, 2010).
소방공무원의 업무는 무엇인가? 오늘날 소방공무원의 업무는 화재의 예방과 진압이라는 전통적 역할에서 벗어나 교통사고나 각종 인위적인 재난과 태풍과 홍수 등과 같은 자연재해에서 인명구조와 환자 구급활동에까지 그 업무 영역이 확장되었다. 우리나라 119 구급대원들은 연 144만여 명의 환자를 이송한다.
우리나라 119 구급대원들이 이송하는 연간 환자 수는 몇 명인가? 오늘날 소방공무원의 업무는 화재의 예방과 진압이라는 전통적 역할에서 벗어나 교통사고나 각종 인위적인 재난과 태풍과 홍수 등과 같은 자연재해에서 인명구조와 환자 구급활동에까지 그 업무 영역이 확장되었다. 우리나라 119 구급대원들은 연 144만여 명의 환자를 이송한다. 21초당 1명씩 응급환자를 처치하고 병원으로 이송하며 그 수는 매년 증가하고 있다(한국소방안전신문, 201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강경화, 이강숙, 김석일, 맹광호, 홍현숙, 정춘화 (2001). 일부 소방공무원의 음주와 직무스트레스와의 관련성. 대한산업의학회지, 3(4), 401-412. 

  2. 강성규, 김욱(2009). 소방업무 종사자의 근골격계 질환. 대한의사협회지, 51(12), 1111-1117. 

  3. 구정완 (2003). 근골격계 질환. in 산업보건학. 제3 판.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가톨릭 산업의학센터 (2003). 수문사. 서울. 

  4. 김경희 (2002). 119 구급대원들의 직무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충남지역 119 구급대원들을 중심으로. 목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5. 김대성, 문명국, 김규상 (2010). 119 구급대원 구급활동의 근골격계 증상 및 위험실태. 대한인간공학회지, 29(2), 211-216. 

  6. 김돈균, 이철호 (1999). 소방관 직무와 관련된 질환과 건강관리. 소방논집, 9, 263-308. 

  7. 김윤규, 윤동영, 채창호, 홍영습, 김정일 (2002). 교대 근무가 건강에 미치는 영향. 대한산업의학회지, 14(3), 247-256. 

  8. 김정만, 서병성, 정갑열, 김동일, 김원술, 조한석, 김진욱, 권재, 윤동영, 김정일 (2006). 소방관의 근골격계 증상과 직무 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항공우주의학, 16(2), 25-31 

  9. 박정근, 김대성, 서경범 (2008). 병원근로자의 근골격계질환 증상 특성 및 관리방안. 대한인간공학회지, 27(3), 81-92. 

  10. 서울소방재난본부 (2010). 2009년 서울 119구급대 이용시민 만족도 조사. Retrieved October 15, 2010 from http://spp.seoul.go.kr/main/news/news_report.jsp?search_boardId4526&act 

  11. 우남희, 김숙영 (2009). 일개 종합병원 간호사의 직무 스트레스와 근골격계 증상. 한국산업간호학회지, 18(2), 270-280. 

  12. 유인술, 권선숙 (1998). 119 구급대원들의 활동실태와 업무만족도. 대한응급의학회지, 9(2), 207-219. 

  13. 윤석환, 최숙정, 신동훈, 정인성, 하정숙 (2007). 일부 지하철근로자와 소방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 요인 비교. 대한산업의학회지, 19(3), 179-186. 

  14. 이경진, 허현택, 김동원, 김인아, 김수영, 노준래, 정수영, 문제혁 (2009). 인천지역 일부 소방공무원의 건강관련 삶의 질과의 관련요인 및 직무스트레스요인과의 상관성. 대한산업의학회지, 21(3), 267-275. 

  15. 이성희, 최연희 (2006). 119 구급대원의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도. 지역사회간호학회지, 17(4), 521-529. 

  16. 장세진, 고상백, 강동묵, 김성아, 강명근, 이철갑, 정진주, 조정진, 손미아, 채창호, 김정원, 김정일, 김형수, 노상철, 박재범, 우종민, 김수영, 김정연, 하미나, 박정선, 이경용, 김형렬, 공정옥, 김인아, 김정수, 박준호, 현숙정, 손동국 (2005) 한국인 직무 스트레스 측정도구의 개발 및 표준화. 대한산업의학회지, 17(4), 297-317. 

  17. 정지연 (2003). 119구급대의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응급구조학회논문지, 7(1), 119-126. 

  18. 하재혁, 김동일, 서병성, 김원술, 유승호, 김수근(2009). 소방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와 사회심리적 건강. 대한산업의학회지, 20(2), 104-111. 

  19.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2006). 직무스트레스요인 측정 지침(KOSHA CODE H-42-2006). 

  20.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2008). 근골격계부담작업 유해 요인조사 지침(KOSHA CODE H-30-2008). 

  21.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2010). 2009년도 산업재해분석. Retrieved October 15, 2010 from http://www.kosha.or.kr/bridge?menuId553 

  22. 한국소방안전신문 (2010, September 17). 119구급 대원을 힘들게 하는 것. Retrieved October 15,2010 from http://www.safe119news.com/board/zboard.php?idleft1 

  23. Bongers, P. M., de Winter C. R, Kompier M. A. J., & Hildebrandt, V. H. (1993). Psychosocial factors at work and musculoskeletal disease. Scand J Work Environ Health, 19, 297-312. 

  24. Iman, A. N., Walter, S., & Jeffrey, V. J. (1993). Work activities and onset of First-time Low Back Pain among Mew York City Fire Fighters. Am J Epidemiol. 137(5), 539-548 

  25. Lavender, S. A., Conrad, K. M., Reichelt, P. A., Meyer, F. T., & Johnson, P. W. (2000). Postural analysis of paramedics simulating frequently performed strenuous work tasks. Appl Ergon. 31(1), 45-57. 

  26. Punaxallio, A., Lusa, S., & Luukkonen, R. (2003). Protective equipment affects balance abilities differently in younger and older firefighters. Aviat Space Environ Med. 74(11), 1151-1156. 

  27. Sauter, S., Murphy, L., Colligan, M., Swanson, N., Hurrell, J., Scharf, F., Grubb, R. S. P., Goldenhar, L., Alterman, T., Johnston, J., Hamilton, A., Tisdale, J. (1999). Stress at work. In: DHHS (NIOSH) Publication No. 99-101, pp 1-25. 

  28. Seabury, S. A., & McLaren, C. F. (2010). The frequency, severity, and economic consequences of musculoskeletal injuries to firefighters in California. CA: RAND Corporation.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