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수입 음식료품의 푸드 마일리지 및 이산화탄소 배출량 산정
Estimation of Food Miles and CO2 Emissions of Imported Food 원문보기

한국대기환경학회지 =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Atmospheric Environment, v.26 no.1, 2010년, pp.57 - 68  

주옥정 (국립환경과학원 기후변화연구과) ,  이재범 (국립환경과학원 기후변화연구과) ,  성미애 (국립환경과학원 기후변화연구과) ,  김수연 (국립환경과학원 대기환경과) ,  류지연 (국립환경과학원 기후변화연구과) ,  김대곤 (국립환경과학원 기후변화연구과) ,  홍유덕 (국립환경과학원 기후변화연구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crease in greenhouse gas emissions during the last century has led to remarkable changes in our environment and climate system. Many policy measures have been developed to reduce greenhouse gas emissions across the world, many of which require our lifestyle changes from energy-intensive to energy-...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푸드 마일리지 및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산정하기 위해서는 품목별 원산지, 최종 소비지, 유통경로 등의 복잡하고 방대한 자료를 분석하여야 한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방대한 자료의 수집 및 복잡한 유통 과정 파악 등의 한계로 인하여 거시적 관점에서 푸드 마일리지 및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분석하였음을 다시 한 번 명시해 두고자 한다. 모든 품목의 원산지를 각 수출국의 수도로, 대표 수출항은 수도 근교 수출항으로, 그리고 유통경로를 단순화하여 산정된 결과이다.
  • 본 연구에서는 한국, 일본, 영국, 프랑스를 대상으로 수입 음식료품에 대한 푸드 마일리지 및 수송에 따른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산정하고 우리나라의 음식료품 수입에 의한 푸드 마일리지 및 이산화탄소 배출량의 수준과 변화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가설 설정

  • com)) 정보를 활용하여 산정하였다. 수송 수단은 내륙수송 시에는 트럭 수송, 해상수송 시에는 컨테이너선으로 수송된다고 가정하였다. 또한 미국, 캐나다 등과 같이 동일 대륙 내 육로로 연결되어 있는 국가 간 수입은 양국 수도의 직선거리로 산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음식료품의 푸드 마일리지 및 온실가스 배출량은 어떻게 산정하는가? 1994년 영국의 환경운동가 팀 랭(Tim Lang)은 음식료품의 수송거리 증가에 따른 환경오염 증대 및 식품 안정성을 우려한 ‘푸드 마일리지(Food Miles)’개념을 최초로 제시하여 녹색소비를 강조한 바 있으며, 미국, 일본 등에서도 음식료품 수송에 따른 푸드 마일리지 및 온실가스 배출량을 산정한 연구가 수행된 바 있다(Hill, 2008; Weber and Matthews, 2008; Pirog and Benjamin, 2005; Nakata, 2003). 음식료품의 푸드 마일리지 및 온실가스 배출량은 단일 품목에 대한 주요 원산지와 지역 시장과 같은 한 지점에서의 물류 유통을 파악하여 산정하거나, 다양한 음식료품에 대한 푸드 마일리지 및 이산화탄소 배출량 산정 시에는 각 품목별 원산지 및 유통경로 등을 고려 함에 있어 방대한 자료의 필요로 인해, 거시적 관점에서 주로 수도 및 직선거리를 이용하여 산정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2005년 영국 환경식품지역개발부 보고서에 의하면(Department for Environment, Food and Rural Affairs, 2005), 영국의 음식료품 수입은 계속 증가하였으며, 2002년 영국의 음식료품 수송에 의한 이산화탄소 배출량 중 음식료품 수입에 의한 배출량이 약 14%로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팀 랭은 무엇을 우려한 푸드 마일리지 개념을 최초로 제시하였는가? 1994년 영국의 환경운동가 팀 랭(Tim Lang)은 음식료품의 수송거리 증가에 따른 환경오염 증대 및 식품 안정성을 우려한 ‘푸드 마일리지(Food Miles)’개념을 최초로 제시하여 녹색소비를 강조한 바 있으며, 미국, 일본 등에서도 음식료품 수송에 따른 푸드 마일리지 및 온실가스 배출량을 산정한 연구가 수행된 바 있다(Hill, 2008; Weber and Matthews, 2008; Pirog and Benjamin, 2005; Nakata, 2003). 음식료품의 푸드 마일리지 및 온실가스 배출량은 단일 품목에 대한 주요 원산지와 지역 시장과 같은 한 지점에서의 물류 유통을 파악하여 산정하거나, 다양한 음식료품에 대한 푸드 마일리지 및 이산화탄소 배출량 산정 시에는 각 품목별 원산지 및 유통경로 등을 고려 함에 있어 방대한 자료의 필요로 인해, 거시적 관점에서 주로 수도 및 직선거리를 이용하여 산정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식품의 이동거리 개념인 푸드 마일리지는 수출국별 항목별 수송량에 수송거리를 곱하여 산정되는데, 이것이 의미하는 바는 무엇인가? 푸드 마일리지는 식품의 이동거리 개념으로 수출국별 항목별 수송량에 수송거리를 곱하여 산정된다(식 1). 이는 수송량 또는 수송거리가 커지면 푸드 마일리지가 커짐을 나타내며 푸드 마일리지가 크다는 것은 수송에 소요되는 에너지가 크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푸드 마일리지가 커지면 환경에 미치는 영향도 커짐을 나타내는 간접적 지표인 것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4)

  1. Chae, Y., S.-Y. Bae, and J.-E. Kim (2006) Estimating climate change damage using PAGE model, Korea Environment Institute, Seoul, Republic of Korea, 184 pp. 

  2. Department for Environment, Food and Rural Affairs (DEFRA), UK(2005) The validity of food miles as an indicator of sustainable development: Final report, ED50254 Issue 7, 103 pp. 

  3. Hill, H. (2008) Food miles: Background and marketing, a publication of ATTRA-national sustainable Agriculture information service, 12 pp, www.attra.ncat.org/ attra-pub/foodmiles.html or www.attra.ncat.org/ attra-pub/PDF/foodmiles.pdf. 

  4.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2007) Climate change 2007: The physical science basis. contribution of working group I to the fourth assessment report of the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cambridge, United Kingdom and New York, NY, USA, 996 pp. 

  5. Kim, H.-S., E.-H. Choi, N.-H. Lee, S.-H. Lee, J.-P. Cheong, C.-Y. Lee, and S.-M. Yi (2007) Comparison of greenhouse gas emission from landfills by different scenarios, Korean J. of Atmos. Environ., 23(3), 344- 352.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6. Kim, S.-D. and S.-H. Na (2008) Calculation methods for greenhouse gas emission, The Institute of Electronics Engineers of Korea, 35(11), 73-82. 

  7. Korea Eco-Products Institute (2009) Carbon footprint label emission factor, Public Notice No. 2009-10 [13 Feb. 2009]. 

  8. Korean Ministry of Knowledge Economy (2009) Analytical results of greenhouse gas emissions by local governments, Press Release, URL: http://www.mke.go.kr [31 July 2009] 

  9. Korean 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Affairs (2009) Active collaboration for revitalizing railroad logistics among the private and government sectors, Press Release, URL: http://www. mltm.go.kr [26 Oct. 2009]. 

  10.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2007) Food balance sheets,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Seoul, Republic of Korea, 287 pp. 

  11. Nakata, T. (2003) A study on the volume and transportation distance as to food imports ("Food Mileage") and its influence on the environment, J. Agric. Policy Res., No. 5, 45-59. (in Japanese with English abstract) 

  12. National Oceanographic Research Institute (2003) Distance tables, ministry of maritime affairs and fisheries, National Oceanographic Research Institute, Incheon, Republic of Korea, Pub. No., 250, 194 pp. 

  13. Pirog, R. and A. Benjamin (2005) Calculating food miles for a multiple ingredient food product, Leopold Center for Sustainable Agriculture, 13 pp. 

  14. Weber, C. L. and H. S. Matthews (2008) Food-miles and the relative climate impacts of food choices in the united states, Environ. Sci. Technol., 42, 3508-3513.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