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지방부 도로에서 평면선형 설계관리의 필요성
A Need of Management of Horizontal Alignment Design at Rural Roads 원문보기

한국도로학회논문집 = International journal of highway engineering, v.12 no.2 = no.44, 2010년, pp.25 - 31  

김용석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도로연구실) ,  조원범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도로연구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현 도로설계기준은 설계속도에 기반하여 선형설계에 관한 지침을 제시하고 있으며, 이는 설계속도가 도로 공용 후에 운전자의 주행 속도와 거의 동일할 것임을 전제하고 있다. 도로 평면 곡선부의 설계도 주어진 설계속도에 따라 운전자가 쾌적성을 유지한 채 통과할 수 있는 최소곡선반경을 기준으로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쾌적성에 기초한 횡방향 미끄럼마찰계수는 실제 습윤노면에서 관측되는 물리적인 횡방향 미끄럼마찰계수보다 낮기 때문에 기준에 제시된 곡선반경은 최소의 의미보다는 권장 값으로 보는 것이 합리적이다. 아울러, 최소곡선반경보다 여유로운 설계 값을 선호하는 실무관행으로 도로 공용 후 운전자의 주행속도는 설계속도를 상회하여 설계속도가 주행속도를 대표하지 못하는 결과를 초래하고, 결과적으로 현 설계기준의 주요전제를 위반하게 될 것으로 본다. 이러한 연구 가정을 검토하기 위해 지방부 도로에서 노면 미끄럼 마찰계수와 운전자의 주행속도를 조사하였다. 연구결과로, 쾌적성에 기반한 미끄럼 마찰계수와 물리적인 미끄럼마찰계수와의 차이에 따른 안전여유를 정량적으로 제시했고, 안전여유 및 설계관행에 따른 여유로운 설계로 인해 설계속도와 주행속도 간에 괴리가 발생함을 제시했다. 이를 토대로, 현 설계속도 기반의 선형설계는 최소기준과 더불어 설계속도와 주행속도 사이의 괴리를 최소화할 수 있는 선형 설계 관리 방안이 마련될 필요가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Road design guideline provides the directions on how to design a road alignment based on design speed, and this guideline has a design expectation in that design speed is supposed to be equal to the operating speed of drivers. Horizontal curve design is also based on design speed, and minimum radius...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논문은 이상의 연구 배경을 염두에 두고 설계속도 기반의 도로 선형설계에 대한 개념적 고찰과 도로 평면선형 설계에 포함된 안전여유를 정의해 보았다. 쾌적성에 기반한 최소 곡선반경기준이 이미 안전여유를 내포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설계실무에서 최소곡선반경보다 여유로운 곡선반경을 선호하는 관행이 궁극적으로는 설계속도를 크게 상회하는 주행속도로 이어질 개연성에 주목하였다.
  • 본 논문은 이상의 연구 배경을 염두에 두고 설계속도 기반의 도로 선형설계에 대한 개념적 고찰과 도로 평면선형 설계에 포함된 안전여유를 정의해 보았다. 쾌적성에 기반한 최소 곡선반경기준이 이미 안전여유를 내포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설계실무에서 최소곡선반경보다 여유로운 곡선반경을 선호하는 관행이 궁극적으로는 설계속도를 크게 상회하는 주행속도로 이어질 개연성에 주목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두 가지 연구 논점을 검토했다.
  • 본 논문에서는 두 가지 연구 논점을 검토했다. 첫째는 도로설계실무에서 막연히 논의만 되었던 안전여유에 대한 정량적인 값을 산출해보는 것이고 둘째는 안전여유 및 설계실무에서 최소곡선반경보다 여유로운 곡선반경의 선정으로 인한 도로 공용 후 파생되는 주행속도에 대해 검토하는 것이다.
  • 논문에서 제기코자 하는 문제점은 도로 설계속도는 공용후 주행속도를 대표할 수 있어야 하지만 앞서 언급한 두 가지 이유로 인해 설계속도를 크게 상회하는 주행속도가 발생할 개연성이 있으며 이러한 점이 설계속도 기반 선형설계의 한계점이라는 것이다. 따라서 이를 극복할 수 있는 방안 마련의 필요성을 제기하는 것이 논문의 목적이다.
  • 미끄럼마찰계수를 조사한 이유는 쾌적성을 기반으로 한 최소 곡선반경 설계와 실제 습윤 노면상태에서 조사되는 미끄럼마찰계수와의 차이를 검토해보는 것이다. 이를 토대로 쾌적성을 기반으로 한 최소곡선 반경 기준은 최소한 물리적으로 안전한 곡선반경보다도 안전여유가 고려되어 있다는 것을 제시하려고 한다. 운전자의 주행속도를 조사한 이유는 안전여유 및 최소곡선 반경 이상으로 설계를 시행하는 실무 관행이 궁극적으로 설계속도와 주행속도 사이에 큰 괴리를 발생시키는 측면에 대해 검토하고자 하였다.
  • 이를 토대로 쾌적성을 기반으로 한 최소곡선 반경 기준은 최소한 물리적으로 안전한 곡선반경보다도 안전여유가 고려되어 있다는 것을 제시하려고 한다. 운전자의 주행속도를 조사한 이유는 안전여유 및 최소곡선 반경 이상으로 설계를 시행하는 실무 관행이 궁극적으로 설계속도와 주행속도 사이에 큰 괴리를 발생시키는 측면에 대해 검토하고자 하였다.
  • 본 논문은 설계속도에 따라 규정된 최소곡선반경 기준은 해당 도로에 부여된 기능을 충족하기 위해 설계구간 내에서 가장 열악한 설계지점의 하한치를 규정하고 있다는 의미와 함께 설계구간 내에서 운전자의 주행속도를 설계속도와 크게 다르지 않게 유지할 수 있는 소위 “제어(control)”포인트의 역할도 동시에 하는 것으로 이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본다.
  • 그러나 현 도로설계기준은 최소설계기준은 분명하게 제시하고 있으나 최소기준 이상으로 설계되는 조건에 대해서는 분명한 규정을 제시하지 않고 있다. 본 논문은 이러한 점이 설계속도와 공용 후 운전자의 주행속도 간에 큰 차이를 가져올 수 있는 개연성을 주고 있다고 본다.
  • 본 논문은 설계속도에 따라 규정된 최소곡선 반경 기준은 해당 도로에 부여된 기능을 충족하기 위해 설계구간 내에서 가장 열악한 설계지점의 하한치를 규정하고 있다는 의미와 함께 설계구간 내에서 운전자의 주행속도를 설계속도와 크게 다르지 않게 유지할 수 있는 소위 “제어(control)”포인트의 역할도 동시에 하는 것으로 이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본다. 따라서 설계속도 기반의 선형설계가 공용 후에도 개념과 구현 사이에 일관성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평면선형 설계관리가 필요하다는 것이 본 논문의 제안점이다.
  • 본 논문은 설계속도 기반 선형설계의 한계점에 대해 검토하였다. 설계속도 기반 선형설계는 최소기준 중심의 설계로써 토목설계에서 언급하는 안전여유를 고려하고 있다.
  • 더욱이 현 도로설계기준에서도 언급한 바와 같이 최소곡선반경보다도 여유로운 설계 값을 선택하라는 권고는 안전여유를 더욱 높이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는 현장 조사된 미끄럼마찰계수와 주행속도 자료를 이용하여 연구배경과 논점에서 제기한 현상이 사실상 도로현장에서 발생되고 있음을 입증하였다. 연구결과를 통한 제안으로, 설계속도 기반 평면선형 설계는 최소 값 규정과 더불어 설계속도와 도로 공용 후 주행속도 간에 큰 차이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설계관리가 필요함을 제시하였다.

가설 설정

  • 이들 자료는 검지기에 저장되고 조사시간이 끝난 후에 RS232 포트를 통해 개인용 컴퓨터로 옮겨진다. 조사장비를 통해 조사된 자료 중 추종이 일어날 수 있는 차두시간이 10초 이하인 경우는 다른 차량의 영향을 받았다고 가정하고 자료에서 제외하였으며, 차종은 승용차로 국한하여 분석을 수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도로 설계속도란? 도로 설계속도는 기상 조건이 양호한 상태에서 평균적 운전 기술을 가진 운전자가 쾌적성을 유지하고 주행할 수 있는 최고 속도이다. 설계속도가 도로설계요소를 정하는 기초 근거로 사용되는 이유는 도로 공용 시 운전자가 선택할 것으로 예상되는 주행속도를 대표할 수 있다고 보기 때문이다.
설계속도가 도로설계요소를 정하는 기초 근거로 사용되는 이유는? 도로 설계속도는 기상 조건이 양호한 상태에서 평균적 운전 기술을 가진 운전자가 쾌적성을 유지하고 주행할 수 있는 최고 속도이다. 설계속도가 도로설계요소를 정하는 기초 근거로 사용되는 이유는 도로 공용 시 운전자가 선택할 것으로 예상되는 주행속도를 대표할 수 있다고 보기 때문이다. 평면 곡선부의 설계에 있어서도, 운전자가 설계속도로 주행 시 쾌적성을 유지한 채 곡선부를 통과할 수 있는 최소곡선반경 기준을 제시하고 있다.
현 설계속도 기반 선형설계의 한계는 무엇인가? 설계속도 기반의 도로 설계는 최소에 관한 분명한 기준을 두고 있는 반면에 이를 초과하는 설계에 있어서는 어떠한 제약도 사실상 제시하고 있지 않다. 이는 설계의 유연성을 고려한 측면이라고 볼 수 있으나 도로 운영 관점에서는 운전자의 과속을 유발하는 등의 심각한 부작용을 초래하는 단서를 제공하는 양면성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부분이 현 설계속도 기반 선형설계의 한계이기도 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7)

  1. 건설교통부(2000), 도로의 구조.시설기준에 관한 규칙 해설 및 지침 

  2. 국토해양부령(2009), 도로의 구조.시설기준에 관한 규칙 

  3. 日本道路協會(2004), 道路構造令の解說と運用 

  4. American Association of State Highway and Transportation Officials(2001), A Policy on Geometric Design of Highways and Streets 

  5. Barnett, J. (1936), "Safe Friction Factors and Superelevation Design," Proc., Sixteen Annual Meeting, Washington, D.C. Novemver 18-20, 1936. HRB, National Research Council, Washington, D.C., pp 69-80. 

  6. Lamm, R., Basil Psarianos, and Theodor Mailaender (1999), Highway Design and Traffic Safety Engineering Handbook, McGraw-Hill, pp 10.8-10.9 

  7. McLean. J. R. (1981), "Driver Speed Behaviour and Rural Road Alignment Design", Traffic Engineering & Control, Vol. 22, 1981.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