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물놀이 사고로 유발된 급성호흡부전 환자에서 정정맥 체외순환막형산화요법의 적용 - 2예 보고 -
Veno-Venous Extracorporeal Membrane Oxygenation of Acute Respiratory Failure due to Near-drowning -2 case reports- 원문보기

大韓胸部外科學會誌 = The Korean journal of thoracic and cardiovascular surgery, v.43 no.2 = no.295, 2010년, pp.164 - 167  

김형수 (한림대학교 의과대학 흉부외과학교실) ,  한상진 (한림대학교 춘천성심병원 순환기내과) ,  이창률 (한림대학교 춘천성심병원 호흡기내과) ,  이순희 (한림대학교 춘천성심병원 전임간호사) ,  정재한 (한림대학교 의과대학 흉부외과학교실) ,  김성준 (한림대학교 의과대학 흉부외과학교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여러 가지 원인에 의해 발생된 급성 호흡부전에서 체외순환막형산화요법은 폐기능을 회복시키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물놀이 사고로 인해 발생된 급성 호흡부전 환자에서 기존의 적절한 치료에 반응하지 않는 경우 체외순환막형산화요법으로 성공적으로 치료한 보고들이 있다. 저자들은 물놀이 사고로 급성호흡부전이 발생한 2명의 환자를 정정맥 체외순환막형산화요법으로 치료를 하였다. 정맥 도관의 삽입은 모두 경피적으로 양측 대퇴정맥을 이용하였다. 2명의 환자 모두 성공적으로 체외순환막형산화요법을 제거할 수 있었으나, 1명의 환자에서 저 산소성 뇌손상과 거미막 및 출혈이 발생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Extracorporeal membrane oxygenation (ECMO) during acute respiratory failure due to any cause aids in the recovery of respiratory function. The use of ECMO for acute respiratory failure due to near drowning was reported to be a successful therapeutic option in those patients who do not respond to op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1A). 내원 후 8시간째 정정맥 체외순환막형산화요법을 시행하였다. 정정 맥 체외순환막형산화요법은 혈관 조영 촬영실에서 양측 대퇴정맥에 21 Fr DLP (Medtronic Inc.
  • 9 이상에서 PaO2/FiO2<80 이하이고 Murray score가 3~4점일 경우이다. 또한 천식이나 다른 원인에 의해 CO2가 축척 될때 사용할 수가 있다 본 증례 경우 병원에 도착한 후 폐 부종이 진행하였고, 기계 환기를 통해 산소 포화도가 적절하게 유지 되지 않았으며, 또한 다량의 페 분비물을 흡입할 때 혈압저하 및 서맥이 발생하여 폐 분비물의 제거가 원활히 시행하기가 어려워 정정맥 체외순환막형산화요법을 시행하였다. 시술 후환 자들의 상태는 안정 되었고, 폐 분비물의 제거도 용이하였으며 또한 폐 상태의 신속한 호전을 관찰할 수 있었다.
  • 응급실로 내원하였다. 병원 도착 당시 의식은 혼미 하였고, 호흡곤란으로 기관 삽관 후 기계호흡을 시행하였으나 다량의 폐 분비물로 인하여 지속적인 기관흡입이 어려워 내원 후 4시간 째 정정맥 체외순환막형산화요법을 시행하였다. 혈관 조영 촬영실에서 양측 대퇴정맥에 21 Fr DLP (Medtronic Inc, MN, USA) 정 맥 도관을 우심방 내에 위치시키고, 24 Fr RMI (Edward's lifescience LLC, Irvine, CA) 정맥도관은 하대정맥에 위치시킨 후 Biopump(Medtronic Inc, MN, USA)로 정정맥 체외순환막형산화요법을 시행하였고 분당 혈류량은 4-5.
  • 환자의 폐 상태는 호전되어 115시간 후 정정맥 체외순환막형산화요법을 제거할 수 있었다. 정맥 도관의 제거는 수술실에서 시행하였다. 입원 기간 중환자의 의식 상태가 회복되지 않아 입원 7일째 시행한 뇌 컴퓨터 단층 촬영 결과 저 산소성 뇌손상 및 거미막 밑 출혈이 진단되어 보호자가 원하여 거주지 병원으로 전원하였다
  • , Tokyo, Japan)으로 분당 혈류량은 4~4:7 L/min로 유지하였다. 정정맥 체외순환막형산화요법을 시행한 후 폐 분비물의 제거가 용이 하였고(Fig. IB), 환자의 상태가 호전되어 정정맥 체외순환막형산화요법을 시행한 후 56시간 째 중환자실에서 정맥 도관을 제거 한 후 양쪽 대퇴정맥을 압박하여 지혈하였다. 입원 후 5일째 일반병실로 이실 하였고, 특별한 합병증의 발생 없이 13일째 퇴원하였다.
  • 병원 도착 당시 의식은 혼미 하였고, 호흡곤란으로 기관 삽관 후 기계호흡을 시행하였으나 다량의 폐 분비물로 인하여 지속적인 기관흡입이 어려워 내원 후 4시간 째 정정맥 체외순환막형산화요법을 시행하였다. 혈관 조영 촬영실에서 양측 대퇴정맥에 21 Fr DLP (Medtronic Inc, MN, USA) 정 맥 도관을 우심방 내에 위치시키고, 24 Fr RMI (Edward's lifescience LLC, Irvine, CA) 정맥도관은 하대정맥에 위치시킨 후 Biopump(Medtronic Inc, MN, USA)로 정정맥 체외순환막형산화요법을 시행하였고 분당 혈류량은 4-5.6 L/min로 유지하였다, 정정맥 체외순환막형산화요법을 유지 중 급성신부전이 발생하여 혈액 투석기의 도관을 정정맥 체외순환막형산화요법 장치에 연결하여 지속적 신 대체요법을 시행하였다(Fig. 2). 환자의 폐 상태는 호전되어 115시간 후 정정맥 체외순환막형산화요법을 제거할 수 있었다.

대상 데이터

  • 증례 1

    12세 여자 환자가 강에서 물놀이 도중 물에 빠진 후 약 5분 뒤 119 구조대에 구조되어 응급실로 내원하였다. 병원 도착 당시 의식은 명료 하였으나 호흡곤란이 심하여 기관 삽관 후 기계호흡을 FiO2 1.

  • 42세 남자 환자가 강에서 물에 빠진 후 약 5~10분 후 구조되어 응급실로 내원하였다. 병원 도착 당시 의식은 혼미 하였고, 호흡곤란으로 기관 삽관 후 기계호흡을 시행하였으나 다량의 폐 분비물로 인하여 지속적인 기관흡입이 어려워 내원 후 4시간 째 정정맥 체외순환막형산화요법을 시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7)

  1. Statistics Korea. Causes of Death Statistics in 2008 

  2. Kapur N, Slater A, McEniery J, Greer ML, Masters IB, Chang AB. Therapeutic bronchoscopy in a child with sand aspiration and respiratory failure from near-drowning-case report and literature review. Pediatr Pulmonol 2009;44:1043-7 

  3. Hemmila MR, Rowe SA, Boules TN, et al. Extracorporeal life support for severe acute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in adults. Ann Surg 2004;240:595-607 

  4. Eich C, Brauer A, Kettler D. Recovery of a hypothermic drowned child after resuscitation with cardiopulmonary bypass followed by prolonged extracorporeal membrane oxygenation. Resuscitation 2005;67:145-8 

  5. Peralta R, Ryan DP, Iribrane A, Fitzsimons MG. Extracorporeal membrane oxygenation and CO2 removal in an adult after near drowning. J Extra Corpor Technol 2005;37:71-4 

  6. Thalmann M, Trampitsch E, Haberfellner N, Eisendle E, Kraschl R, Kobinia G. Resuscitation in near drowning with extracorporeal membrane oxygenation. Ann Thorac Surg 2001;72:607-8 

  7. Extracorporeal Life Support Organization. ELSO education page. Available at: http://www.elso.med.umich.edu/guide.htm. Accessed Nov. 21, 200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