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대한제국 1900년(광무(光武)4) 문관대례복 제도와 무궁화 문양의 상징성
The Institution of Court Costume in the Year 1900 (the 4th Year of Korean Empire Gwangmu) and the Symbolism of Mugunghwa, the Rose of Sharon Pattern 원문보기

服飾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v.60 no.3, 2010년, pp.123 - 137  

이경미 (서울대학교 박물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contemplating and substantiating Korean Empire's court costume through relics and photos. Additionally, the meaning of the pattern of Mugunghwa as the national symbol in the court costume is consider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following. First, a phased introductio...

주제어

참고문헌 (38)

  1. Valerie, Steele (2005). Encyclopedia of Clothing and Fashion. 1권. Farmington Hills, MI: Thomson Gale. pp. 312-314. 

  2. 목수현 (2008). 한국 근대 전환기 국가 시각 상징물.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pp. 188-191. 

  3. 이경미 (2009a). 19세기말 서구식 대례복 제도에 대한 조선의 최초 시각-서계(書契) 접수문제를 통해-. 한국의류학회지, 33(5) 참조. 

  4. 이경미 (1999). 19세기 개항 이후 한일 복식제도 비교.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p. 57-59 

  5. 이경미 (2009b). 갑신의제개혁(1884년) 이전 일본 파견 수신사와 조사시찰단의 복식 및 복식관, 한국의류학회지, 33(1) 참조. 

  6. 국립민속박물관 (2006). 독일인 헤르만 산더의 여행. 서울: 시월. p. 132. 

  7. 국역승정원일기 고종 31년 갑오(1984, 개국 503) 12월 16일 戊年. 

  8. 고종실록 권33 고종 32년 (1895) 3월 29일 

  9. 고종실록 권33 고종 32년 (1895) 8월 10일 戊寅 

  10. 국역승정원일기, 고종 32년 을미(1895, 개국 504) 8월 1일. 

  11. 고종실록, 권40. 光武4년 4월 17일. 목수현 (2008). 한국 근대 전환기 국가 시각 상징물.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pp. 112-119 참조. 

  12. 최규순 (2008). 藏書閣 소장 官服章圖案연구. 藏書閣, 19, p. 236 참조. 

  13. 의정부(조선)편(1894-1909), 간자미상. 勅令存案. 

  14. 고종실록 권21 고종21년 (1884) 윤5월 25일 戊辰. 

  15. 고종실록 권39 고종36년 (1899) 1월 1일. 

  16. 承政院日記 고종 36년 6월 27일(癸卯, 양력 8월 3일). 

  17. 이경미 (2009a). 19세기말 서구식 대례복 제도에 대한 조선의 최초 시각-서계(書契) 접수문제를 통해-. 한국의류학회지, 33(5) p. 736. 

  18. 의정부(조선)편 (1894-1909), 간자미상. 勅令存案. 

  19. 官報附錄. 1901년(光武5) 9월 3일. 

  20. 山根章弘 (1983). 羊毛の語る日本史. 東京: 東洋印刷 株式會社. pp. 15-17. 

  21. 寺島良安 (1712). 倭漢三才圖會. 羅秒. 서울대학교 고문헌자료실 소장본 

  22. 植木淑子 (1994). 明治初期における文官大禮服. 日本 服飾學會誌. 13號. 

  23. 刑部芳則(2002). 岩倉遺歐使節の文官大禮服について, 風俗史學 19號. 참조. 

  24. 이경미 (2008). 대한제국의 서구식 대례복 패러다임.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pp. 44-69. 

  25. 寺島良安. 대한제국의 서구식 대례복 패러다임.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天鵝絨. 서울대학교 고문헌자료실 소장본 

  26. 고려대학교 박물관 편 (2006). 서울의 추억. 서울: 도서출판 삼도. p. 203. 

  27. 한국금융사박물관 유물번호 421007. 이재완 사진. 자료검색일 2010. 1. 20, 자료출처 http://www.shinhanmuseum.co.kr 

  28. 허동화 발행 (1991). 大韓制國時代文物展. 서울: 영인 프로세스, pp. 5-6 

  29. 유희경, 이강칠, 허동화, 이순자 (1991). 大韓制國時代 文武官服節制度-大韓制國時代 文物展 카다로그 附錄. 서울: 한국자수박물관 출판부 발행. 

  30. 허동화 발행. 大韓制國時代文物展. 서울: 영인 프로세스, pp. 5. 

  31. 손세창 (단기 4290). 殉國烈士李漢應先生遺事. 대구: 문예홍보사, p. 1. 

  32. 최규순. 藏書閣 소장 官服章圖案연구. 藏書閣, 19, pp. 244-246. 

  33. 독립기념관 (2006). 독립기념관 전시품 도록. 충남: 삼성종합인쇄, p. 143. 

  34. 沈在箕 (1999). 우리말 어원(5) "無窮花의 내력". 한글한자문화, 7, pp. 31-33. 

  35. 목수현. 한국 근대 전환기 국가 시각 상징물.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p. 96. 

  36. 李圭景(刊寫年未詳). 五洲行文辰箋散稿 經史編5 論史類1. 東方舊號故事辦證說 한국고전번역원 번역 참고. 자료검색일 2010. 1. 20, 자료출처 한국종합DB 홈페이지 http://db.itkc.or.kr 

  37. 李裕元 저. 민족문화추진위원회 역 (1999). 국역林下筆記, 제11권. 文獻指掌編 君子國 자료검색일 2010. 1. 20, 자료출처 한국종합DB 홈페이지 http://db.itkc.or.kr 

  38. 목수현. 한국 근대 전환기 국가 시각 상징물.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pp. 194-197.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