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대한제국기 프록코트의 형태와 제작법에 관한 연구 - 박기종 유물 조사를 중심으로 -
A study of the shape and tailoring of frock coats in the Korean Empire - Park Ki-Jong's frock coat - 원문보기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 복식문화연구, v.23 no.3, 2015년, pp.439 - 453  

최은주 (영산대학교 패션디자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research is regarding Park Ki-Jong's Western-style court costume and emphasizes the shape and style peculiarities of Western-style court costumes in the Korean Empire from the 1876 Port Opening to the 1910 annexation of Korean to Japan. Park Ki-Jong's frock coat was made during the period of t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프록코트 유물도 시기적으로는 어느 정도 남아있을 듯 하지만, 개개인 후손들이 소장하고 있는지, 박물관들의 소장유물들이 아직 정리가 되어있지 않았는지 조사에서 드러나지가 않았다. Lee(2013)가 밝히고 있는 것처럼 대한제국기의 유물들이 100년 이상의 시간이 경과되어 자연스러운 과정으로, 보관의 상태에 따라 낡아지고 있으므로, 본 연구에서는 부산박물관에서 소장하고 있는 대한제국 당시의 실존인물로 본인이 직접 착용하였던 착용시기가 명확한 박기종의 기증유물 중 서양식 관복인 프록코트와 착용사진을 연구 대상으로 삼고, 형태 특성과 테일러링에 대해 유물을 중심으로 실증적 고찰을 하고자 한다. 박기종의 프록코트는 문화재청의 문화재 대상 기준에 해당하는 근대 의생활 분야 유물로 문화적, 사회적, 학술적 가치와 더불어, 복식사적 그리고 문화재적 가치를 포함하고 있는 유물로 현재 부산시 지정문화재로 등록되어 있다.
  • 향후 이 시기의 유물들이 더 추가되어 고찰되어진다면 지금까지의 연구 결과와 비교 분석을 통하여 보다 체계적이고 보편적인 연구로 패턴제작 실험 및 복식 재현 등이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박기종의 유물 중 이번 연구에서 빠져있는 조끼 2점에 대해서도 차후 고찰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부산박물관 소장의 박기종의 기증 유물 중 통상복 또는 소례복으로 당시 사용되었던 프록코트 일습 중 상의인 프록코트를 고찰하여 양복의 도입기 당시의 프록코트의 형태와 특성파악 및 치수, 테일러링 등을 실증적 고찰을 하여 대한제국기의 복식 복원 및 재현 등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가설 설정

  • 5) 안단은 상하가 나뉘어져 두 개가 연결되어 구성되어져 있다. 먼저 라펠안단 부분은 따로 재단하여 박음질하고, 아래 스커트 부분은 스커트 앞 중심을 연장하여 연결된 안단 형태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대한 제국 당시의 프록코트가 나타내는 형태적 특징은 무엇인가? 2. 대한제국기의 당시의 프록코트를 착용한 사진들과 박기종의 유물 프록코트를 살펴보면 19세기 서양의 다양했던 프록코트 디자인 중 허리선이 분리되어 무릎길이의 A라인 스커트가 달린 형태로 피크드 라펠에 더블브레스트로 여밈용 단추와 장식용 단추가 달려있는 형태 특성을 나타내었다.
복식사 연구에서 개화기를 구분하는 기준은? 일반적으로 복식사 연구에서 개화기는 최초의 개항시기에 맞추어 강화도수호조약이 체결된 1876년부터 한일합방이 이루어진 19010년까지로 시대 구분을 한다(Ryu, 1980). 그러나 복식의 변천에 있어서 대한제국은 이때부터 광무개혁이 진행되었으며, 관복에 있어서 양복 도입은 이 시기에 이루어지게 되었다.
1908년 기록에 의하면 연미복과 프록코트 착용 일은 어떻게 다른가? 그리고 소례복 일습에는 연미복과 프록코트 두 가지로 구분되어 있으며, 이 둘은 착용일이 서로 달랐다. 프록코트는 궁내 진현 시, 각국 경절 하례시, 사적으로 서로 예방 시에 착용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장(喪章)으로 대례복, 연미복, 프록코트의 조전(照前) 착용이 기록되어 있고, 부칙에 대례복을 미비한 관원은 소례복(프록코트)으로 대신 착용하여도 무방하다고 기록되어 있다(Lee, 2011; Korean Empire Ministry Record Section, 1982). 이로써 조선 왕조 500년의 구관복제도는 완전히 서양화되었다(Kum, 200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Bond, D. (2000). The guinness guide to twentieth century fashion (Jung H. S. Trans). Seoul: Kungchunsa. 

  2. Busan Modern History Museum. (2005). 都總. Busan: Youngsinad. 

  3. Busan Modern History Museum. (2005). 上京日記[Sang KyungIlGi: The diary of come up to the capital]. Busan: Youngsinad. 

  4. Choi, K. S. (2008). A study on court dress in Gungnaebu of Daehan Empire. Korean Studies Quarterly, 31(2), 3-39. 

  5. Choi, K. S. (2011). Preparation of the Japanese compulsory annexation of Korea appeared in the changed system of the western-style full dress uniform in 1905-1906. Journal of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Studies, 39, 5-57. 

  6. Culture Heritage Administration. (2012). 2012 A report of investigation in clothing habits contents for modern present age. Seoul: Copyworks. 

  7. Davis, R. I. (1994). Men's garments 1830-1900 -a guide to pattern cutting and tailoring. CA: Players Press. 

  8. Hwang, J. H. (2000). The transformation of Korean costume during the Period of Modernization of Korea: From the last Chosun Dynasty to 1945. Unpublished master's thesis, Sookmyung Women's University, Seoul, Korea. 

  9. Investigation and taking a picture of Frock coat were in Jan. 2012 and Mar. 2015 in Busan Museum. 

  10. Jung, B. S. (2014). A centennial anniversary of tailor history: Chongro tailor's. National Folklore Museum, Seoul: Autumn plan. 

  11. Kang, S. G. (2005). Domestic and foreign cognition of King Kojong and diplomacy of Daehanjeguk (Great Han Empire). The Review of Korean and Asian Political Thoughts, 4(2), 105-129. 

  12. Kim, D. C. (2005). Park Ki Jong, Bring glory person in Busan at 20C 2. Busan Metropolitan City. 

  13. Kim, E. J. (2010). A study on the naturalized costume terminologies appearing in Korean newspapers and magazines, from the age of enlightenment to the time of independence (1876-1945).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stume, 60(2), 20-34. 

  14. Kim, J. S. (1990). A hundred history of western costume in Korea. Seoul: Mirinae. 

  15. Kim, M. J. (1977). The study of the changes on government officials' garments of the Chosun day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stume, 1, 67-84. 

  16. Kim, Y. H. (1987). A study on the introduction of western costume and the process of reception in the civilized age of Korea. Unpublished master's thesis, Sungkyunkwan University, Seoul, Korea. 

  17. Korean Empire Ministry Record Section 內閣記錄課. (1982). 法棍類編 二. Seoul: Asiamoonwhasa. (Original work Published 1908) 

  18. Kum, K. S., Kim, M. J., Yu, H. Y., Bae, C. B., Shin, H. S., Park. M. Y., Park M. H., Choi, H. J., Kim, Y. I., & Kim Y. H. (2002). Fashion: 1900-2000. Seoul: Kyomunsa. 

  19. Lee, K. M. (2008). Western-styled court costume paradigm of the Korean Empire.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Korea. 

  20. Lee, K. M. (2010). The institution of court costume in the year 1900 (the 4th year of Korean Empire Gwangmu) and the symbolism of Mugunghwa, the rose of sharon pattern.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stume, 60(3), 123-137. 

  21. Lee, K. M. (2011). A study on the revision and the loss of national identity of western-styled court costume in the Daehan Empir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stume, 61(4), 103-116. 

  22. Lee, K. M., & Lee, S. W. (2000). Comparison between the Korean and Japanese costume systems since port opening treaties in nineteenth century.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stume, 50(8), 149-163. 

  23. Lee, S. H. (1984). The transformation of costume during the period of modernization of Korea and the factors.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Korea. 

  24. Lee, Y. K., & Kim, J. G. (1995). A study on the change of the process of western clothing adoption of Korea.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stume, 26, 123-143. 

  25. Nam, K. M. (2008). A study on Korean men's daily wear: 1876-1945.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eoul Women's University, Seoul, Korea. 

  26. National Place Museum of Korea. (2010). 100 years past memories of the Korean Empire. Seoul: GraphicNet. 

  27. Park, S. S. (2003). The transformation of costume during the period of modernization of Korea. Dankook University Academy of Asian Studies, 295-310. 

  28. Park, S. Y. (1992). A study on changes of men's costume in Korea-with western costume after 1945.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Korea. 

  29. Park, Y. C. (1975). A study on changes of western costume in Korea. Unpublished master's thesis, Hongik University. Seoul, Korea. 

  30. Park, Y. C. (1977). A study on changes of western costume in Korea. The Student Defense of Dongduk Women's University, 121-122. 

  31. Ryu, H. K. (1980). Research of Korean costumes history. Seoul: Ewha Womans University Publish. 

  32. Ryu, H. K. (1981). History of Korea costume. Seoul: Kyomoonsa. 

  33. The Academy of Korean Studies. (n.d.). Encyclopedia of Korean Culture. Retrieved from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543173&cid46623&categoryId46623 

  34. Ticon Fashion Institute. (2006). A Gentleman's wardrobe 1: Formal wear. Seoul: Sigongsa. 

  35. Yi, H. H. (2012). The westernization of men's clothing influenced by Japan during the era of the Korean Empire. The Journal for the Study of Human and Culture, 20, 123-137.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