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음식문화 분야의 DDC 분류체계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mprovements of Food and Culture in Dewey Decimal Classification System 원문보기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v.21 no.1, 2010년, pp.43 - 57  

정연경 (이화여자대학교 사회과학대학 사회과학부 문헌정보학) ,  최윤경 (이화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문헌정보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문헌분류표를 바탕으로 음식문화 분야와 한식을 고찰하여 음식문화의 다양한 주제를 보다 더 효과적으로 분류할 수 있도록 DDC의 개선 방향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동서양의 대표적인 분류 체계인 DDC, UDC, LCC, KDC, NDC, 중국도서관도서분류법을 대상으로 식생활 풍습, 식사 예절, 영양과 식이, 식품과 음료, 식단과 상차림, 음료 기술, 식품 공학으로 나누어 음식문화와 관련된 항목들을 비교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6개 분류표의 한식에 대한 분류 항목은 거의 없었으며 앞으로 한국 고유의 음식과 상차림 등이 분류표에 반영될 필요성을 확인하였다. 분류표에 새로운 분류 항목이나 주기의 추가를 위해서는 문헌적 타당성을 가져야 하므로 다양한 한식에 관한 조리법이나 간행물을 발간하고 이를 전 세계에 알려야 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examine how food and culture and Korean foods are reflected in the classification systems and to propose improvements of DDC to classify various subjects related to the materials of food and culture. For the study, six classification systems - DDC(Dewey Decimal Clas...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러한 음식 문화 관련 정보 조직이 제대로 이루어져야지만 다양한 정보를 분석하여 각 나라에 맞는 한식 문화의 재창조가 가능하며 건강식으로서 한식의 이미지를 부각시킬 수 있는 체계적이고 전략적인 홍보 방안의 모색, 한식 정보 제공프로그램의 개발이 가능하다. 따라서본 연구는 음식 문화에 관한 동서양의 대표적인 분류 체계를 바탕으로 전 세계 음식 문화 정보의 체계와 조직화에 관해 고찰하고, 이를 통해 한식이 DDC에 반영된 정도와 앞으로 개선되어야할 사항을 제시하여 분류표 개정의 근거와 음식 종합 정보망의 기초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 음식 문화와 관련된 동서양의 문헌분류표의 항목 전개를 바탕으로 음식 문화의 분류체계와 그 안에서 한국 음식 문화가 차지하는 정도를 파악하였다. 이를 통해 향후 다양한 문헌분류표의 개정에 활용될 수 있는 내용을 도출하였다.
  • 음식문화 분야를 대상으로 분류체계나 주제 접근 방안을 다룬 연구들은 지금까지 거의 없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음식과 식품 분야로 범위를 확장하여 이들의 분류 체계를 다룬 연구와 특수한 주제에 보다 적합하도록 새로운 분류 체계를 개발하거나 기존 표준분류법을 확장․보완한 연구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 문헌분류표에 나타난 음식 문화를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음식 문화에 관한 분류 개선 사항을 다음과 같이 제안하였다. 전 세계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대표적인 십진분류표인 DDC를 기준으로 분류 항목의 추가나 확장이 필요한 부분을 제시하였다.
  • 본 연구는 우리 음식 문화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연구의 기초로 음식 문화 정보의 조직화를 위해 6개의 동서양 문헌 분류표를 비교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현행 분류 체계에 나타난 음식 문화의 분류 체계 분석과 용어를 검토하고 한국 음식에 관한 정보를 조직화해서 음식 문화에 대한 정보 접근성의 극대화를 도모하고자 하였으며, 세계적으로 사용되는 DDC의 개선 방향을 제안하였다.
  • 본 연구는 우리 음식 문화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연구의 기초로 음식 문화 정보의 조직화를 위해 6개의 동서양 문헌 분류표를 비교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현행 분류 체계에 나타난 음식 문화의 분류 체계 분석과 용어를 검토하고 한국 음식에 관한 정보를 조직화해서 음식 문화에 대한 정보 접근성의 극대화를 도모하고자 하였으며, 세계적으로 사용되는 DDC의 개선 방향을 제안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일본의 대표적인 식품 기업인 아지노모토사가 정의한 음식문화의 학문적 범주 네 가지는 무엇인가? co.jp/])에서는 음식문화의 학문적 범주를 자연과학, 사회과학, 소비, 생산의 4가지 측면에서 음식문화와 관련된 분야를 기술하고 있다. 음식문화와 관련된 분야로 심리학, 생태학, 민족학, 역사학, 고고학, 가정학, 경제학, 조리학, 위생학, 의학, 식품 영양학, 생리학 등에 걸쳐 있는 것으로 보았으며, 해당분야별로 관련된 세부사항을 식습관, 의식, 가치관, 식행동, 수급, 조달, 식량, 조리, 메뉴 작성, 재배, 육종, 식품 제조, 건강, 미각, 생리 등으로 나누고 핵심 요소로 식사, 음식, 식량, 식품, 영양, 기호, 식욕으로 구분하고 있다.
음식문화란 무엇인가? 음식문화란 ‘음식’과 ‘문화’의 합성어로써 음식문화의 개념을 명확하게 파악하기 위해서는 ‘문화’를 먼저 이해해야 한다. 사회과학에서의 ‘문화’란 ‘생활양식’, ‘가치’와‘세계관’ 등으로 우리 생활의 보편적인 범주를 모두 포괄 하는 의미로 사용되지만, 기존 식품학이나 식품사적 연구에서 ‘문화’의 의미는 ‘의례’ 또는 ‘전통’을 지칭하는 개념에 가깝다.
음식 종합 정보 DB 구축을 위해 가장 먼저 바탕이 되어야 하는 것은 무엇인가? 음식 문화, 그 중에서 한식의 세계화를 위한 국내 기반 구축의 하나로 음식 문화에 관한 정보를 수집해서 제공하는 음식 종합 정보 DB나 포탈 구축 및 다국어 서비스를 들 수 있다. 이를 위해서 가장 먼저 바탕이 되어야 하는 것이 음식과 관련해서 쏟아져 나오는 정보의 조직 화이다. 이는 음식 문화에 관한 분류 체계의 확립, 용어의 표준화를 위해서도 시급하며 한식의 세계화나 전통 식품 산업화 기술 개발을 위해 우선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부분인데 아직까지 이 사실을 제대로 인식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6)

  1. 고영만, 서태설, 조순영. 2006. 국가지식정보자원 분류체계 표준화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0(3): 151-173. 

  2. 구난숙, 권순자, 이경애, 이선영. 2004. 세계 속의 음식문화. 서울: 교문사. 

  3. 구성자, 김희선. 2005. 새롭게 쓴 세계의 음식문화. 서울: 교문사. 

  4. 김연례. 2009a. KDC, NDC, DDC의 토목공학 분야 분류체계 비교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0(3): 219-232. 

  5. 김의근, 이선익, 박명주, 김석지. 2009. 세계음식문화. 서울: 백산출판사. 

  6. 김자후. 1995. 법률학 전문분류표 창안을 위한 국내법체계 연구. 도서관학논집, 12: 439-469. 

  7. 김정현, 강명수. 2008. KDC 제4판 식품영양학 분야의 수정전개 방안.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39(4): 171-188. 

  8. 김정현, 배주연. 2005. KDC 광고 분야의 분류체계 개선에 관한 연구. 정보관리학회지, 22(4): 5-22. 

  9. 김정현, 문지현. 2002. 농학분야 인터넷자원의 분류체계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33(3): 393-414. 

  10. 김정현, 이명규. 2003. 농학 분야의 문헌분류 체계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34(1): 239-260. 

  11. 김정현, 이명규. 2009b. KDC 제 5판 건축공학분야 분류체계 개선 방안.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0(4): 401-425. 

  12. 김행란, 전혜경. 한식세계화 추진 현황과 연구방향, 농업 전망 2010, 197-227. 수원: 농촌진흥청. 

  13. 문지현, 김정현. 2009. 어린이도서 분류법의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0(2): 27-46. 

  14. 여지숙, 오동근. 2006. 한은도서분류법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37(1): 329-352. 

  15. 이민아. 2008. 한식 마케팅 모형 개발 연구: 한식 세계화 비젼 및 전략안 [online]. [cited 2010.2.18]. . 

  16. 일본도서관협회. 2005. 日本十進分類法(新訂 9版). 東京: 日本圖書館協會. 

  17. 정혜경, 이정혜. 1986. 음식 문화 연구의 다양한 이론적 시각과 연구주제들. 식품영양정보, 7: 59-80. 

  18. 中國圖書館 圖書分類法編輯委員會. 1990. 中國圖書館 圖書分類法. 北京: 書目文獻出版社. 

  19. 한국도서관협회 분류위원회. 2009. 한국십진분류법. 서울: 한국도서관협회. 

  20. 한경신. 1998. 한국음악자료 분류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32(3): 5-34. 

  21. Agenda Research Group. 2005. 한식과 한국 음식 문화의 세계화 [online]. [cited 2010.2.18]. . 

  22. Campbell, D. Grant. 2003. Global Abstractions: the classification of international economic data for bibliographic and statistical purposes. Cataloging & Classification Quarterly, 1(2): 221-234. 

  23. Datamonitor. 2008. MarketWatch: food 2008. London: Datamonitor. 

  24. Dewey, Melvil. 2000. Dewey Decimal classification. Dublin, Ohio: OCLC Online Computer Library Center. 

  25. Goldberg, Jolande E. 2003. Development of a Universal Law Classification: a Retrospective on Library of Congress Class K. Cataloging & Classification Quarterly, 35(3-4): 355-436. 

  26. Griffiths, David N. 2005. The United Nation Classification Scheme: a Critique and Recommendations. Cataloging & Classification Quarterly, 40(1): 19-41. 

  27. Juvan, Simona, Tomaz Bartol and Bojana Boh. 2005. Data Structuring and Classification in Newlyemerging Scientific Fields. Online Information Review, 29(5): 438-498. 

  28. Kinney, Daniel W. 2009. The Classification of Music Moving Image Materials: Historical Perspectives, Problems, and Practical Solutions. Cataloging & Classification Quarterly, 47(1): 2-22. 

  29. Library of Congress Subject Cataloging Division. 1999. Classification, class R: medicine. Washington: Library of Congress. 

  30. Library of Congress Subject Cataloging Division. 2000. Classification, class B: philosophy, psychology, religion. Washington: Library of Congress. 

  31. Library of Congress Subject Cataloging Division. 2005. Classification, class G: geography, anthropology, recreation. Washington: Library of Congress. 

  32. Library of Congress Subject Cataloging Division. 2007. Classification, class Q: science. Washington: Library of Congress. 

  33. Library of Congress Subject Cataloging Division. 2007. Classification, class T: technology. Washington: Library of Congress. 

  34. Nero, Lorraine M. 2006. Classifying the Popular Music of Trinidad and Tobago. Cataloging & Classification Quarterly, 42(3/4): 119-133. 

  35. WebDewey [cited 2010.1.15]. . 

  36. Ajinomoto(あしたのもと) Inc. [cited 2010.1.15]. .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