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사료 내 엄나무 첨가 급여가 육계의 생산성 및 계육의 지방산 조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ietary Supplementation of Castor Aralia (Kalopanax pictus Nakai) on Performance and Fatty Acid Composition of Chicken Meat 원문보기

Korean journal for food science of animal resources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v.30 no.2, 2010년, pp.305 - 312  

이상무 (경북대학교 축산학과) ,  황주환 (경북대학교 축산학과) ,  김영직 (대구대학교 동물자원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시험은 육계엄나무 가지와 잎을 급여하여 5주간 사육한 육계의 생산성과 계육의 일반성분, pH, 총페놀함량, 전자공여능, 콜레스테롤 함량 및 지방산 조성을 조사하였다. 실험구는 엄나무를 첨가 급여하지 않은 처리구를 대조구, 엄나무 가지 5% 급여구는 T1, 엄나무 잎 2% 급여구는 T2 그리고 엄나무 가지와 잎을 중탕하여 그 추출물을 급여한구를 T3 등 4개 처리구로 나누어 사양하였다. 육계의 사료요구율은 T1과 T3가 유의적으로 향상되었다. 계육의 일반성분은 엄나무 급여구에서 조지방 함량이 증가하는 경향이나, 일반성분은 유의성이 없었다. pH는 처리구간 유의성이 없었으며, T3에서 높은 경향이었다. 총 페놀 함량과 전자공여능은 엄나무 가지와 잎의 급여구에서 높았고, 엄나무 가지와 잎의 혼합 중탕구인 T3에서 그 함량이 가장 높았다(p<0.05). 계육의 총 콜레스테롤과 HDL-cholesterol은 엄나무 급여구에서 높았고, 특히 T3에서 가장 높았으며 LDL-cholesterol은 낮아지는 결과이었다(p<0.05). 지방산 조성은 엄나무를 급여함에 따라 지방산함량이 증가하였으며, 포화지방산은 감소하고, 불포화지방산이 증가하는 결과를 보이고 있으며, 특히 T3에서 이러한 경향은 뚜렷하였다. 결론적으로 엄나무 가지와 잎의 중 탕 처리구는(T3) 총콜레스테롤, HDL-cholesterol 및 불포화지방산을 증가시키고, LDL-cholesterol과 포화지방산을 감소시킴으로 cholesterol 및 지방산 조성을 개선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effects of dietary supplementation with Kalopanax pictus branch, leaves, and extracts on performance, proximate composition, pH, total phenol and 2,2-diphenyl-1-picrylhydrazyl (DPPH) scavenging activity, cholesterol and fatty acid composition of chicken meat. Broiler chicks were fed for 5 weeks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이와 같이 엄나무는 민간이나 한방에서 구황식물 혹은 약용식물로 이용되었을 뿐 아니라 우리나라 산야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장점이 있음에도 엄나무를 이용하여 계육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육계 사료에 엄나무 가지와 잎을 첨가 급여한 후 육계의 생산성, 일반성분, 총페놀함량, 전자공여능, 콜레스테롤 및 지방산 조성을 조사하였다.
  • 본 시험은 육계에 엄나무 가지와 잎을 급여하여 5주간 사육한 육계의 생산성과 계육의 일반성분, pH, 총페놀함량, 전자공여능, 콜레스테롤 함량 및 지방산 조성을 조사하였다. 실험구는 엄나무를 첨가 급여하지 않은 처리구를 대조구, 엄나무 가지 5% 급여구는 T1, 엄나무 잎 2% 급여구는 T2 그리고 엄나무 가지와 잎을 중탕하여 그 추출물을 급여한구를 T3 등 4개 처리구로 나누어 사양하였다.
  • 엄나무 급여 후 1, 2, 3, 4, 5주째 각 반복 별로 병아리의 체중을 측정하였다. 사료섭취량은 전일 급여량에서 잔량을 빼고 매일 측정하였으며, 사료요구율은 총 사료섭취량을 총 증체량으로 나누어 계산하였다. 폐사율은 입추 시부터 출하 시까지 처리구 별로 매일 조사하여 총 입추수에 대하여 폐사수를 나누어 구하였다.
  • 사육기간 중 사료와 물은 자유로이 섭취하도록 하였다. 시험구는 무첨가구를 대조구(control)로 하고, 엄나무가지 5% 급여구를 T1, 엄나무 잎 2% 급여구를 T2 그리고 엄나무 가지와 잎을 중탕하여 음수로 급여한구를 T3로 하였다. 엄나무 가지와 잎은 병아리와 성추들이 쉽게 채식할 수 있도록 분쇄기를 이용하여 1 mm 이하로 분쇄하여 급여하였으며, 엄나무 중탕은 엄나무 가지 40%와 잎 60%로 배합하여 물 20 L에 엄나무 5 kg(가지 2 kg + 잎 3 kg)를 넣어 5시간 동안 중탕한 후 냉장 보관하면서 음수에 5% 첨가하여 급여하였다.
  • 본 시험은 육계에 엄나무 가지와 잎을 급여하여 5주간 사육한 육계의 생산성과 계육의 일반성분, pH, 총페놀함량, 전자공여능, 콜레스테롤 함량 및 지방산 조성을 조사하였다. 실험구는 엄나무를 첨가 급여하지 않은 처리구를 대조구, 엄나무 가지 5% 급여구는 T1, 엄나무 잎 2% 급여구는 T2 그리고 엄나무 가지와 잎을 중탕하여 그 추출물을 급여한구를 T3 등 4개 처리구로 나누어 사양하였다. 육계의 사료요구율은 T1과 T3가 유의적으로 향상되었다.
  • 시험구는 무첨가구를 대조구(control)로 하고, 엄나무가지 5% 급여구를 T1, 엄나무 잎 2% 급여구를 T2 그리고 엄나무 가지와 잎을 중탕하여 음수로 급여한구를 T3로 하였다. 엄나무 가지와 잎은 병아리와 성추들이 쉽게 채식할 수 있도록 분쇄기를 이용하여 1 mm 이하로 분쇄하여 급여하였으며, 엄나무 중탕은 엄나무 가지 40%와 잎 60%로 배합하여 물 20 L에 엄나무 5 kg(가지 2 kg + 잎 3 kg)를 넣어 5시간 동안 중탕한 후 냉장 보관하면서 음수에 5% 첨가하여 급여하였다. 시험사료는 첫 주부터 실험 종료 시까지 급여한 후 도계하여 육질 분석을 위한 시료는 처리구 당 체중이 비슷한 개체를 20수씩 선발하여 박피한 후 발골하여 계육 전체를 분쇄하여 사용하였다.
  • 엄나무 급여 후 1, 2, 3, 4, 5주째 각 반복 별로 병아리의 체중을 측정하였다. 사료섭취량은 전일 급여량에서 잔량을 빼고 매일 측정하였으며, 사료요구율은 총 사료섭취량을 총 증체량으로 나누어 계산하였다.
  • 사료섭취량은 전일 급여량에서 잔량을 빼고 매일 측정하였으며, 사료요구율은 총 사료섭취량을 총 증체량으로 나누어 계산하였다. 폐사율은 입추 시부터 출하 시까지 처리구 별로 매일 조사하여 총 입추수에 대하여 폐사수를 나누어 구하였다. 도체중량은 반복 당 20수를 머리, 내장, 다리 및 털을 제거하는 방법으로 박피 도계한 후 체중을 측정하여 그 평균값(g)을 나타내었다.

대상 데이터

  • 본 실험은 부화 1일령의 무감별 육계병아리 Ross 품종 3,000수를 처리구 당 3반복, 반복 당 250수씩 4개 처리구로 공시하여 사양 실험하였으며, 실험동물은 완전 임의 배치하여 5주간 평사에서 사육하였다. 기초사료는 Table 1과 같은 배합비를 가진 육계 초기 및 전, 후기의 사료를 급여하였다.
  • 엄나무 가지와 잎은 병아리와 성추들이 쉽게 채식할 수 있도록 분쇄기를 이용하여 1 mm 이하로 분쇄하여 급여하였으며, 엄나무 중탕은 엄나무 가지 40%와 잎 60%로 배합하여 물 20 L에 엄나무 5 kg(가지 2 kg + 잎 3 kg)를 넣어 5시간 동안 중탕한 후 냉장 보관하면서 음수에 5% 첨가하여 급여하였다. 시험사료는 첫 주부터 실험 종료 시까지 급여한 후 도계하여 육질 분석을 위한 시료는 처리구 당 체중이 비슷한 개체를 20수씩 선발하여 박피한 후 발골하여 계육 전체를 분쇄하여 사용하였다.

데이터처리

  • 본 실험에서 얻어진 결과는 SAS program(2002)을 이용하여 분산분석을 실시하였고, 처리구간에 따른 평균간 유의성 검정은 Duncan의 다중검정방법으로 5% 수준에서 유의성 검정을 실시하였다.

이론/모형

  • DPPH(1,1-diphenyl-2-picrylhydrazyl) 라디칼 소거능은 Blois(1958)의 방법에 준하여 측정하였다. DPPH 16 mg을 100 mL 에탄올에 녹인 후 여과지로 여과하고 냉암소에 보관하였다.
  • 계육의 지방산 분석은 Folch 등(1957)의 방법에 따라 시료를 세절하여 시료 25 g에 Folch 용액(CHCl3 : CH3OH = 2:1) 180 mL과 BHT 0.5 mL을 넣고 homogenizer(2,500 rpm)로 균질화하여 0.08% NaCl 50 mL를 첨가 혼합한 후 3,000 rpm에서 10분 간 원심분리하였다. 그 후 추출된 지질 50 mg을 tefron-lined screw-cap tube에 넣고 4% H2SO4(in methanol) 3 mL를 첨가하여 90℃ water bath에서 20분간 methylation 시킨 후 hexane 3 mL와 증류수 2 mL를 넣고 섞은 다음 상층을 회수하여 GC(GC 14A, Shimadzu, Japan)로 분석하였으며, 이 때 GC의 분석조건으로 column의 초기 온도는 140℃에서 시작하여 2℃/min의 속도로 230℃까지 온도를 상승시켜 2분 간 유지하였다.
  • 일반 성분 분석은 AOAC(1994)의 방법에 따라 분석하였다. 즉, 수분은 105-110℃ 건조법, 조단백질은 Kjeldahl 법, 조지방은 Soxhlet 추출법, 조회분은 회화로를 이용한 회화법을 이용하였다.
  • 일반 성분 분석은 AOAC(1994)의 방법에 따라 분석하였다. 즉, 수분은 105-110℃ 건조법, 조단백질은 Kjeldahl 법, 조지방은 Soxhlet 추출법, 조회분은 회화로를 이용한 회화법을 이용하였다.
  • 1 여과지로 여과하여 여액을 감압 건조한 후 에탄올 5 mL을 가하여 지질을 녹인 후 분석용 시료로 사용하였다. 총콜레스테롤과 HDL-cholesterol의 측정은 (주)아산제약의 효소법으로 분석하였고, LDL-cholesterol은 Friedwald 공식을 이용하여 계산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엄나무의 잎은 어디에 사용되는가? , 1995). 잎은 일명 개두릅이라 하여 두릅과 마찬가지로 새순을 채취하여 산채로 널리 이용되고 있는 건강식품 중의 하나이다(Yook, 1988). 엄나무는 예로부터 한방에서 그 껍질을 해동피, 근피를 해동수근이라 하여 풍습제거, 경락소통, 살충, 살균, 항진균, 신경통 등으로 널리 사용되어 왔으며, 최근에는 면역활성 및 항산화 활성이 보고 되고 있다(Choi, 1997).
엄나무는 무슨과에 속하는가? 지금까지 보고된 여러 한약재 중 오갈피과에 속하는 엄나무(Kalopanax pictus Nakai)는 한국, 중국, 일본, 시베리아 등의 동아시아에 분포하고 있으며 국내에서는 군집성없이 개체목 단위로 분포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1속 1종 2변종이 자생하고 있으며, 표고 100-1,800 m 산기슭의 양지에서 자라며, 표고 400-500 m 부근이 중심 지대가 되고 있다(Park et al.
엄나무의 효능은? 잎은 일명 개두릅이라 하여 두릅과 마찬가지로 새순을 채취하여 산채로 널리 이용되고 있는 건강식품 중의 하나이다(Yook, 1988). 엄나무는 예로부터 한방에서 그 껍질을 해동피, 근피를 해동수근이라 하여 풍습제거, 경락소통, 살충, 살균, 항진균, 신경통 등으로 널리 사용되어 왔으며, 최근에는 면역활성 및 항산화 활성이 보고 되고 있다(Choi, 1997). 또한 가정에서는 닭백숙을 끓일 때 엄나무 가지를 첨가하여 비린내를 제거하고 담백한 국물을 만드는데 사용되는 등 많은 민간요법이 전해지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9)

  1. Amella, M., Bronner, C., Briancon, F., Haag, M., Anton, R., and Landry, Y. (1985) Inhibition of mast cell histamine release by flavonoids and biflavonoids. Plant Med. 1, 16-20. 

  2. AOAC (1994)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6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C. USA. 

  3. Baker, H. J., Lindsey, J. R., and Weisbroth, S. H. (1984) The laboratory rat. Academic Press Inc., NY, 2, 123-131. 

  4. Blois, M. S. (1958) Antioxidant determination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4617, 1199-2000. 

  5. Choi, S. W. (1997) Antioxidative properties of methanolic extracts in leave of Kalopanax pictus. Res. Bull Hyoseung Univ. Daegu 54, 131-139. 

  6. Dahilja, J. P., Wilkie, D. C., Van Kessel, A. G., and Drew, M. D. (2006) Potential trategies for controlling necrotic enteristis in broiler in post-antibiotic era. Anim. Feed Sci. Technol. 129, 60-68. 

  7. Deans, S. G. and Ritchie, G. (1987) Antibacterial properties of plant essential oils. Int. J. Food Microbiol. 5, 165-172. 

  8. Folch, J., Lee, M., and Sloane-Stanley, G. H. (1957) A simple method for the isolation and purification of lipids from animal tissues. J. Biol. Chem. 226, 497-509. 

  9. Grundy, S. M. (1986) Comparison of monounsaturated fatty acid and carbohydrates for lowering plasma cholesterol. N. Engl. J. Med. 314, 745-751. 

  10. Hansen, L. L., Claudi-Magnussen, C., Jensen, S. K., and Andersen, H. J. (2006) Effect of organic pig production systems on performance and meat quality. Meat Sci. 74, 605-615. 

  11. Hsieh, C. L. and Yen, G. C. (2000) Antioxidant actions of duzhong (Eucommia ulmoides oliv) toward oxidative damage in biomolecules. Life Sci. 66, 1387-1400. 

  12. Kang, S. K. (1995) Isolation and antimicrobial activity of antimicrobial substance obtained from leaf mustard (Brasia juncea). Korean J. Food Sci. Technol. 24, 679-698. 

  13. Kang, H. K., Beloor, J., Sohn, S. H., Jang, I. S., and Moon, Y.S. (2009) Effect of dietary supplement of Acanthopanax senticocus and Eucommiaceae on the expression of lipogenic, myogenic and antioxidant enzyme genes in broiler chickens. Korean J. Poult. Sci. 36, 39-45. 

  14. Kim, B. K., Hwang, I. U., Kang, S. S., Shin, S. H., Woo, S. C., and Kim, Y. J. (2002) Effect of dietary Panax ginseng, Dioscorea japonica and oriental medicine refuse on productivity of Korean native chicken. Korean J. Ani. Sci. Technol. 43, 297-304. 

  15. Kim, B. K., Woo, S, C., and Kim, Y. J. (2004) Effect of mugwort pelleted diet on storage stability of pork loins. Korean J. Food Sci. Ani. Resour. 24, 121-127. 

  16. Kim, D. H., Yu, K. W., Bae, E. A., Park, H. J., and Choi, J. W. (1998a) Metabolism of kalopanax B and H by human intestinal bacteria and antidiabetic activity of their metabolism. Biol. Pharm. Bull. 21, 360-365. 

  17. Kim, D. W., Kim, S. H., Yu, D. J., Kang, H. K., Kim, H. J., Kang, G. H., Jung, B. G., Na, J. C., Choi, C. H., and Lee, K. H. (2007) Effect of single or mixed supplementation of essential oil, femented medicinal plants and lactobacillus on performance, nutrient avility, blood characteristic, cecal microflora and intestinal digestive enzymes activity in broiler chickens. Korean J. Poult. Sci. 34, 187-196. 

  18. Kim, D. W., Bang, K. H., Rhee, Y. H., Lee, K. T., and Han, Y. N. (1998b) Growth inhibitory activities of kalopanaxsaponin A and I against human pathogenic fungi. Arch. Pharm. Res. 21, 688-691. 

  19. Kim, K. H., Yu, K. W., Bae, E. A., Park, H. J., and Choi, J. W. (1998c) Metabolism of kalopanaxsaponin B and H by human intestinal bacterial and antidisbetic activity of their metabolites. Biol. Pharm. Bull. 21, 360-364. 

  20. Kim, Y. J. (2006) Effect of feeding fish oil and mugwort pelleted addition on meat quality of pork. Korean J. Food Sci. Ani. Resour. 26, 78-84. 

  21. Kwon, O. S., Cho, J. H., Min, B. J., Kim, H. J., Chen, Y. G., Yoo, J. S., Kim, I. H., La, J. C., and Park, H. K. (2005) Effect of medicinal plants (artemisia, acanthopanax) and garlic on growth performance, IGF-1 and meat quality characteristic in growing-finishing pigs. Korean J. Food Sci. Ani. Resour. 25, 312-316. 

  22. Lee, C. H., Choi, M. S., and Kwon, K. W. (2000) Variation of kalosaponin contents in plant parts and population of native Kalopanax semtemlobus. Korean J. Pham. 31, 203-208. 

  23. Lee, E., Choi, M. Y., Park, H. J., Cha, B. C., and Cho, S. H. (1995) Chemical constituents and biological activity of kalopanaacis cortex. Korean J. Pharm. 26, 122-129. 

  24. Lee, H. and Lim, J. Y. (1998) Antimutagenic activity of extracts from anticancer drug in chinese medicine. Mutat. Res. 204, 229-234. 

  25. Lunt, D. K. and Smith, S. B. (1991) Wagyu beef holds profit potential for U.S. feed lot. Feedstuffs 19, 18-24. 

  26. Park, C. H., Ahn, S. D., Jang, B. H., and Ham, S. S. (1995) Explanation of herbs at hills and moors. Jangwon University publishing occuoation. Korea. pp. 102. 

  27. Park, H. J., Kim, D. H., Choi, J. W., Park, J. H., and Han, Y. N. (1998) A potent antidiabetic agent from Kalopanax pictus. Arch. Pharm. Res. 21, 24-29. 

  28. Park, U. T., Jang, D. S., and Cho, H. R. (1992) Antimicrobial effect of lithospermiradix (Lithospermum erythrorhizon) extract. J. Korean Soc. Food Sci. Nutr. 21, 97-100. 

  29. Pascual, J. V., Rafecas, M., Canela, M. A., Boaatella, J., Bou, R., and Barroeta, A. C. (2007) Effect of increasing amounts of a linoleic rich dietary fat on the fat composition of four pigs breeds. Food Chem. 100, 1639-1648. 

  30. Pearson, M. D., Gray, J. I., Wolzak, A. M., and Horenstein, N. A. (1983) Safety implication of oxidized lipids in muscle foods. Food Technol. 37, 121-129. 

  31. Porzel, A. T., Schmidt, S. J., Lischewski, M., and Adam, G. (1992) Studies on the chemical constituents of Kalopanax septemlobus. Plant Med. 58, 481-482. 

  32. Sano, K., Sanada, S., Ida, Y., and Shoji, J. (1991) Studies on the constituents of bark of Kalopanax pictus. Chem. Pharm. Bull. 39, 865-870. 

  33. SAS Institute Inc. (2002) SAS/STAT User`s Guide: Version 8.2. SAS Institute, Inc., Cary, North Carolina. 

  34. Shao, C. J., Kassi, R., Xu, J. D., and Tanaka, O. (1989) Saponins from roots of Kalopanax septemlobust koid. Structure of kalopanaxsaponins C, D and F. Chem. Pham. Bull. 37, 311-314. 

  35. Sofos, J. N., Beuchat, L. R., Davison, P. M., and Johnson, E. A. (1998) Naturally occuring antimicrobials in foods. Toxicol. Pharm. 28, 71-76. 

  36. Sohn, S. H., Jang, I. S., Moon, Y. S., Kim, Y. J., Lee, S. H., Ko, Y. H., Kang, S. Y., and Kang, H. K. (2008) Effect of dietary siberian ginseng and eucommia on broiler performance, serum biochemical profiles and telomere length. Korean J. Poult. Sci. 35, 283-290. 

  37. Tall, A. R. (1990) Plasma high density lipoproteins metabolism and relationship to atherogenesis. J. Clin. Invest. 86, 379-384. 

  38. Yook, C. S. (1988) Coloured medicinal plants of Korea. pp. 380. 

  39. Zhang, S. X., Farouk, M. M., Young, O. A., Wieliegko, K. J., and Podmore, A. J. (2005) Functional stability of frozen nomal and high pH beef. Meat Sci. 69, 765-77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