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자동차 네비게이션 시스템을 위한 햅틱 시트의 평가에 관한 연구
Evaluation of Haptic Seat for Vehicle Navigation System 원문보기

Journal of the Ergonomics Society of Korea = 大韓人間工學會誌, v.29 no.4, 2010년, pp.625 - 629  

장원석 (연세대학교 정보산업공학과) ,  김석환 (현대자동차 시트시스템설계팀) ,  편종권 (현대자동차 시트시스템설계팀) ,  지용구 (연세대학교 정보산업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has confirmed that subjective positive and negative aspects a driver feels by applying haptic seat on a vehicle to substantiate vehicle navigation system. Our experiment with total twenty subjects provides that the reaction time (RT) is superior in haptic interface than visual or auditory...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실험에 앞서 피실험자들은 실험의 목적과 방법, 순서에 대해서 설명을 들었다. 또한 각 실험에 앞서 각 실험에 사용될 신호와 방식에 대해서 미리 학습하고 연습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였다. 그들은 원하는 만큼 연습할 수 있는 기회를 가졌다.
  • 본 연구는 운전자의 정보 전달의 유연성과 운전의 안전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차량에 햅틱 시트를 통한 자동차 네비게이션 시스템에 대해서 운전자가 느끼는 긍정적인 측면과 부정적인 측면을 모두 확인하였다. 전반적으로 전혀 새로운 기술에 대한 실험인 만큼 개인차와 생소함이 컸지만 햅틱 시트에 대해 7점 중 5점 이상의 만족하는 결과를 보여 주었기 때문에 햅틱 시트의 실제 구현에 대한 충분한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햅틱 인터페이스의 장점은? , 2000; van Erp & van Veen, 2004). 이에 반해 햅틱 인터페이스는 신체 여러 부위를 활용하여 상대적으로 많은 정보를 동시에 전달할 수 있다는 장점으로 인해 시각과 음성 인터페이스의 대안과 보완의 역할로서 그 중요성이 증대되고 연구 범위가 다양해 지고 있는 추세다(Robles-De-La-Torre, 2008).
진동 햅틱 인터페이스의 정보전달은 어떻게 이뤄지는가? 특히 진동(vibrotactile)을 이용한 햅틱 인터페이스는 전기(electrotactile) 등의 방식에 비해 사용자가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Alahakone and Senanayake, 2009). 일반적으로 진동 햅틱 인터페이스는 여러 개의 진동 모터 등을 배열하여 정보를 전달한다. 이러한 배열은 진동이 한번에 울리도록 하여 단순한 정보를 전달하기도 하지만 위치와 순서 등을 이용하여 방향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시도들이 있어 왔다(Tan, Gray, Young and Traylor, 2003).
연구자가 우려하는 햅틱 인터페이스의 부정적인 측면은 무엇인가? 햅틱과 관련된 기존 연구들은 대부분 시각, 음성 방식보다 햅틱 방식의 높은 반응 속도, 정보 전달 채널의 구분, 작업부하 감소 등 시스템 자체의 효과에 초점을 맞추고 있기 때문에 햅틱 인터페이스의 부정적인 측면에 대한 연구는 부족하다. 하지만 사용자에게 전달하는 신호의 위치나 형식 등의 변수에 따라서 사용자가 실제로 느끼는 부정적인 반응은 예상보다 클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역으로 과부하를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우리는 운전자의 정보 전달의 유연성과 운전의 안전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자동차 네비게이션 시스템에 햅틱 시트를 적용하여 운전자가 느끼는 긍정적인 측면과 부정적인 측면을 모두 확인해야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0)

  1. Alahakone, A. U. and Senanayake, S. M. N. A., Vibrotactile Feedback Systems: Current Trends in Rehabilitation, Sports and Information Display, In Proceedings of the 2009 IEEE/ASM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Advanced Intelligent Mechatronics, (pp.1148-1153), 2009. 

  2. Hart, S. and Staveland, L., Development of NASA-TLX (Task Load Index): Results of empirical and theoretical research. Human mental workload, 1, 139-18, 1998. 

  3. Ho, C., Tan, H. Z. & Spence, C., Using spatial vibrotactile cues to direct visual attention in driving scenes, Transportation Research Part F 8, 397-412, 2005. 

  4. Lewis, J. R., IBM Computer Usability Satisfaction Questionnaires: Psychometric Evaluation and Instructions for Use. International Journal of Human-Computer Interaction, 7(1), 57-78, 1995. 

  5. Robles-De-La-Torre, G., Principles of haptic perception in virtual environments. In M. Grunwald (Ed.), Human haptic perception: Basics and applications (pp.363-379). Basel, Switzerland: Birkhauser Verlag, 2008. 

  6. Sayer, T. B., Sayer, J. R. and Devonshire, J. M. H., Assessment of a Driver Interface for Lateral Drift and Curve Speed Warning Systems: Mixed Results for Auditory and Haptic Warnings, In Proceedings of Driving Assessment, (pp.218-224), 2005. 

  7. Tan, H. Z., Gray, R., Young, J. J. and Traylor, R., A haptic display for attentional and directional cueing. Haptocs-e, 3(1), 1-20, 2003. 

  8. Tijerina, L., Johnston, S., Parmer, E., Winterbottom, M. D. and Goodman, M. Driver distraction with wireless telecommunications and route guidance systems (NHTSA Pub. No. DOT HS 809-069). Washington, DC: U.S. Department of Transportation. 2000. Retrieved on 10 October, 2007, from http://www-nrd.nhtsa.dot. gov/pdf/nrd-13/DDRGS_final0700_1.pdf. 

  9. Van Erp, J. B. F. and Van Veen, H. A. H. C., Vibro-tactile information presentation in automobiles, In Proceedings of Eurohaptics, (pp.99-104), Birmingham. UK. 2001. 

  10. Van Erp, J. B. F. and van Veen, H. A. H. C., Vibrotactile in-vehicle navigation system. Transportation Research Part F: Traffic Psychology and Behaviour, 7, 247-256, 200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