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졸음운전자의 각성을 위한 햅틱 경고신호의 설계 및 평가
Design and Evaluation of Haptic Signals for Drowsy Driving Warning System 원문보기

Journal of the Ergonomics Society of Korea = 大韓人間工學會誌, v.37 no.3, 2018년, pp.243 - 257  

김상호 (금오공과대학교 산업공학부) ,  예진해 (금오공과대학교 산업공학부) ,  신종규 (금오공과대학교 산업공학부) ,  최경임 (한국교통안전공단 교통안전교육처)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 This study is to design optimal haptic warning signal to secure awareness of drowsy driver and evaluate its alertness compared with the auditory signal. Background: As drowsy driving is one of the causes of fatal traffic accidents, the vehicle needs an assistant system that can monitor t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5단계 경고신호는 4단계 경고신호를 통해서 충분한 각성이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에 운전자를 확실하게 각성시키기 위해 발생되는 경고신호이기 때문에 본 실험조건에서는 4단계 신호의 각성효과와 완전히 분리하여 해석할 수 없었다. 5단계 졸음 상태에서 신호 특성에 따른 각성효과만을 별도로 분석하기 위해서는 4단계 졸음 상태에서는 신호를 전달하지 않고 5단계에 이르렀을 때에만 신호를 전달하는 방식의 별도 실험이 진행될 필요가 있는데 본 연구에서는 실제상황과 동일한 운용조건에서의 신호효과를 확인하는 것이 목표였기 때문에 이러한 방식을 취하지는 않았다.
  • 이를 위해 운전자의 상태를 모니터링 하다가 위험상황이 발생한 경우 운전자가 각성도를 회복할 수 있도록 경고신호를 전달해주는 시스템을 개발하고자 하는 것이며, 본 연구에서는 이 시스템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햅틱 경고신호를 설계하는 것이 목표이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서로 다른 특성을 지닌 햅틱신호의 졸음에 대한 각성효과를 측정 분석하고 이를 청각 신호를 사용한 경우와 비교 평가하고자 한다.
  • 반응률은 운전자가 주행 중 4단계 또는 5단계의 졸음 상태에 빠졌다가 주어진 경보신호에 의해 각성도가 회복되어 주어진 인지적 과업을 정확히 수행한 비율로 정의하였다. 본 실험에서는 각성도가 충분히 회복되지 않은 상태에서 무의식적인 반응을 보이는 경우를 제외하기 위하여 경보신호와 함께 시뮬레이터의 화면에 팝업 형식으로 특정한 색상의 버튼을 누르라는 지시문을 무작위순으로 제시하였다. 피실험자가 화면에서 지시하는 내용에 따라 핸들에 부착되어 있는 색상이 다른 버튼을 정확히 골라서 누르게 되면 반응을 한 것으로 간주하였다.
  • 본 실험에서는 진동패턴의 성능을 확인하기 위하여 각성도를 확보한 소리신호와의 비교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각성도를 확보한 소리신호에 비해서 실험에 활용한 2Hz, 5Hz 진동패턴이 더욱 빠른 평균 반응시간을 나타냈다.
  • 현재까지 진행된 졸음 경고 시스템 개발과 관련된 연구는 운전자를 졸음 상태를 판별하기 위한 방법론과 경고방식에 대해서 중점적으로 이루어졌고 경고신호의 실효성과 관련된 연구는 크게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도 주어진 조건에서 각성도를 극대화할 수 있는 신호조건을 확인하고 이를 실제 시스템에 적용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하지만 현재 수준의 각성효과가 졸음운전으로 인한 교통사고를 예방하기에 충분한 수준인지를 확인하기 위한 부분과 충분한 각성효과가 확보되지 않았다고 판단될 경우 이를 더욱 향상시키기 위한 추가적인 방안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노력이 필요하다.
  • 본 연구의 목적은 기 설계된 졸음운전 경보 시스템의 하드웨어 사양조건 하에서 졸음운전 시 최적의 경각성 확보를 위한 햅틱신호의 패턴을 설계하는 것이었다. 이런 목적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두 가지 형태의 진동자에 대해 인간의 신체 고유 진동수에 맞추어 2Hz, 5Hz, 8Hz의 세 가지 주파수 범위 내에서 일정한 On/Off 간격을 가지는 진동패턴을 형성하여 소리신호와 비교하는 실험을 실시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인 졸음운전자의 각성도 회복에 가장 효과적인 햅틱신호의 조건을 확인하기 위하여, 그 특성을 변조하기 위한 독립변수와 그 수준을 다음과 같이 결정하였다. 전압이 인가되면 한쪽 방향으로만 회전하는 회전형 진동자의 특성을 감안하여 진동패턴의 차이를 구성하기 위한 독립변수로 자극시간과 자극시차를 고려하였다.
  • 이러한 분산분석 결과를 통해 개인차를 제외하더라도 오차항의 크기가 신호조건의 차이라는 주효과를 확인하기에 상당히 크다는 점을 확인하였고 오차항의 크기를 증가시키는 또 다른 요인이 존재하는지를 확인하기 위한 추가적인 분석을 실시하였다. 우선 각 신호에 대한 성별 집단 별 평균 반응시간 및 산포를 확인하였다.
  • 졸음운전 상태에서 빠져나와 충분히 안전한 운전이 가능한 정도로 각성이 회복되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단순히 전달되는 자극에 물리적으로 반응하는 것으로는 충분치 않으며 상황에 대한 판단이 가능한 수준의 인지적 반응을 확인할 수 있어야 한다. 이러한 인지적 각성 상태를 확인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졸음 상태에서 각성을 위해 햅틱신호를 전달한 후 신호를 지각한 피실험자들이 시스템에서 지시하는 간단한 인지적 과업을 수행하도록 한 후 그 반응률과 반응시간을 측정하였다.
  • 본 연구는 앞서 언급한 바 있는 교통안전공단의 사업용운전자 위험상황 모니터링 시스템 실용화 기술 개발 사업의 일부로 진행되었는데, 해당사업의 총괄적 목표는 대중교통을 포함하는 사업용 차량의 운행과정에서 운전자의 부주의나 졸음운전에 의해 발생하는 교통사고의 위험을 감소시키는 것이다. 이를 위해 운전자의 상태를 모니터링 하다가 위험상황이 발생한 경우 운전자가 각성도를 회복할 수 있도록 경고신호를 전달해주는 시스템을 개발하고자 하는 것이며, 본 연구에서는 이 시스템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햅틱 경고신호를 설계하는 것이 목표이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서로 다른 특성을 지닌 햅틱신호의 졸음에 대한 각성효과를 측정 분석하고 이를 청각 신호를 사용한 경우와 비교 평가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운전자의 졸음 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기술로는 어떤것들이 있는가? 운전자의 졸음 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기술로는 심전도(ECG: Electrocardiography), 호흡, 심박수(PPG: Photoplethysmograph), 눈꺼풀 감김 정도(PERCLOS: PERcentage eye CLOSure), 피부전기저항(GSR: Galvanic skin response), 뇌파(EEG: Electroencephalography), 안전도(EOG: electrooculography) 등과 같은 생체신호 기반 기술들이 개발되어 왔으며, 국내외에서도 이런 신호들을 활용하여 운전자의 졸음 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연구들이 함께 진행되어 왔다. 일부 연구에서는 컴퓨터 비전을 이용하여 얼굴의 정면 이미지로부터 눈 깜박임 시간과 하품 시간을 측정하여 실시간으로 졸음을 감지하고 졸음운전으로 판단되면 운전자를 각성시키기 위해 경보음과 페퍼민트향을 동시에 발생시키는 시스템을 개발하였으며, 시스템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해 졸음 상태와 각성 상태인 운전자의 EEG, ECG, EOG를 측정하여 분석하였다(Kim et al.
졸음운전의 위험에 대한 대중적 경각심이 높아진 이유는 무엇인가? 최근 국내에서 졸음운전으로 인한 대형 교통사고가 연이어 발생하면서 졸음운전의 위험에 대한 대중적 경각심이 더욱 높아지고 졸음운전 예방이 큰 사회적 화두가 되고 있다. 공공데이터포털에 명시된 2016년 졸음운전 교통사고 현황에 따르면, 졸음운전으로 인해 교통사고가 발생할 경우 사망율은 4.
현재 연구되고 있는 졸음운전 감지 시스템에서 미비한 부분은 무엇인가? 이처럼 현재까지 진행되어온 연구들의 주된 목적은 졸음 상태 감지 기술의 정밀도, 정확도, 신뢰도, 효과성을 중점으로 졸음 판단 기술의 수준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지만, 운전자를 졸음으로부터 각성시키기 위한 효과적인 경고신호를 설계하는 연구는 상대적으로 미비한 실정이다. 현재까지 진행된 졸음상황에서의 각성 방법 관련 연구에서는 6개의 LED를 통한 시각신호, 3KHz의 소리신호와 보조 신호인 박하향을 통해 각성을 유발하도록 하였고, 졸음 발생 시 스마트폰을 통해 햅틱신호 및 청각신호를 제시하여 그 각성효과를 비교하였다(Grace and Stewart, 2001; Maradiaga and Meixner, 201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Cha, J.E., Oakley, L., Kim, Y.M., Kim, J.P., Lee, B.C., Seo, Y.O. and Ryu, J.H., "Haptic Modeler using Haptic User Interface", Journal of the HCI Society of Korea, 1031-1036, 2006. 

  2. Data.go.kr, Traffic accident statistics, Department of Traffic Safety, https://www.data.go.kr/dataset/15022347/fileData.do (retrieved May 17, 2017). 

  3. Doudou, M. and Bouabdallah, A., "Performance Specifications of Market Physiological Sensors for Efficient Driver Drowsiness Detection System", 7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Sensor Networks , 2018. 

  4. Go, H.U. and Kim, Y.H., "Analysis and Determination of Arousal Level Control to Prevent Drowsy Driving",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utomotive Engineers, 1171-1176, 1997. 

  5. Grace, R. and Stewart, S., "Drowsy Driver Monitor and Warning System", 1st International driving symposium on human factors in driver assessment, training and vehicle design; Aspen, CO, 64-69, 2001. 

  6. Index.go.kr, Traffic accident statistics (Dead, Injury), National indicator system, http://www.index.go.kr/potal/main/EachDtlPageDetail.-do?idx_cd1614 (retrieved November 08, 2017). 

  7. Jeong, K.H., Kim, B.J., Kim, D.W. and Kim, N.K.,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 Driver's Drowsiness Prevention System", KACC, v. 18-1, 56-59, 1996. 

  8. Joo, Y.H., Kim, J.K. and Ra, I.H., "Intelligent Drowsiness Drive Warning System".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Intelligent Systems, 18(2), 223-229, 2008. 

  9. Kim, N.K., Jeong, K.H. and Kim, B.J.,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utomatic Detection and Warning system while Drowsy Driving", Journal of Biomedical Engineering Research, v. 18 no.3, 315-323, 1997. 

  10. Kim, S.H., Choi, B.Y., Cho, T.H., Lee, Y.K., Koo, H.J. and Kim, D.S., "Development of a Classification Model for Driver's Drowsiness and Waking Status Using Heart Rate Variability and Respiratory Features", Journal of the Ergonomics Society of Korea, 35(5), 371-381, 2016. 

  11. Kirman, J.H., "Tactile Apparnet Movement: The Effects of Interstimulus Onset Interval and Stimulus Duration", Perception & Psychophysics, 15, 1-6, 1974. 

  12. Kohli, L., Niwa, M., Noma, H. and Susami, K., "Towards effective information display using vibrotactile apparent motion", Symposium on Haptic Interfaces for Virtual Environment and Teleoperator Systems, 445-451, 2006. 

  13. Lee, M.H., Kim, J.Y., Song, C.K. and Kim, N.K., "A Study on the Driver's Drowsiness Warning System using Oxygen and Color", Journal of Biomedical Engineering Research, 21(2), 175-180, 2000. 

  14. Lorincz, A.E., Ionica, A., Leba, M. and Risteiu, M.N., "Driver monitoring system for automotive safety", IOP Conference Series: Materials Science and Engineering, 294, 2017. 

  15. Maradiaga, D.M. and Meixner, G., "Morpheus alert: A smartphone application for preventing microsleeping with a brain- computer interface", The 2017 4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Systems and Informatics (ICSAI 2017), 2017. 

  16. Park, J.S., Lee, J.W. and Lim, J.M., "Tactile Technology Trends on Touch Screen", Information & Communications Magazine, 29(7), 16-24, 2012. 

  17. Rau, P.S., "Drowsy Driver Detection and Warning System for Commercial Vehicle Drivers: Field Operational Test Design, Data Analyses, and Progress", 19th International Technical Conference on the Enhanced Safety of Vehicles (ESV), 2005. 

  18. Umadevi, K. and Karthikeyan, R., "Drivers backing system with factual occasion eye recogni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 Research in Science and Engineering, 7(1), 2018.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